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강의의 핵심이 기본 객체 생성 vs 배열 객체 생성 의 차이인건가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 int[] students = new int[2]; //이건 정수형 배열을 선언하는 것이고Student student1 = new Student(); // 이건 Student클래스의 인스턴스인 student1객체를 생성하는 것이고 Student[] students = new Student[2]; 그리고 이제 이건 Student클래스 객체를 두 개 생성하는 배열을 선언하는 것인가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ManyToOne, @JoinColumn질문드립니다.
@ManyToOne, @JoinColumn에 대해 학습하면서 이해가 잘 되지않아 구글링이나 chatGPT와 같은 AI를 통해 아래와 같이 정리했는데요. 이렇게 이해하면 될까요? 제가 올바르게 이해한것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JoinColumn에는 매핑할 외래 키 컬럼 이름을 적는다. 테이블에서 외래키로 사용될 컬럼이름을 적는다. Member 엔티티의 team이랑 MEMBER 테이블의 외래키 컬럼(TEAM_ID)을 서로 매핑해줘야 MEMBER 테이블의 외래키(TEAM_ID)를 통해서 Team을 가지고 올 수 있다.@JoinColumn을 통해 MEMBER테이블의 외래키 컬럼 이름이 TEAM_ID임을 명시하고,@ManyToOne 을 통해 Team엔티티와의 관계를 정의한다. 즉, @JoinColumn과 ManyToOne을 통해 Member엔티티와 Team엔티티의 관계를 정의한다. JPA는 Team엔티티에서 @Id로 설정된 필드를 확인하고, 해당 필드가 Team엔티티의 기본키임을 알게된다. 그리고 JPA는 Member테이블의 외래키와 Team테이블의 기본키를 매핑해서 외래키-기본키 관계를 설정한다.Member엔티티의 필드에는 Team team이 있지만 db에는 객체를 저장할 수 없으므로 Member엔티티를 em.persist()로 저장할떈, db에 team 객체가 아니라 @JoinColumn으로 명시했던 외래키가 저장된다. 이때 Team엔티티에서 @Id로 설정된 필드의 값이 저장된다. member.getTeam()을 할때도 MEMBER 테이블의 TEAM_ID를 사용해 Team엔티티 데이터를 가져올수있다. @JoinColumn으로 명시했던 외래키 값으로 TEAM테이블을 조회해서 TEAM객체를 생성해서 리턴한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스냅샷이 없는 상태에서의 변경 감지 방법이 궁금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Member member = new Member(1L, "member"); em.persist(member); member.setName("Test"); tx.commit();위 코드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SQL 쿼리문이 로그에 찍히는데요Hibernate: /* insert for hellojpa.Member */ insert into Member (name, id) values (?, ?) Hibernate: /* update for hellojpa.Member */ update Member set name=? where id=?persist()를 할 때 member 객체를 영속성 컨텍스트에 등록하고, 해당 상태에서는 신규 엔티티이므로 setName()으로 이름을 바꾸더라도 새로운 값이고, DB와 동기화되지 않았기에 스냅샷도 없을 것이라 생각했습니다.그래서 쿼리문도 INSERT 쿼리문 1개만 발생할 줄 알았는데, 왜 UPDATE 쿼리문도 함께 발생하는지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정확히는 persist를 수행하고 setName을 수행할 때, 스냅샷이 생성되지 않은 상태, 스냅샷이 없는 상태에서 어떻게 변경을 감지하여 UPDATE 쿼리문을 작성한 것인지 궁금합니다.처음에는 PK 생성 전략을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로 해서 INSERT문이 먼저 생성되어야만 하는 것이 원인인줄 알았지만, SEQUENCE 전략으로 바꿔도 UPDATE 쿼리문이 발생하는 것을 보고 잘못 짚은 것 같아 질문 남겼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Kevin의 알기 쉬운 Spring Reactive Web Applications: Reactor 1부
Downstream Mono, Flux가 subscriber인가요?
안녕하세요! 마블 다이어 그램을 보면 upstream Flux나 Mono는 코드상 Flux.just(), Mono.just()를 통해 직관적으로 생산자로 이해가 되는데! Downstream Flux, Mono는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Subscriber라고 보면 될까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자바 입문 메서드 호출과 값 전달2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안녕하세요. 여기서 코드 상으로는 sout 1,4,2,3 순서로 작성하였는데 출력결과에서는 어떻게 1,2,3,4 순서대로 출력되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하고 콘솔에 select 쿼리문
[질문 내용]단방향 연관관계 영상 22분 10초 쯤에서 Member클래스에 Team 필드 어노테이션으로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를 지정하고 서버를 재실행하였을 때 김영한 강사님 콘솔에서는 쿼리가 지연로딩되어 분리돼서 Member와 Team이 따로 조회가 되는걸로 나와있는데요 저도 같은 환경으로 실행하였을 때는 한 DB테이블만(MEMBER) 만 조회돼서 나오는데 왜 이러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gradlew build 오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gradlew build를 했더니 오류가 떠요PS C:\Users\chyt7\OneDrive\바탕 화면\study\hello-spring> .\gradlew build> Task :test FAILEDFAILURE: Build failed with an exception.* What went wrong:Execution failed for task ':test'.> There were failing tests. See the report at: file:///C:/Users/chyt7/OneDrive/%EB%B0%94%ED%83%95%20%ED%99%94%EB%A9%B4/study/hello-spring/build/reports/tests/test/index.html* Try:> Run with --scan to get full insights.BUILD FAILED in 2s7 actionable tasks: 1 executed, 6 up-to-date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해시 알고리즘 9 - 해시 충돌 구현의 마지막 코드 도식화
안녕하세요! 제가 이해하고 있는 부분이 맞는지 궁금합니다.LinkedList<Integer>[ ] buckets = new LinkedList<>[ ] 를 하면, LinkedList<Integer> 타입을 갖을 수 있는 배열이 생성되고, buckets[0] , buckets[1] .. .. 처럼 인덱스 번호를 이용해서 접근가능합니다. 여기서 궁금한점은 LinkedList<Integer> 타입으로 구성된 각 배열들은 LinkedList<Integer>의 인스턴스가 생성된것이 아니라, 단지 LinkedList<Integer>의 타입을 갖을 수 있는 참조 변수 인건가요?? 그 후에 각 참조변수 안에서 new LinkedList<>의 코드를 사용해서, LinkedList<>의 인스턴스가 생성되어 연결된것인가요??그렇기 때문에, add 메소드에서, buckets[1].add와 같은 문장이 생성될 수 있었는지 여쭤보고싶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타임리프 에서 겹따옴표 내부에 홀따옴표 이후 변수 표기 방법
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onclick=겹따옴표 내부에 홀따옴표 이후 변수가 제대로 표현이 안되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예를 들어 원하는건 다음과 같습니다.onclick="location.href='/edit/변수'"변수의 형태는 ${item.id} 입니다.아래와 같이 시도를 해보았습니다.th:onclick="|location.href='@{/edit/${item.id}}'|"위와 같이 시도를 해 보았는데 웹페이지 소스보기를 하면 아래와 같이 출력이 됩니다.onclick="location.href='/edit/${item.id}'"홀따옴표 앞에 역슬래시, 백틱 등등 해볼건 다 해보았는데 잘 안되네요. 뭔가 분명히 방법이 있을 것인데요. 조언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배열에서의 시간복잡도와 Object
안녕하세요 . int 타입의 경우 배열을 생성하였을때 int는 4바이트로 메모리크기가 정해져있고 그에 따라 (배열주소 * int의크기(4)) 로 O(1) 로 찾을 수 있다고 이해했습니다. 그럼 그렇다면 Object [] 배열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동작하나여? Object나 다른 참조타입의 경우에도 메모리에서 각각의 인덱스의 참조주소가 동일한 크기를 가지고 배열이 생성될까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프록시 호출 문제
Member findMember = em.getReference(Member.class, member.getId()); System.out.println("findMember.getClass() = " + findMember.getClass()); //System.out.println("findMember.getId() = " + findMember.getId()); //em.detach(findMember); //em.clear(); //em.close(); System.out.println("findMember.getUsername() = " + findMember.getUsername());강의 38:40 초 내용 입니다 강의에선 em.close 를 하면 초기화 예외가 발생하는데 시간이 지나서 좀 바뀐건지 em.detach, clear 는 예외가 발생하는데 close 는 영속성 컨텍스트가 꺼지지 않고 정상적으로 작동을 해서 username 이 출력이 되네요다른 분들도 그런건지 확인 차 질문드립니다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JDBC URL 연동 문제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JDBC 연동 질문입니다. test.mv.db 가 C://USERS/USER/안에 만들어졌습니다. 하지만 인텔리제이에서 url로 진입시에 계속해서 Driver org.h2.Driver claims to not accept jdbcUrl 에러가 뜹니다. 다른 문의들 많이 참고해서 설정들도 꼼꼼히봤고, https://docs.google.com/document/d/1j0jcJ9EoXMGzwAA2H0b9TOvRtpwlxI5Dtn3sRtuXQas/edit?tab=t.0링크에 H2데이터베이스 접속 오류 해결방안2를 그대로 했지만h2콘솔에서는 접속이 잘되는 것 같은데 인텔리제이에서는 url 을 찾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아래는 코드 입니다. 몇시간째 제자리라서 도움 부탁드립니다ㅜ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메시지 이벤트 발행시 에러 발생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이번에 면접을 보면서 확실하게 대답을 못해서 고민 끝에 선생님에게 질문 드립니다. 우선 시나리오 말씀드리자면 client 가 해당 게시글에 "좋아요" 등록을 하게 된다면 좋아요 등록 관련 DB 테이블에 insert 동시에 outbox 테이블에도 insert 하도록 설계 되어 있습니다. commit 이 정상적으로 발생되면 kafka 서버에게 이벤트 메시지를 발행 하게 되는데요. 만약 갑자기 이벤트 발행시 kafka 서버가 죽었다고 하면 복구 될때 까지 기다리다가 retry 통해 아직 메시지 발행 하지 못한 메시지 outbox 테이블에 조회해서 메시지 발행 하면 문제가 없을 것 같은데요. 하지만 다시 처음부터 설명하면 client 가 좋아요 등록 후 DB 서버가 죽어서 "좋아요" 관련 테이블 및 "outbox" 테이블에 insert 를 못했다고 가정 했을때 어떻게 대처 해야 하는지 역으로 질문 받았습니다. 일단 DB 서버가 죽었으면 빠르게 고객에게 에러 메시지를 전달과 동시에 담당 개발자에게 빠르게 전달 할 수 있도록 전달 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회사에서 slack 메신저 사용하면 메신저 통해 알림) 혹시 이것보다 더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재대로 대답하지 못해 찜찜해서 이렇게 선생님에게 질문 드리네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fetch join 관련 질문입니다
A : B = 1 : N , B : C = 1 : N , C : D = N : 1 현재 이런 구조인데 한번에 데이터를 땡겨오고싶으면 C를 기준으로 A, B, D 전부 fetch join으로 가져오면 되는걸까요? 아니면 이렇게 하면 문제가 있을까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Callble 활용 질문 이요.(코드 이런식으로 만들어도 되는지?)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어찌저찌 하다가 콜라볼를 이용해서 만들기는 하였는데 이렇게 코드로 만들어도 되는지 궁금해서 질문을 드립니다.콜라볼에 Lsit값을 넣어서 , 심플한 callable 리스트를 만들었는데 이렇게 활용해도 되는지 알고 싶어서 코드를 올립니다. 이렇게 만들어도 되냐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IDE에서 equals를 생성하는 방식이 바뀐걸까요?
이전엔 자동 완성을 시키면 @Override public boolean equals(Object o) { if (this == o) return true; if (o == null || getClass() != o.getClass()) return false; UserV2 user = (UserV2) o; return Objects.equals(id, user.id); }이 코드였던거같은데 현재는 이렇게 생성이 됩니다. @Override public boolean equals(Object object) { if (object == null || getClass() != object.getClass()) return false; UserV2 userV2 = (UserV2) object; return Objects.equals(id, userV2.id); } IDE 작동 방식에 변화가 생긴걸까요? 아니면 제가 설정을 무엇인가 잘못 건드린걸까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자바 질문
29분 22초 "Spark" 가 당연히 Car 클래스의 가장 윗쪽 함수에 들어가야한다고 하셨는데 이유가 궁금합니다. 두번째 함수에도 스트링인데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allocationSize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 처음 em.persist()를 할떄 allocation했던거 만큼의 시퀀스 값을 미리 가져와서 메모리에 값을 저장해놓는다. 이떄 1부터 50의 값이 메모리에 저장된다.2. db에 시퀀스의 값(현재값)은 50까지 줬으니 51로 되어있다.3. 이후 em.persist()를 하면 메모리에 있는 값이 사용되고, 만약 50까지 다 사용하고 나서 em.persist()를하게 되면 51부터 다시 allocation했던거 만큼의 시퀀스 값을 미리 가져와서 메모리에 값을 저장해놓는다. 이때 51부터 100의 값이 메모리에 저장된다. db에 시퀀스의 값(현재값)은 100까지 줬으니 101로 되어있다. 이러한 동작 과정으로 이해를 했는데요. 이렇게 이해하는게 맞을까요? + 근데 그럼 여쭤보고 싶은게em.persist()를 한번만 할 경우, call next value for MEMBER_SEQ5를 한번만 호출하고 이런식으로 되어있지만, em.persist()를 2번 이상으로 하게되면, call next value for MEMBER_SEQ5를 두번 호출하고 이런식으로 되더라구요... 그 이유를 도무지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섹션 6 -문제와 풀이 2 구조도 그림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섹션 6 -문제와 풀이 2 에 나온 문제를 간략하게 그림으로 도식화해보았습니다.제가 이해하고 있는게 맞는지 확인 부탁드려도 괜찮을까요?감사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count에 volatile을 붙이는 이유
문제가 되는 부분은 main 쓰레드와 work 쓰레드에서 flag 변경/확인 타이밍이 맞지 않아서인데 왜 count에도 volatile 키워드를 붙여주는 것인가요? flag에만 volatile을 붙인 경우에도 정상 동작하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