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ResponseBody와 ResponseEntity를 같이 써도 되나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강의에선 @RestController로 이미 모든 컨트롤러에 @ResponseBody 응답을 하는데 JSON 응답 컨트롤러에선 반환 타입을 ResponseEntity로 하여 둘 간의 충돌이 있지 않을까해서 질문드립니다 !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Edge는 home.html이 실행안되고 index.html이 실행됩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강의를 보며 코드를 따라하며 실행해보는 도중, Microsoft Edge 에서 home.html 은 실행이안되고 계속 index.html이 실행이 되는 문제가 발생해서 Chrome으로 실행을 해보았더니 Chrome에서는 정상적으로 home.html이 실행이 됩니다. 뭐가 문제인걸까요?
-
해결됨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테스트가 통과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스프링 메세지 소스 사용 강의 테스트 부분에서 messages.properties파일을 만들었는데도 "안녕"이 "??"로 인식됩니다 제가 빠뜨린 부분이 있는걸까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컴포넌트 스캔과 자동 의존관계 설정 듣던 중 발생한 오류
에러 : \service\MemberServiceTest.java:18:35java: constructor MemberService in class hello.hellospring.service.MemberService cannot be applied to given types; required: hello.hellospring.repository.MemberRepository found: no arguments reason: actual and formal argument lists differ in length 안녕하세요 강의를 수강하던 중 에러의 이유를 알 수 없어 이렇게 질문 남기게 되었습니다.찾아보니까 롬복 문제라는것 같기도 한데?? 안쓴거같은데 잘 모르겠습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자바 스프링입문 환경설정 질문입니다. 도와주세요ㅠ
안녕하세요 지난번에 질문드렸는데 정확하게 설명이 안되어서 다시한번 질문합니다ㅜ다름이 아니라 환경설정할때 강의에서는 자바11 권장으로 되어있는데 자료를 보니 17이상이면된다고 써있었습니다.지금 제 프로젝트 셋팅과, execution,build,deployment 셋팅, 그리고 라이브러리에대해서 잘 설정되어있는지 궁금해서 질문합니다.1. 자바11권장이라고 되어있고 cmd창에서 자바버젼을 확인해보니 없다고 나옵니다. 자바 입문->기본편까지 듣고 가비지컬렉션과 예외처리를 공부한 후 스프링 입문 강의를 들으려고 하는데 제가 자바를 처음에 설치를 했는지 잘모르겠습니다. 자바 입문편과 기본편 강의들을때는 인텔리제이 설치후 jdk설정도 맞춰놓고 강의를 잘 들었습니다. 이 상태로 스프링 강의들을때 환경설정을 시키는대로 하면 별 문제가 없이 강의를 들을수 있는걸까요?제 프로젝트 셋팅과, execution,build,deployment 셋팅이 사진처럼 되어있는데 잘 되어있는건지 궁금합니다!라이브러리 설명을 해주시는데 제꺼랑 다른 라이브러리들이 제꺼에는 있고 강의에는 없는것들도 반대인 상황도 많아서 라이브러리가 이렇게 설정되어있어도 상관없는건지 잘 모르겠어서 질문합니다. 항상 친절하신 답변 감사합니다.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
해결됨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FrontController View/Data Flow 관련 질문입니다.
아래 이미지는 제 식대로, FrontController에 대해서 정리하고 이해 했는데 잘 이해 한 건가요 ?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h2 아이콘
[질문 내용]제가 h2 db를 껐다 켜고 싶어서, 하단 트레이 쪽에 있는 h2 아이콘을 우클릭>exit을 했더니 아예 아이콘이 사라졌습니다..다시 키려고 h2.bat을 재실행은 했는데 아이콘이 없어서 create a new db를 어떻게 해야하는지 모르겠습니다.도움 부탁드립니다!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clearStore가 소용이 없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이렇게 영상에 나온대로 clearStore을 작성했음에도계속 오류가 뜹니다clearStore의 문제가 아닌건가요?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에러
[질문 내용]위와 같이 application.properties도 공백없이, 빠짐없이 작성하고 나머지 코드도 강의교재 복붙해서 넣었는데 이름 등록 버튼 누르면 다음과 같은 에러가 뜹니다...도움 부탁드립니다! 2024-02-27T15:02:44.697+09:00 INFO 10564 --- [nio-8080-exec-7]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 : HikariPool-1 - Starting...2024-02-27T15:02:46.290+09:00 ERROR 10564 --- [nio-8080-exec-7]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 : HikariPool-1 - Exception during pool initialization.org.h2.jdbc.JdbcSQLInvalidAuthorizationSpecException: Wrong user name or password [28000-224] 2024-02-27T15:02:46.293+09:00 ERROR 10564 --- [nio-8080-exec-7] o.a.c.c.C.[.[.[/].[dispatcherServlet] : Servlet.service() for servlet [dispatcherServlet] in context with path [] threw exception [Request processing failed: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org.springframework.jdbc.CannotGetJdbcConnectionException: Failed to obtain JDBC Connection] with root causeorg.h2.jdbc.JdbcSQLInvalidAuthorizationSpecException: Wrong user name or password [28000-224]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윈도우 db 끄기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강의에서 선생님이 db끄면 실행안된다면서 보여주셨는데, 윈도우에서는 db 끄는 명령어가 뭔가요?
-
미해결스프링 프레임워크는 내 손에 [스프1탄]
프로젝트 생성시 Srping MVC Project 없음
안녕하세요 선생님.전자정부프레임워크 4.0 다운받고,스프링 레거시 -> Spring MVC Project 하려고하는데보이지가 않습니다... Template Project에서 spring-defaults 제외하고 나머지도 다 지워봤는데 계속 안나오고,혹시 몰라서 자바 버전도 변경해봤는데 안나옵니다.. 혹시 어떻게 해야할까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환경설정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환경설정에서 제가 자바17을 이용하고 있는데 자바11을 권장하다고 하셔서 상관없는지 유무를 알고 싶습니다.그리고 build,execution,deployment 빌드 툴에서 gradle로 들어가서 intelliJ로 바꾸는과정을 해보았는데 그 아래 gradle JVM이 강의에서는 자바11로 체크가 되어있는데 전 Project SDK openjdk-21로 되어있습니다 이경우는 상관이없을까요? 또 distribution에 Wrapper로 되어있습니다 이것도 상관없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외래키 중복 관련 질문
import com.example.banking.domain.user.User import com.example.banking.support.BaseEntity import jakarta.persistence.Entity import jakarta.persistence.FetchType import jakarta.persistence.JoinColumn import jakarta.persistence.ManyToOne @Entity class Account( var balance: Double,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user_id") val user: User, id: Long = 0 ) : BaseEntity(id) { fun addAccount(user: User) { user.accounts.add(this) } fun addBalance(amount: Double) { balance += amount } fun subtractBalance(amount: Double) { balance -= amount } }import com.example.banking.domain.account.Account import com.example.banking.support.BaseEntity import jakarta.persistence.* @Entity class Transaction( val amount: Double, @Enumerated(EnumType.STRING) val type: TransactionType,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 val sender: Account,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 val recipient: Account?, id: Long = 0L ) : BaseEntity(id) { constructor(amount: Double, type: TransactionType, sender: Account) : this(amount, type, sender, null) } import com.example.banking.domain.account.Account import com.example.banking.domain.user.User import com.example.banking.domain.user.UserInfo import com.example.banking.repository.account.AccountRepository import com.example.banking.repository.transaction.TransactionRepository import com.example.banking.repository.user.UserRepository import jakarta.persistence.EntityManager import jakarta.transaction.Transactional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test.annotation.Rollback @SpringBootTest @Transactional @Rollback(value = false) class TransactionTest( @Autowired private val em: EntityManager, @Autowired private val transactionRepository: TransactionRepository, @Autowired private val 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Autowired private val accountRepository: AccountRepository ) { @Test fun testTransaction() { val user1 = User(UserInfo("b", "Seoul", "123", "123")) val user2 = User(UserInfo("b2", "Seoul", "123", "123")) userRepository.save(user1) userRepository.save(user2) em.flush() em.clear() val account1 = Account(100.0, user1) val account2 = Account(100.0, user2) account1.addAccount(user1) account2.addAccount(user2) accountRepository.save(account1) accountRepository.save(account2) em.flush() em.clear() val sender = accountRepository.findById(account1.id).get() val recipient = accountRepository.findById(account2.id).get() val transaction = Transaction(50.0, TransactionType.TRANSFER, sender, recipient) transactionRepository.save(transaction) em.flush() em.clear() val transaction2 = Transaction(50.0, TransactionType.DEPOSIT, sender) transactionRepository.save(transaction2) // assertThat(sender.balance).isEqualTo(50.0) // assertThat(recipient.balance).isEqualTo(150.0) } } 위와같이 Transaction 엔티티와 Account 엔티티가 ManyToOne 으로 매핑되었을때, 테스트코드를 위와같이 작성시,transactionRepository.save(transaction2) 이 라인에서 Duplicate entry '97' for key 'transaction.UK_96vb4d846be64bta5qbxiicb1' 에러가 발생합니다.제가 알기론 외래키의 경우 중복된 값을 가지는것이 가능한것으로 알고 있는데, 같은 account id로 새로운 Transaction 을 생성할 시에 키가 중복이라는 에러가 발생하는데 왜 그런지 알고싶습니다. 코틀린으로 코드 작성한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MemoryMemberRepository와 MemberService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이 둘은 비슷한 메서드를 구현한다고 느껴집니다.(save=join) 왜 이런 구조로 작성하나요?
-
해결됨아키텍처 패턴 with iOS - GUI Architecture Patterns(이론)
MVVM in iOS - 리액티브 프로그래밍, 자동바인딩과 수동바인딩에서 질문이있습니다
안녕하세요강사님WPF에서는 자동바인딩이 제공되기때문에 MVVM을 사용하는데있어서 이점이있다고 말씀을해주셨고 iOS에서는 자동바인딩을 시스템레벨에서 제공해주지않기때문에 그런점에서 iOS의 MVVM패턴은 등장배경에서의 이유로 쓰이고있는지 고민해봐야한다고 말씀을 해주셨는데 여기서 궁금한점이 combine의 published는 uikit에서도 사용이가능하고 이는 combine이라는 도구를 시스템레벨에서 제공해주기때문에 combine의 등장으로 자동바인딩이 iOS에서도 제공된다고 할수있는게 아닌가라는 생각이들었습니다결국 $를 통해 binding변수로 만들어주면 해당 published변수의 변화에따라 view가 업데이트되니까 이런점에서는 uikit도 시스템레벨에서 자동바인딩을 지원한다라고 말할수있는게아닌가라는 생각이들었습니다 혹시 이부분에대해서 강사님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의존성 주입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강의를 듣다가 순간 애매해서 질문드립니다. V2config에서 해당 코드를@Bean public ItemService itemService() { return new ItemServiceV2(itemRepositoryV2, itemQueryRepositoryV2()); } @Bean public ItemQueryRepositoryV2 itemQueryRepositoryV2(){ return new ItemQueryRepositoryV2(em); }@Bean public ItemService itemService() { return new ItemServiceV2(itemRepositoryV2, new ItemQueryRepositoryV2(em)); } /** @Bean public ItemQueryRepositoryV2 itemQueryRepositoryV2(){ return new ItemQueryRepositoryV2(em); } **/ 처럼 ItemQueryRepositoryV2부분은 주석처리 해서 @Bean으로 등록을 하지 않으면 작동이 안돼야 할까요?? 변경하고 작동해봤는데 문제가 없어서 질문드립니다.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혹시 김영한 선생님 자바 중급/고급 강의 정확히 언제 나오는지 알 수 있을까요
혹시 김영한 선생님 자바 중급/고급 강의 정확히 언제 나오는지 알 수 있을까요~강의 듣는데 이해 안가는 문법들이 많아서요.
-
해결됨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Post 폼 요청 시, 타입 미스매치에 대한 질문
JSON 요청 시, 타입을 맞지 않게 입력하게 되면, 컨트롤러 자체가 아예 호출되지 않는 것을 강의를 통해 확인했습니다. Post 폼 요청 시, 이런 타입에 대한 올바르지 않은 입력을 하게 되어도, 컨트롤러가 호출되고 검증 단계까지 도달할 수 있는 이유가 스프링 프레임워크가 자동으로 타입을 적절하게 형변환해주기 때문인가요? 이유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
버튼 클릭 시 페이지가 로드되지 않는 문제 해결 방법 질문
개요로그인 성공 후 인덱스 페이지로 넘어갑니다.인덱스 페이지에는 "테스트 버튼" 이라는 버튼을 클릭하면, test 로드하는 api 를 호출하도록 했습니다.그러나 api 요청만 진행되고, 페이지는 바뀌지 않습니다.개발자도구 메시지에 해당 페이지의 html 코드만 출력됩니다. 참고자료index.html<!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인덱스 페이지</title> <script src="https://code.jquery.com/jquery-3.7.0.min.js" integrity="sha256-2Pmvv0kuTBOenSvLm6bvfBSSHrUJ+3A7x6P5Ebd07/g=" crossorigin="anonymous"></script> </head> <body> <h1>환영합니다!</h1> <p>성공적으로 로그인하셨습니다.</p> <button id="logoutButton">로그아웃</button> <button id="testButton">테스트 버튼</button> <script> $(document).ready(function() { // 로그아웃 버튼 이벤트 $('#logoutButton').click(function() { // 로컬 스토리지에서 토큰 제거 localStorage.removeItem('accessToken'); // 로그인 페이지로 리다이렉션 window.location.href = '/login'; }); // 테스트 버튼 이벤트 $('#testButton').click(function() { // 로컬 스토리지에서 토큰 가져오기 const token = localStorage.getItem('accessToken'); if (token) { $.ajax({ url: '/api/test', // 요청할 서버의 URL type: 'GET', // HTTP 메서드 beforeSend: function(xhr) { // 요청 헤더에 토큰 추가 xhr.setRequestHeader('Authorization', token); }, success: function(data) { // 요청 성공 시 로직 console.log("테스트 요청 성공:", data); alert("테스트 요청 성공"); }, error: function(xhr, status, error) { // 요청 실패 시 로직 console.error("테스트 요청 실패:", xhr.responseText); alert("테스트 요청 실패"); } }); } else { alert("토큰이 없습니다. 다시 로그인해주세요."); } }); }); </script> </body> </html> 보이는 것처럼 로컬 스토리지에서 토큰을 가져온 후 요청 헤더에 다시 담아서 전송합니다.JwtAuthorizationFilter@Override protected void doFilterInternal(HttpServletRequest req, HttpServletResponse res, FilterChain filterChain)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 헤더에서 토큰 추출 log.info("헤더에서 토큰 추출"); String tokenValue = jwtUtil.getJwtFromHeader(req); log.info("토큰 : " + tokenValue); if (StringUtils.hasText(tokenValue)) { // 토큰 유효성 검사 if (!jwtUtil.validateToken(tokenValue)) { log.info("Token Error"); return; } Claims info = jwtUtil.getUserInfoFromToken(tokenValue); try { setAuthentication(info.getSubject()); } catch (Exception e) { log.error(e.getMessage()); return; } } else { log.info("토큰이 없습니다."); } filterChain.doFilter(req, res); } // 인증 처리 public void setAuthentication(String loginId) { log.info("인증 성공"); SecurityContext context = SecurityContextHolder.createEmptyContext(); Authentication authentication = createAuthentication(loginId); context.setAuthentication(authentication); SecurityContextHolder.setContext(context); } // 인증 객체 생성 private Authentication createAuthentication(String loginId) { log.info("인증 객체 생성"); UserDetails userDetails = userDetailsService.loadUserByUsername(loginId); return new UsernamePasswordAuthenticationToken(userDetails, null, userDetails.getAuthorities()); }이렇게 JwtAuthorizationFilter 가 있을 때 헤더에서 토큰이 추출되는 거까지 로그에 다 출력되고, 인증 객체까지 생성되는 걸 확인했습니다. Console2024-02-26T14:31:24.699+09:00 INFO 59767 --- [nio-8081-exec-3] JWT 검증 및 인가 : 토큰 : eyJhbGciOiJIUzI1NiJ9.eyJzdWIiOiJ0ZXN0NiIsImF1dGgiOiJPV05FUiIsImlhdCI6MTcwODkyNDY0NiwiZXhwIjoxNzA4OTI4MjQ2fQ.TLjHCc1_ZtTbzGb-2c0ueLmxgCyxQf1rUQs4DkqMv_c 2024-02-26T14:31:24.706+09:00 INFO 59767 --- [nio-8081-exec-3] JWT 검증 및 인가 : 인증 성공 2024-02-26T14:31:24.706+09:00 INFO 59767 --- [nio-8081-exec-3] JWT 검증 및 인가 : 인증 객체 생성 Hibernate: /* <criteria> */ select u1_0.id, u1_0.email, u1_0.login_id, u1_0.password, u1_0.role from users u1_0 where u1_0.login_id=? 2024-02-26T14:31:24.722+09:00 INFO 59767 --- [nio-8081-exec-3] TestController : test controller로그를 보면 test controller 를 호출하는 거까지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그러나 페이지는 로드되지 않고, 메시지에 html 코드만 출력이 됩니다. 자료 Test.html<!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script src="https://code.jquery.com/jquery-3.7.0.min.js" integrity="sha256-2Pmvv0kuTBOenSvLm6bvfBSSHrUJ+3A7x6P5Ebd07/g=" crossorigin="anonymous"></script> <title>Test Page</title> </head> <body> <h1>This is a test page.</h1> </body> </html> 정리로그인 성공 후 인덱스 페이지로 넘어감해당 인덱스 페이지에서 test 페이지로 넘어가고자 함인가 필터 모두 거치고, 토큰 값이 전달되는 거까지 확인했음test controller 까지 요청되지만, 정작 페이지는 불러와지지 않음 대체 제가 뭘 놓친 걸까요 ㅠㅠㅠㅠ 이거때문에 며칠 동안 머리 싸매고 있습니다,,, 제발 도와주세요,,,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예외를 여기서 마무리하기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한 가지 궁금한 점이 생겼는데 바로 직전 강의에서는 똑같이HandlerExceptionResolver를 아래와 같이 사용했는데 서블릿 컨테이너까지 에러를 전달해서 서블릿 컨테이너가 다시 서버 내부에서 BasicErrorController로 재요청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 것 같은데, 왜 여기서는 HandlerException 에서 처리가 마무리 되었는지 헷갈립니다. 제가 생각하기에는 response.sendError 때문에 이전 강의에서는 서블릿 컨테이너까지 에러가 갔다가 다시 재요청을 한 것이고, 이번에는 response.sendError를 쓰지 않았기 때문에 HandlerExceptionResolver에서 마무리가 된 것 같은데 이게 맞나요?? 이전 강의와 현재 강의의 코드 비교 입니다.이전 강의 코드package hello.exception.resolver; import jakarta.servlet.http.HttpServletRequest; import jakarta.servlet.http.HttpServletResponse; import lombok.extern.slf4j.Slf4j; impor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HandlerExceptionResolve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ModelAndView; @Slf4j public class MyHandlerExceptionResolver implements HandlerExceptionResolver { @Override public ModelAndView resolveException(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Object handler, Exception ex) { try { if (ex instanceof IllegalArgumentException) { log.info("IllegalArgumentException resolver to 400"); response.sendError(HttpServletResponse.SC_BAD_REQUEST, ex.getMessage()); return new ModelAndView(); } } catch (Exception e) { log.error("resolver ex", e); } return null; } } 현재 강의 코드package hello.exception.resolver; import com.fasterxml.jackson.databind.ObjectMapper; import hello.exception.exception.UserException; import jakarta.servlet.http.HttpServletRequest; import jakarta.servlet.http.HttpServletResponse; import lombok.extern.slf4j.Slf4j; impor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HandlerExceptionResolve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ModelAndView; import java.util.HashMap; import java.util.Map; @Slf4j public class UserHandlerExceptionResolver implements HandlerExceptionResolver { private final ObjectMapper objectMapper = new ObjectMapper(); @Override public ModelAndView resolveException(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Object handler, Exception ex) { try { if (ex instanceof UserException) { log.info("UserException resolver to 400"); String acceptHeader = request.getHeader("accept"); response.setStatus(HttpServletResponse.SC_BAD_REQUEST); if ("application/json".equals(acceptHeader)) { Map<String, Object> errorResult = new HashMap<>(); errorResult.put("ex", ex.getClass()); errorResult.put("message", ex.getMessage()); String result = objectMapper.writeValueAsString(errorResult); response.setContentType("application/json"); response.setCharacterEncoding("utf-8"); response.getWriter().write(result); return new ModelAndView(); } else { // TEXT/HTML return new ModelAndView("error/400"); } } } catch (Exception e) { log.error("resolver ex", e); } return null;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