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Flutter로 SNS 앱 만들기
섹션8 게시글 정보가져오기
16:00 에러가 발생되었습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ai로 질문의 답을 받았는데 잘모르겠습니다. void _getFeedList() { WidgetsBinding.instance.addPostFrameCallback((_) async { try { await feedProvider.getFeedList(); } on CustomException catch (e) { errorDialogWidget(context, e); // 에러출력 } }); }이부분을 어떻게 처리하면 됩니까
-
미해결모두를 위한 대규모 언어 모델 LLM(Large Language Model) Part 1 - Llama 2 Fine-Tuning 해보기
OpenAI Assistants API 기초 예제 중 client.beta.threads.message.list 함수
안녕하세요 수업노트의 코드를 실행했을때 Assistant's Response message value 에서 중간 풀이 과정이 출력되지 않는데 동영상과 차이가 뭘까요?ㅇ 동영상 Value = "I need to solve the equation 3x + 11 = 14. Can you help me?"Value = "Sure, Jane Doe! To solve the eqation 3x + 11 = 14 for x, We need to isolate x on the one side of eqation. Here's how we can do it step by step. Subtract 11 from both sides of the eqation to get '3x' by itself on one side. That leaves us with '3x = 14 - 11' Simplify the right side of equation to find out what '3x' equation. Divide both sides of the equation by 3 to solve for 'x' Let's do the calculation"Value = "The solution to the equation '3x + 11 = 14' is x = 1"ㅇ 실습코드value='The solution to the equation \\(3x + 11 = 14\\) is \\(x = 1\\).')'I need to solve the equation 3x + 11 = 14. Can you help me?'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GRANT ALL ON Users TO 'Weekend'@'192.168.1.100'
GRANT ALL ON Users TO 'Weekend'@'192.168.1.100' 이 쿼리 마지막에 세미클론 빠진것 같습니다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3 (#실무핵심 #Docker #Nginx #Minio #Longhorn)
질문드립니다.
실습에 문제 발생 시 최대한 캡쳐 화면을 꼭 올려 주세요. (원인 파악에 도움이 큽니다)영상 내용 질문 시 해당 영상 제목과 내용이 있는 시간을 같이 올려주세요. (내용을 다시 들어보고 답변을 드리기 위해서 입니다)긴 로그는 제 메일로 보내주세요. (k8s.1pro@gmail.com)카페 [강의 자료실]에도 많은 질문과 답변들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혹시 실무에서 pod 정보를 API로 노출 시킬일이 있나요? 쿠버네티스 경험이 없어서 여쭤봅니다. 예시로, 큰 회사에서 쿠버네티스가 접근이 불가하여 웹으로 확인하거나, API로 쿠버네티스를 컨트롤 할때 사용 할듯한데,다른 의도가 있을까 해서 여쭤봅니다. cafe: https://cafe.naver.com/kubeops
-
미해결[리뉴얼] 맛집 지도앱 만들기 (React Native & NestJS)
npx react-native@0.72.6 init MatzipApp 실행시 에러...
npx react-native@0.72.6 init MatzipApp으로 프로젝트 생성시에 위 그림과 같은 에러가 발생합니다. ㅠㅠ 에러내용(error Couldn't find the "/var/folders/gc/vtr7g1756tq9m2vjzb7qtc7c0000gn/T/rncli-init-template-0bHa5c/node_modules/react-native/template.config.js file inside "react-native" template. Please make sure the template is valid. Read more: https://github.com/react-native-community/cli/blob/master/docs/init.md#creating-custom-template.info Run CLI with --verbose flag for more details.)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
미해결설계독학맛비's 실전 FPGA를 이용한 HW 가속기 설계 (LED 제어부터 Fully Connected Layer 가속기 설계까지)
AXI-lite BRAM Ctrl Timing 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1. 질문 챕터] : 12장 32분 쯤 [2. 질문 내용] : eg) 질문 내용을 자유롭게 작성해주시면 되겠습니다 🙂[3. 시도했던 내용,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 : eg) 설치영상은 이렇게 시도했는데 안되더라 or 본인의 생각을 적어주세요. (실습 내용 중에 이해가 안되거나 잘못된 내용이 있는데, 이러 이러한 근거로 나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 다음 내용은 읽어보시고 지우시면 됩니다.=================질문 내용을 작성해주실 때, 위의 3단계로 제가 이해할 수 있게 작성해주시면 정확한 답변을 드릴 수 있을 것 같아요!!현업자인지라 업무때문에 답변이 늦을 수 있습니다. (길어도 만 3일 안에는 꼭 답변드리려고 노력중입니다 ㅠㅠ)강의에서 다룬 내용들의 질문들을 부탁드립니다!! (설치과정, 강의내용을 듣고 이해가 안되었던 부분들, 강의의 오류 등등)이런 질문은 부담스러워요.. (답변거부해도 양해 부탁드려요)개인 과제, 강의에서 다루지 않은 내용들의 궁금증 해소, 영상과 다른 접근방법 후 디버깅 요청, 고민 상담 등..글쓰기 에티튜드를 지켜주세요 (저 포함, 다른 수강생 분들이 함께보는 공간입니다.)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질문글을 보고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남겨주시면 답변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섹션4 목록처리를 보고있어요
리스폰스로 json값이 오는건 이해가가는데 ], "pageNumList": [ 1, 2, 3, 4, 5, 6, 7, 8, 9, 10 ], "pageRequestDTO": { "page": 5, "size": 10 }, "prev": false, "next": true, "totalCount": 105, "prevPage": 0, "nextPage": 11, "totalPage": 0, "current": 0} 이값들은 api어느부분에서 전송하는건지 알수있을까요?
-
해결됨시스템엔지니어가 알려주는 리눅스 실전편 Bash Shell Script
Linux top 커맨드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BashScript 1부, 2부 강의를 듣고 개인적으로 BashScript를 현업에서 사용 중인 수강생입니다. 개인적으로 공부를 하다가 모니터링을 위해서 Linux top 명령어를 쓰고 있는데 이상한 부분이 있어 질문 남기게 되었습니다. 실습 환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AWS EC2 t3.medium OS : Amazon Linux 2023 pCPU : 1 Thread/Core : 2 vCPU : 2 해당 환경에서 스트레스 테스트 진행해서 다수의 PostgreSQL이 실행되도록 하였습니다.그리고 top 명령어의 결과가 수시로 바뀌는 가운데 한 순간을 캡쳐해보았습니다.의문이 드는 부분은 시스템 %Cpu(s)의 정보와 프로세스의 %CPU의 정보가 불일치 한다는 점입니다. 시스템 %Cpu(s)의 총합은 100.0이며, 사용율은 100.0 - id(idle, 유휴 지표) 이며 프로세스들이 실행됨에 따라서 ui, sy, si, st 등의 주요 지표가 증감하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실제로는 id 지표가 0.0이므로 순간 CPU 사용율은 100%인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프로세스의 %CPU의 총합은 스크린샷에 드러나는 것만 더해도 118.6%에 해당합니다.따라서 백분율 상으로 초과한 최소 18.6%의 사용율이 어떻게 된 것인지 궁금합니다. 기본적으로 AWS EC2는 멀티스레딩(SMT) 환경에서 작동되기 때문에 발생되는 문제일까요?
-
해결됨하루만에 배우는 AWS OpenSearch
과금 질문드립니다.
다음과 같은 양식으로 남겨주세요.질문을 한 배경 : 제가 open search가 계속 과금되는지 모르고 과금이 되었습니다. 질문내용 : 청구서를 보고 아래와 같이 확인하여 , 서울 리전의 오픈서치 도메인을 모두 삭제하였는데, 아직 삭제되지 않은 측면이 있을지 확인 한번 부탁드립니다 ㅜㅜ
-
미해결
GA 이벤트 값 초기화
GA 태그 위치를 잘 못 달았는데요.수집되고 있는 이벤트값 초기화 가능할까요?초기화 후 다시 GA 태그 위치 변경하려고 합니다.
-
미해결토비의 스프링 부트 - 이해와 원리
MyOnClassCondition에 있는 matches method의 Invoke 횟수
안녕하세요 토비님, 질문의 앞서, 좋은 강의자료 감사드립니다. 앞으로도 계속 꾸준히 만들어 주세요! ^^ 혹시 MyOnClassCondition에 있는 matches method의 Invoke 횟수를 어떻게 예상하시나요? 저는 두번이라고 생각했는데요. "@ConditionalMyOnClass" annotation이 붙어있는 클래스가 두개 뿐이라서요. 그런데, 실제로 matches 안에서 출력을 해보니, 세번이 출력 되었습니다. 예상대로, TomcatWebServerConfig와 JettyWebConfigServerConfig를 각각 출력 했는데요. 그후에 한번 더 출력하더라구요. 마지막 출력은, 라이브러리에 포함된 것에 대한 config가 출력 됬습니다. 혹시 이유를 아시는지요?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노드, 리액트 시리즈 - 쇼핑몰 사이트 만들기[전체 리뉴얼]
logout할 때, server로 요청을 보내서 authUser middleware를 통과하도록 하는 이유?
logout할 때, server로 요청을 보내서 authUser middleware를 통과하도록 하는 이유?handleLogout function에서 local storage의 accessToken을 삭제시키고, store의 user 정보만 initial state, 그리고 isAuth 등을 false로 바꾸면 그만일텐데, 왜 server에 요청을 보내는 과정이 필요할까요!?
-
미해결Airflow 마스터 클래스
airflow No host supplied 에러
안녕하세요, 강사님. 자세한 설명 덕분에 열심히 듣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며칠 전만 해도 업로드하고 나서 잘 돌아갔는데 최근에는 에어플로어에 업로드만 되면 위 사진과 같이 동일 내용으로 에러가 납니다. 검색해서 해결해보려 했는데 도저히 해결이 되지 않아서 문의 드립니다! yaml 파일에서 webserver에서 environment 추가도 해 봤는데 전혀 해결되지 않아요. 도와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ㅠㅠ
-
미해결CUDA 프로그래밍 (3) - C/C++/GPU 병렬 컴퓨팅 - 메모리 구조
pitch값에 따른 alignement boundary(size) 질문
안녕하세요, 선생님의 좋은 강의 덕분에 잘 공부하고 있습니다.강의 내용 복기 중에 한가지 의문이 생겨 질문 남깁니다.강의 17-8 matrix addition, pitched의 4분 07초 부분에서 device pitch (dev_pitch) 값이 40448 byte로 나온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어서 이 경우에 CUDA GPU 메모리 alignment boundary가 256 byte라고 설명 주셨습니다.여기서, 만약 alignment boundary가 256 byte 라면 device pitch 값은 40448 byte가 아닌 40192 byte 가 나와야 하지 않는지 의문이 들었습니다. 40192 byte가 40000 byte(10000개 elements) 에서 가장 가까운 256의 배수임과 동시에 40000 byte를 모두 커버할 수 있다는 근거로 이렇게 생각을 했습니다.그래서 alignment boundary 값을 512 byte로 계산을 해보니, 40448 byte가 40000 byte로부터 가장 가까운 512 배수로 계산이 되는데요. 이 경우에, 어떤 값이 맞는지 확신이 서지 않아 질문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제가 사용한 계산식은 pitch = ceil(row_size_in_byte / alignment_boundary_in_byte) * alignment_boundary_in_byte 입니다. 제가 아직 공부하는 단계이고, 이해가 부족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답변에 소중한 시간 내어주시면 정말 감사드립니다. 다시 한번 멋진 강의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OAuth2
인증과정 질문입니다.
이전 챕터중 OAuth2Login api를 사용했을때는 인가서버로부터 accessToken을 받은후 인증처리를 하기 위해서 다시 인가서버에 userinfo endpoint로 요청을 보내서 유저정보를 가져오고 이 정보를 바탕으로 OAuth2User 객체를 만들어서 인증객체를 만들고 인증과정을 완료했습니다. 근데 지금 ResouceServer api를 사용했을때는 accessToken, 즉 jwtToken 만으로도 인증객체를 만들고 인증처리를 완료하는데 그러면 이전에는 accessToken을 받고 왜 이것만으로 인증처리를 완료하지 않은건가요?
-
미해결MERN STACK 커뮤니티 : 시작부터 배포까지 알려주는 React
No routes matched location Error Component Stack error 질문입니다.
질문 있어서 남깁니다.메인페이지에서 Link를 타고 upload, list 들어가서 화면이 로드 돼야하는데 돼지 않고 하얀바탕으로 돼면서 Error표시 없이 No routes matched location "/list" Error Component Stack가 표시 됍니다. 어떤문제이고 해결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Ps. 질문이 이해 안가실것 같아서 스샷 올려놨습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Java에서 this와 super 키워드
21:01초에서 최종 결과가 x=10, y=20 x=30, y=0이 개행되는 이유가 뭘까요? 일자로 쭉 출력되고 그 다음에 개행되는 게 아닌걸까요?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3-p 질문 있습니다.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안녕하세요 선생님 저도 선생님의 생각처럼 코드를 이렇게 작성하면 되겠구나 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하지만 결국 코드가 생각처럼 구현 되지 않았습니다.이코드에서 제 생각이 뭐가 틀렸고 어떤 부분이 미숙했던 걸까요? ㅜㅜ코드 사고 과정1. 전체 맵에서 조합으로 씨앗을 심고 visited 처리2. 3개 의visited 에서 위 아래 로 꽃이 펴지기3. 그중에서 합이 제일 작은거 출력 하기#include <bits/stdc++.h> using namespace std; bool visited[101][101]; int n,a[101][101], ret=987654321; const int dy[] = {-1, 0 , 1, 0}; const int dx[] = {0 , 1, 0 , -1}; vector<pair<int, int>> v; int solve(){ int sum = 0; for(int i =1; i < n; i++){ for(int j =1; j < n; j++){ if(visited[i][j]){ sum += a[i][j]; for(int i = 0; i < 4; i++){ int ny = i + dy[i]; int nx = j + dx[i]; if(ny < 0 || nx < 0 || ny >= n || nx >= n || visited[ny][nx]) { return 987654321; }; visited[ny][nx] = 1; sum += a[ny][nx]; } } } } return sum; } int main(){ ios_base::sync_with_stdio(false);cin.tie(NULL);cout.tie(NULL); cin >> n; for(int i = 0; i < n; i++){ for(int j = 0; j < n; j++){ cin >> a[i][j]; if(i >=1 && j >=1) v.push_back({i,j}); } } for(int i =1; i < n; i++){ for(int j =1; j < i; j++){ for(int k =1; k <j; k++){ visited[v[i].first][v[i].second] = 1; visited[v[j].first][v[j].second] = 1; visited[v[k].first][v[k].second] = 1; ret = min(ret, solve()); memset(visited, 0,sizeof(visited)); // visited[v[i].first][v[i].second] = 0; // visited[v[j].first][v[j].second] = 0; // visited[v[k].first][v[k].second] = 0; } } } cout << ret << "\n"; return 0; }
-
해결됨
강화학습 DDQN에 대한 질문있습니다.
DQN과 DDQN의 차이점을 정확히 알고싶습니다. argmax연산에서 차이가 난다는데DQN이 최댓값연산으로 통해 Q함수가 최댓값을 통해 오버피팅이 된다는건 어느 정도 이해를했습니다.DDQN에서는 argmax연산을 풀어 쓴다고 되어있는데 이게 무슨 차이인지 정확히 모르겠습니다.이 풀어씀으로써 어떤 이득을 볼수있는지 정확하게 모르겠습니다. 제가 고졸이라 아직 미흡한 부분이 많습니다. 글을 여러번 읽어도 무슨소리인지 모르겠습니다.그래서 혹시 상세히 설명 해주실분 혹시 있나요..?
-
미해결[C++과 언리얼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세션 레퍼런스 카운트 관련 질문입니다.
void Session::ProcessConnect() { _connectEvent.owner = nullptr; // (1) _connected.store(true); // (2) // 세션 등록 GetService()->AddSession(GetSessionRef()); // 컨텐츠 코드에서 재정의 OnConnected(); // 수신 등록 RegisterRecv(); }5장 Session#3 강의를 듣고 따라해보다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위 함수를 실행하다가 터지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디버깅을 해보니(1)에서 _connectEvent.owner의 strong ref가 1에서 0으로 줄어들면서 세션(this)이 삭제되고(2)에서 this를 참조하면서 문제가 생긴 것이었습니다. bool IocpCore::Dispatch(uint32 timeoutMs) { DWORD numOfBytes = 0; ULONG_PTR key = 0; IocpEvent* iocpEvent = nullptr; if (::GetQueuedCompletionStatus(_iocpHandle, OUT &numOfBytes, OUT &key, OUT reinterpret_cast<LPOVERLAPPED*>(&iocpEvent), timeoutMs)) { // (A): 강사님 코드 // strong ref: 1 IocpObjectRef iocpObject = iocpEvent->owner; // strong ref: 2 iocpObject->Dispatch(iocpEvent, numOfBytes); // (B): 제 코드 // strong ref: 1 //iocpEvent->owner->Dispatch(iocpEvent, numOfBytes); } else { int32 errCode = ::WSAGetLastError(); switch (errCode) { case WAIT_TIMEOUT: return false; default: // TODO : 로그 찍기 IocpObjectRef iocpObject = iocpEvent->owner; iocpObject->Dispatch(iocpEvent, numOfBytes); break; } } return true; }강사님 코드와 제 코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지 확인해 본 결과 위와 같은 차이가 있었습니다. 강사님은 지역 변수로 스마트 포인터를 하나 만들어서 레퍼런스 카운트가 2인 상태로 세션->Dispatch 함수를 호출하는 반면, 저는 레퍼런스 카운트가 1인 상태로 세션->Dispatch 함수를 호출하는 차이가 있었습니다. [질문 1] 혹시 강사님은 코드를 짜실 때 (B)와 같이 코드를 짜면 문제가 생긴다는 걸 인지하고 (A)와 같이 짜신 걸까요? 레퍼런스 카운트를 어느 정도까지 고려하면서 프로그래밍을 하는 것이 좋은지 궁금합니다. [질문 2] 아래와 같이 코드를 수정해서 문제를 해결해도 별 문제가 없을까요?// 원본 코드 void Session::ProcessConnect() { // RELEASE_REF _connectEvent.owner = nullptr; _connected.store(true); // 세션 등록 GetService()->AddSession(GetSessionRef()); // 컨텐츠 코드에서 재정의 OnConnected(); // 수신 등록 RegisterRecv(); }// 수정된 코드 void Session::ProcessConnect() { _connected.store(true); // 세션 등록 GetService()->AddSession(GetSessionRef()); // RELEASE_REF _connectEvent.owner = nullptr; // 컨텐츠 코드에서 재정의 OnConnected(); // 수신 등록 RegisterRec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