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실기기출 자바편 4번 질문입니다
이 코드에서 참조변수 s2에 값을 할당할 때, B의 생성자를 호출해야 하는데, b는 a를 상속한 것이기 때문에 a의 기분생성자를 호출해야하기 때문에 A()에서 A가 출력되고, 매개변수가 있는 B생성자의 this()를 만나 A가 한 번 더 출력이되어XAABY가 출력이 되는 것이 아닌가요?ㅠㅠ 오개념이 있으면 바로 잡아주세요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assertEquals(), assertThat()
[질문 내용] 강사님께서 assertEquals() 메소드는 괄호 안에 assertEquals(expected기댓값, actual실제값), assertEquals(member, result) 하셨고, assertThat(member).isEqualTo(result); 작성하셨는데 제가 assertThat 메소드 도큐먼트를 확인하니 assertThat(actual실제값).isEqualTo(expected기대값) 으로 정의 되어있어서 그렇게 된다면, assertThat(result).isEqualTo(member) 해야 올바르게 작성하는 코드 아닌가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speed 변수 저장 관련(16:10 예제 내용 중 질문)
16:10 예제 내용 중에 질문있습니다. speed += increment; 에서 스피드 값이 저장되지 않는 이유는 생성자에서 this.speed = 0; 을 통해 초기화해서 저장 안되는 게 맞을까요?생성자에서 this.speed= 0; 이 없다면 Hyundai 속도 증가: 80km/h 일까요?
-
미해결RAG를 활용한 LLM Application 개발 (feat. LangChain)
pdf loader
안녕하세요 이번에 인프런 강의를 들으면서 프로젝트로 학과 정보를 소개하는 챗봇을 개발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pdf 안에 내용이 스캔되어 있어서 loader가 읽어오지 못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지 도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BigQuery(SQL) 활용편(퍼널 분석, 리텐션 분석)
2-11. 윈도우 함수 연습문제 7번
DATETIE_DIFF 함수 사용할 때 오류가 발생합니다무엇이 잘못되었을까요..?WITH base AS ( SELECT event_date, event_timestamp, DATETIME(TIMESTAMP_MICROS(event_timestamp),'Asia/Seoul') AS event_datetime, event_name, user_id, user_pseudo_id FROM advanced.app_logs ) , prev_event_datetime AS ( SELECT *, LAG(event_datetime) OVER(PARTITION BY user_pseudo_id ORDER BY event_datetime) AS prev_event_datetime FROM base ) SELECT *, DATETIME_DIFF(event_datetime,prev_event_datetime, SECOND) AS second_diff FROM prev_event_datetime
-
해결됨개발자를 위한 쉬운 도커
docker volume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도커 volume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저희가 수업에서는 db에 있는 data들을 volume에 연결하여 사용하였잖아요.근데 예를들어 nodejs 백엔드 프레임워크와 mongodb를 사용한다고 했을 때 제가 백엔드 서버에서 db서버로 유저 데이터를 보낸다했을 때 그 보낸 데이터가 제 로컬 피시에 저장이안되고 db자체 서버에 저장되는거같은데 굳이 volume을 왜 사용하는건가요?아 그리고 backend서버에도 volume이 필요할까요?필요하다면 어떨때 보통 volume에 데이터를 저장하나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Java: 상속을 정리하는 문제 10개 (16:30)
단원명: Java: 상속을 정리하는 문제 10개 시간대: 16분 30초안녕하세요.16:30에 나오는 코드를 실행하면 에러가 발생한다고 하셨는데 실제로 돌려보니 에러가 발생하지 않고 Parent 클래스의 display()가 실행됩니다. A라는 클래스를 B가 상속할 때 접근제어자가 private인 멤버변수나 메서드는 상속이 안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obj.display()를 하게되면 obj가 Child 타입으로 생성된 뒤 Parent 타입으로 업캐스팅된 상태이므로 Child 클래스 내에 display()가 있으면 그것을 실행해야 하지만 슈퍼클래스인 Parent의 display()의 접근제어자가 private이므로 오버라이딩되었다고 보지 않고 새로운 display()라는 메서드를 정의했다고 보고 Parent의 display가 실행되는 것 같습니다. 궁금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강의와 다르게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 이유에러가 발생하지 않고 parent display()가 실행되는 이유에 대해 제가 생각한 내용에 틀린 부분이 있는지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Java: 상속을 정리는 문제 10개Java: 상속을 정리하는 문제 10개Java: 상속을 정리하는 문제 10개
-
미해결Airflow 마스터 클래스
Label 설정 질문드립니다.
t1 >> [t2, t3, t3] 의 실행흐름에서 t1 >> Label('description') >> [t2, t3, t3] 으로 설정했을때 그래프에서 모든 분기에 설명이 공통으로 설정되는것을 확인했습니다. 그런데 각각의 실행흐름에 대해 라벨링을 하고싶을때는t1 >> Label('dscritpion') >> t2t1 >> Label('dscritpion') >> t3 이렇게 설정하는방법말고 다른 방법은 없을까요? 예를들어 t1 >> [Label('description'), Label('description')] >> [t2, t3]이렇게는 설정이 안되는것으로 보여서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주문조회 4V; jpa에서 DTO 직접 조회] 응답으로 DTO 전달 시, enum 과 값 타입 포함 관련
안녕하세요, 강의에서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응답으로 엔티티를 그대로 반환하는 것이 아닌, DTO 를 반환하는 이유 중 하나가엔티티 변경 시, API 스펙에도 영향이 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라고 이해했습니다. 그렇다면, 4:35 분 경, OrderQueryDto 를 구성할 때, Entity 에서, 해당 값들을 받아올 때, 1) Address 와 같은 값 타입이나,OrderStatus 와 같은 enum 들도, 별도의 Dto 로 만들어서 반환해야 되는것인지, 2) 그게 아니라면, 값 타입이나, Enum 값은 변경이 별로 없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그대로 내려줘도 되는 것일지3) 둘 다 이유가 될 경우, 최종적으로는, 회사 별 코드 스타일대로 따르면 될지 질문드려요.
-
해결됨실시간 트렌드 홈페이지 개발(파이썬 크롤링 + Flask)
교육 자료나 프로그램 소스 위치 알려주세요.
교육 자료나 프로그램 소스는 어디에 있나요?
-
미해결
19강_Embeddings_Layers를 반드시 통과시기고 LSTM에 통과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
030_IMDB_movie_reviews.ipynb 모델을 선언할 때 보면 다음과 같이 진행이 됩니다. # <pad> token 추가하느라 + 1이 들어갔다. / add로도 할 수 있다. model = Sequential([ Embedding(vocab_size + 1, 64), # 임베딩 레이어 추가 (어휘 크기 + 1, 임베딩 차원 64) Bidirectional(tf.keras.layers.LSTM(64)), # 양방향 LSTM 레이어 추가 (유닛 수 64) Dense(64, activation='relu'), Dense(1, activation='sigmoid') ]) 임베딩은 인코딩된 문장에 맥락을 부여하는 단계입니다.Bidirectional Lstm은 hidden state와 cell state 등으로 Long Term, Short Term인 기억을 문장에 대하여 가져갑니다.따라서 임베딩 레이어의 기능은 bidirectional lstm도 수행할 수 있습니다.그러므로 임베딩 layer는 모델에서 제외해도 가능합니다. 이라고 생각을 하여서, 위 질문을 그대로 chat gpt를 활용하여 답을 구해보았습니다. 그랬더니, 3번부터 틀렸다고 전달을 받았습니다.임베딩 레이어는 단어를 밀집 벡터로 변환하여 의미적 유사성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고, 모델이 숫자 인덱스 대신 의미 있는 벡터를 사용할 수 있게 합니다. LSTM 레이어는 연속적인 정보를 학습하며, 주로 시퀀스 내에서의 시간적 의존성을 이해하는 데 사용됩니다.이렇게 이해를 하면 적절하게 이해를 한 것일까요?나아가, embedding layer는 정수 인코딩된 문장을 dense layer를 통과시키는 것과 거의 유사한 역할을 하는 것이 맞나요?
-
미해결실습으로 배우는 핵심 네트워크 기술
스위치 초기화
스위치 초기화 명령어로 erase startup을 알려주셨는데이렇게 rommon에서 지우는 것과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
해결됨소프트웨어 업데이트 : Re-Programming 과정에 대한 이해
Transfer data(36) 서비스의 "block sequence counter" 에 대한 질문입니다.
강사님,36 서비스를 사용해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패키지를 전달할때,Block Sequence Counter 가 포함되는데요.Block Sequence Counter 의 범위가 00~FF 밖에 되지 않습니다.만약 Block 갯수가 255개를 넘어가는 경우에는 다시 00부터 시작하는것이 표준 동작인지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ascending=False 오류
안녕하세요. df.sort_values("가격",ascending=False) dfascending=False 했으나 정렬이 변하지 않습니다.오류 해결 방법 알려주세요.감사합니다.
-
해결됨대용량 채팅 TPS 처리를 위한 웹소켓 통신 만들며 학습하기
현재 강의에서 재생관련 문제가 있어서 전달드립니다.
"서버의 기본 구조 작성하기"에서 동영상 일시정지 후 다시 재생하기를 하였을때, 재생이 안되는 현상이 있습니다.새로고침 하면 문제가 해결되지만, 강의 수강중에 이런 문제가 발생하면 불편해서 보고 드립니다.참고로 다른 커리큘럼에서도 일시정지 후 일정시간 이 지나고(체감상 5분 10분정도) 재생이 안되는 현상이 있습니다.이 문제에 대해 참고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실전도커: 도커로 나만의 딥러닝 클라우드 컴퓨터 만들기
RStudio Server에서 발생하는 권한 오류
안녕하세요 선생님, 수업 재밌게 잘 듣고 있습니다.다름이 아니라 Module 8 - R을 위한 도커 강의 중 컨테이너와 RStudio를 연결해 실행하는 과정에서 계속 권한 관련 오류가 나타나 해결방법을 여쭙고 싶습니다.docker run 커맨드를 입력할때 sudo를 같이 써보기도 하였으나 계속 permission 문제가 발생해 가상머신의 경로에 진입이 안되고 계속 튕겨서... 실수하거나 놓친 부분이 있는지 알고싶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FrontController - v1 회원목록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회원가입하고 회원목록 조회할때이런에러가 나옵니다 member 안에들어있는 값을 불러오지 못하는거같습니다
-
해결됨[리뉴얼] 맛집 지도앱 만들기 (React Native & NestJS)
[해결 방법] AxiosError: Request failed with status code 401
npx react-native run-ios 로 실행하는 것이 아닌Xcode에서 build 실행하셔야 적용됩니다!!
-
해결됨실무 환경 그대로 주문게시판 만들기 웹개발 기초 마스터
개발환경구성
메이븐 프로젝트 구성하려는데 이렇게 뜨네요 .. ownloaded[90m from [0mcentral[90m: https://repo.maven.apache.org/maven2/[0marchetype-catalog.xml[90m (16 MB at 6.9 MB/s)[0m[WARNING] Archetype not found in any catalog. Falling back to central repository.[WARNING] Add a repository with id 'archetype' in your settings.xml if archetype's repository is elsewhere.[INFO] [1m------------------------------------------------------------------------[m[INFO] [1;31mBUILD FAILURE[m[INFO] [1m------------------------------------------------------------------------[m[INFO] Total time: 4.579 s[INFO] Finished at: 2024-10-13T09:22:50+09:00[INFO] [1m------------------------------------------------------------------------[m[ERROR] Failed to execute goal [32morg.apache.maven.plugins:maven-archetype-plugin:3.3.0:generate[m [1m(default-cli)[m on project [36mstandalone-pom[m: [1;31mThe desired archetype does not exist (com.nexacro.archetype:uiadapter-spring-sample-archetype:1.0.1-20220603.053230-4)[m -> [1m[Help 1][m[ERROR][ERROR] To see the full stack trace of the errors, re-run Maven with the [1m-e[m switch.[ERROR] Re-run Maven using the [1m-X[m switch to enable full debug logging.[ERROR][ERROR] For more information about the errors and possible solutions, please read the following articles:[ERROR] [1m[Help 1][m http://cwiki.apache.org/confluence/display/MAVEN/MojoExecutionException
-
해결됨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2 - 언리얼 게임 프레임웍의 이해
OnHpChanged 델리게이트의 broadcast 호출시점에 대한 궁금증이 있습니다.
우선 제가 알고있는 바로는 UABCharacterStatComponent::BeginPlay() 가 호출될 시, 내부에서 SetHp 함수가 호출되며 그 안에 있는 OnHpChanged.Broadcast(CurrentHp); 가 호출되므로, 그 전에 OnHpChanged가 바인딩되어 있어야 한다. UABHpBarWidget::NativeConstruct() 내부에 SetupCharacterWidget(this) 가 호출되고, 이 안에서 Stat->OnHpChanged.AddUObject를 통해 &UABHpBarWidget::UpdateHpBar 를 바인딩한다. ---먼저 OnHpChanged 에 어떤 함수를 바인딩 후에 1. 처럼 Broadcast 를 하는것이 순서로 알고 있는데, 위젯의 NativeConstruct() 는 스탯컴포넌트의 BeginPlay() 보다 늦게 호출되는 것으로 알고 있어서 만약 이것이 사실이라면, 2. 의 바인딩 과정 이전에 이미 스탯컴포넌트의 BeginPlay를 통해서 바인딩되지 않은 OnHpChanged를 Broadcast를 해버리는 결과가 생길수도 있는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