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업캐스팅 강의 16:35 질문있습니다
업캐스팅 문제 예시 8에서A b = new B(1);b.paint();b.draw();b.specialDraw(); // 여기는 어떻게 될까? 이 부분에서 업캐스팅의 경우 부모클래스에 specialDraw 메서드가 정의 되어있지 않아서 오류가 난다는 것 까지 이해했습니다. 그러면 메인에서 A b = new B(1); 업캐스팅 부분을B b = new B(1)로 바꾸면 어떻게 출력되나요?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HandlerExceptionResolver의 sendError, ModelAndView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아래의 흐름이 맞는지 확인해보고 싶어 질문드립니다.정리:일반적인 예외:Spring MVC가 처리되지 않은 예외를 감지합니다.Spring MVC는 이 예외를 WAS에게 전달합니다.WAS는 기본적으로 500 Internal Server Error를 설정합니다.Spring Boot 환경에서는 BasicErrorController가 호출되어 최종 에러 응답을 생성합니다.HandlerExceptionResolver에서 빈 ModelAndView 반환:Spring MVC는 예외가 처리되었다고 간주합니다.만약 resolver 내에서 response.sendError()를 호출했다면:WAS는 요청 처리 완료 후 에러 상태를 감지합니다.WAS는 에러 처리 메커니즘을 시작합니다.Spring Boot 환경에서는 BasicErrorController가 호출됩니다.sendError()를 호출하지 않았다면, 일반적인 응답으로 처리됩니다.HandlerExceptionResolver에서 null 반환:Spring MVC는 다음 resolver로 예외 처리를 계속 시도합니다.모든 resolver가 null을 반환하면, 예외는 처리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됩니다.처리되지 않은 예외는 WAS에게 전달됩니다.WAS는 500 Internal Server Error를 설정합니다.Spring Boot 환경에서는 BasicErrorController가 호출됩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redirect vs. forward사용예
redirect 는 실제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에 응답이 나갔다가, 클라이언트가 redirect 경로로 다시 요청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가 인지할 수 있고, URL 경로도 실제로 변경된다. 반면에 forward는 서버 내부에서 일어나는 호출이기 때문에 클라이언트가 전혀 인지하지 못한다. 라고 설명해주셧는데 redirect 같은 경우는 HTTP강의에서 영구적인 경우는 흔히 웹 사이트 주소가 바뀔때 유저가 예전 URL로 접근할시 새로운 URL로 연결해주는 역할을 할대 ㅅ ㅏ용하고 일시적인 경우 주문 후에 새로 고침으로 인한 중복 주문 방지로 주로 쓰인다고 했는데 FORWARD는 언제 사용하는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localhost8080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localhost8080 에 whitelabel error page 가 그대로 나타납니다 http://localhost:8080/hello?username=sun 을 했을땐 터미널에는 잘 찍힙니다왜 whitelabel error page 가 사라지지않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오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APPLICATION FAILED TO START***************************Description:Web application could not be started as there was no org.springframework.boot.web.servlet.server.ServletWebServerFactory bean defined in the context.Action:Check your application's dependencies for a supported servlet web server.Check the configured web application type.이런오류가 발생합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C언어기출문제의 변형 13분 대
풀이 영상 밑에 고치신거 적어주셨는데 이해가 잘안되요 ㅠ.. 전체 풀이 식 좀 정리해주시면 안될까요?
-
미해결청년 전문 창업 교육
화면이 멀리있어서 잘 안 보여요! 혹시 PPT 자료를 받을 수 있을까요?
질문 내용은 제목과 같습니다. 제공이 어렵다면 마지막에 강사님 이메일이라도 알고 싶은데, 가능할까요?
-
미해결실전! Querydsl
실무에서 Dto 객체에 대한 @Data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아니요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Data는 getter, setter, toString, EqaulsAndHashcode등을 포함한 어노테이션으로 알고 있습니다.Dto는 전달 객체이기 때문에 Setter를 쓰셔도 된다고 하셨는데 그렇다면 @Data 어노테이션을 실무에서 사용 해도 무방하나요?혹은 Dto 객체에는 @Getter, @Setter 정도로만 사용하나요?
-
해결됨누구나 쉽게 시작하는 웹개발 기초 (Basic Web Development Course)
강의 자료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혹시 강의 시 사용된 강의 자료를 받아 볼 수 있을까요?정중히 요청 드려봅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
데이터의 이해 강의에서 "표 형식으로 정리해줘"가 안됩니다.
- 질문 1: “각 변수별로 평군, 중앙값, 표준편차, 최소값, 최대값을 알려주고, 표 형식으로 정리해줘” - 질문 2: “데이터 세트의 분포는 어떻게 되나요? 특정 변수에서 편향이나 이상치가 보이나요?”위와 같이 프롬프트를 입력하면답변:우선 질문 1부터 진행하기 위해 데이터셋을 준비하고, 평균, 중앙값, 표준편차, 최소값, 최대값을 구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작업을 위해 데이터를 업로드해 주시거나, 데이터를 사용할 준비가 완료되면 알려주세요. 데이터를 파이썬으로 분석한 뒤, 결과를 표 형식으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이후, 질문 2에서 데이터의 분포와 특정 변수의 편향 또는 이상치를 파악하는 작업을 진행하겠습니다. 이를 위해 데이터를 탐색적으로 분석하고, 분포를 시각화하여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데이터를 업로드해 주시면 바로 분석을 시작하겠습니다! 😊위의 답변 이전까지는 업로드한 데이터에 대해 강좌에서 설명한 대로 출력이 되었지만 위 질문부터 다시 데이서를 업로드 해달라고 해서 Data Analysis가 시키는 대로 이러저러한 방법으로 해도 안되네요.아래는 몇 가지 제시한 방법인데 다 안됩니다.어떤 상황일까요?~~~~~~~~~~~파일이 아직 업로드되지 않은 것 같습니다. 파일을 드래그하거나 업로드 버튼을 사용해 다시 시도해 보세요. 만약 계속 문제가 발생한다면, 아래 방법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파일 선택 버튼 사용: 메시지 입력 창 근처에 있는 클립 아이콘을 클릭하여 파일을 선택해 주세요.파일 형식 확인: 업로드하려는 파일의 형식이 .csv, .xlsx와 같은 일반적인 데이터 파일 형식인지 확인해 주세요.만약 업로드에 계속 문제가 있으면, 다른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달할 방법을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지금 보니 제가 파일 업로드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닌 것 같습니다.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대신 다른 방법으로 파일을 공유해 주셔야 할 것 같아요. 아래 방법을 고려해 주세요:파일 내용을 텍스트로 제공: 데이터 파일의 일부를 텍스트로 제공해 주시면, 그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파일 공유 링크: 파일을 클라우드 서비스(예: Google Drive, Dropbox)에 업로드하고, 공유 링크를 제공해 주시면 접근 가능한 범위에서 파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어떤 방법이든 편한 대로 선택해 주세요. 파일을 받을 준비가 되면 바로 분석을 시작하겠습니다! 😊~~~~~~~~~~~~~~~~~~~~~~~~~~https://drive.google.com/file/d/1oaZSw59lMjsbkWY4Q-Yzk5qYWDG9-btn/view?usp=sharing위와 같이 구글 드라이브에 화일을 올리고 권한을 설정한 후 링크를 올렸는데도 아래와 같는 결과가 나옵니다.ChatGPT의 말:현재 Google Drive 파일에 직접 접근할 수 없는 상태입니다. 올려주신 링크로는 파일을 다운로드하거나 열람할 수 없으니, Google Drive에서 파일의 공유 설정을 "링크가 있는 모든 사용자"에게 열람 권한을 부여하도록 변경해 주시고, 다시 링크를 공유해 주세요.설정이 완료되면, 그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을 진행하겠습니다.
-
미해결앨런 iOS 앱 개발 (15개의 앱을 만들면서 근본원리부터 배우는 UIKit) - MVVM까지
(기초-3) 가위바위보 앱 만들기 / 코드 설정하기 - 2 (기초 앱 12강)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주사위만들기 앱에서 viewDidLoad()를 다음과같이 정의하고 RESET 버튼을 눌렀을 때 viewDidLoad()를 호출해도 되나요? 작동은 하는데 비효율적이고 문제가 되는 부분이 있을 것 같은데 궁금합니다. override func viewDidLoad() { super.viewDidLoad() mainLabel.text = "선택하세요" // 1) 첫번째, 두번째 이미지 뷰에 준비 이미지를 띄워야 함 comImageView.image = imageLiteral(resourceName: "ready") myImageView.image = UIImage(named: "ready.png") // 2) 첫번째, 두번째 레이블에 "준비" 라는 문자열을 띄워야 함 comLabel.text = "준비" myLabel.text = "준비" }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컴파일 에러가 나는데 원인을 모르겠어요 ㅜㅜ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http://boj.kr/b607e5846a7142e7b6c87f146bc1a3c9
-
해결됨
운영체제) MMU는 어디에 존재하나요?
메모리 관리자는 어디에 위치해있나요? cpu 와 메모리 관리자는 따로 존재한다는 위키를 확인했습니다!그럼 Segment Table Base Register이랑 Page Table Base Register은 메모리 관리자 안에 있다는 강의를 봤거든요. 어떻게 그렇게 될까요..?메모리와 연결되어 있기때문에 STBR이랑 PTBR이 메모리관리자 안에 있을 수 있는 걸까요?
-
해결됨[리뉴얼] 맛집 지도앱 만들기 (React Native & NestJS)
실행 실패
npm run start // 이후 i 입력 후 IOS 시뮬레이터 실행위 명령어를 실행하면 yarn run v1.22.19$ react-native start ▒▒▓▓▓▓▒▒ ▒▓▓▓▒▒░░▒▒▓▓▓▒ ▒▓▓▓▓░░░▒▒▒▒░░░▓▓▓▓▒ ▓▓▒▒▒▓▓▓▓▓▓▓▓▓▓▓▓▒▒▒▓▓ ▓▓░░░░░▒▓▓▓▓▓▓▒░░░░░▓▓ ▓▓░░▓▓▒░░░▒▒░░░▒▓▒░░▓▓ ▓▓░░▓▓▓▓▓▒▒▒▒▓▓▓▓▒░░▓▓ ▓▓░░▓▓▓▓▓▓▓▓▓▓▓▓▓▒░░▓▓ ▓▓▒░░▒▒▓▓▓▓▓▓▓▓▒░░░▒▓▓ ▒▓▓▓▒░░░▒▓▓▒░░░▒▓▓▓▒ ▒▓▓▓▒░░░░▒▓▓▓▒ ▒▒▓▓▓▓▒▒ Welcome to Metro v0.76.8 Fast - Scalable - Integratedr - reload the appd - open developer menui - run on iOSa - run on Androidinfo Opening the app on iOS...info Found Xcode workspace "kobeReactNative.xcworkspace"info No booted devices or simulators found. Launching first available simulator...info Launching iPhone SE (3rd generation) (iOS 18.0)info Building (using "xcodebuild -workspace kobeReactNative.xcworkspace -configuration Debug -scheme kobeReactNative -destination id=A9D1DDD6-6FB9-4912-B4F1-048775538E64")info 💡 Tip: Make sure that you have set up your development environment correctly, by running react-native doctor. To read more about doctor command visit: https://github.com/react-native-community/cli/blob/main/packages/cli-doctor/README.md#doctor Command line invocation: /Applications/Xcode.app/Contents/Developer/usr/bin/xcodebuild -workspace kobeReactNative.xcworkspace -configuration Debug -scheme kobeReactNative -destination id=A9D1DDD6-6FB9-4912-B4F1-048775538E64User defaults from command line: IDEPackageSupportUseBuiltinSCM = YESPrepare packagesComputeTargetDependencyGraphnote: Building targets in dependency ordernote: Target dependency graph (56 targets) Target 'kobeReactNative' in project 'kobeReactNative' ➜ Implicit dependency on target 'Pods-kobeReactNative' in project 'Pods' via file 'libPods-kobeReactNative.a' in build phase 'Link Binary' ➜ Implicit dependency on target 'CocoaAsyncSocket' in project 'Pods' via options '-lCocoaAsyncSocket' in build setting 'OTHER_LDFLAGS' ➜ Implicit dependency on target 'DoubleConversion' in project 'Pods' via options '-lDoubleConversion' in build setting 'OTHER_LDFLAGS' ➜ Implicit dependency on target 'Flipper' in project 'Pods' via options '-lFlipper' in build setting 'OTHER_LDFLAGS' ➜ Implicit dependency on target 'Flipper-Boost-iOSX' in project 'Pods' via options '-lFlipper-Boost-iOSX' in build setting 'OTHER_LDFLAGS' ➜ Implicit dependency on target 'Flipper-Fmt' in project 'Pods' via options '-lFlipper-Fmt' in build setting 'OTHER_LDFLAGS' ➜ Implicit dependency on target 'Flipper-Folly' in project 'Pods' via options '-lFlipper-Folly' in build setting 'OTHER_LDFLAGS' ➜ Implicit dependency on target 'Flipper-PeerTalk' in project 'Pods' via options '-lFlipper-PeerTalk' in build setting 'OTHER_LDFLAGS' ➜ Implicit dependency on target 'FlipperKit' in project 'Pods' via options '-lFlipperKit' in build setting 'OTHER_LDFLAGS' ➜ Implicit dependency on target 'RCT-Folly' in project 'Pods' via options '-lRCT-Folly' in build setting 'OTHER_LDFLAGS' ➜ Implicit dependency on target 'RCTTypeSafety' in project 'Pods' via options '-lRCTTypeSafety' in build setting 'OTHER_LDFLAGS' ➜ Implicit dependency on target 'React-Codegen' in project 'Pods' via options '-lReact-Codegen' in build setting 'OTHER_LDFLAGS' ➜ Implicit dependency on target 'React-Core' in project 'Pods' via options '-lReact-Core' in build setting 'OTHER_LDFLAGS' ➜ Implicit dependency on target 'React-CoreModules' in project 'Pods' via options '-lReact-CoreModules' in build setting 'OTHER_LDFLAGS' ➜ Implicit dependency on target 'React-NativeModulesApple' in project 'Pods' via options '-lReact-NativeModulesApple' in build setting 'OTHER_LDFLAGS' ➜ Implicit dependency on target 'React-RCTAnimation' in project 'Pods' via options '-lReact-RCTAnimation' in build setting 'OTHER_LDFLAGS' ➜ Implicit dependency on target 'React-RCTAppDelegate' in project 'Pods' via options '-lReact-RCTAppDelegate' in build setting 'OTHER_LDFLAGS' ➜ Implicit dependency on target 'React-RCTBlob' in project 'Pods' via options '-lReact-RCTBlob' in build setting 'OTHER_LDFLAGS' ➜ Implicit dependency on target 'React-RCTImage' in project 'Pods' via options '-lReact-RCTImage' in build setting 'OTHER_LDFLAGS' ➜ Implicit dependency on target 'React-RCTLinking' in project 'Pods' via options '-lReact-RCTLinking' in build setting 'OTHER_LDFLAGS' ➜ Implicit dependency on target 'React-RCTNetwork' in project 'Pods' via options '-lReact-RCTNetwork' in build setting 'OTHER_LDFLAGS' ➜ Implicit dependency on target 'React-RCTSettings' in project 'Pods' via options '-lReact-RCTSettings' in build setting 'OTHER_LDFLAGS' ➜ Implicit dependency on target 'React-RCTText' in project 'Pods' via options '-lReact-RCTText' in build setting 'OTHER_LDFLAGS' ➜ Implicit dependency on target 'React-RCTVibration' in project 'Pods' via options '-lReact-RCTVibration' in build setting 'OTHER_LDFLAGS' ➜ Implicit dependency on target 'React-cxxreact' in project 'Pods' via options '-lReact-cxxreact' in build setting 'OTHER_LDFLAGS' ➜ Implicit dependency on target 'React-debug' in project 'Pods' via options '-lReact-debug' in build setting 'OTHER_LDFLAGS' ➜ Implicit dependency on target 'React-hermes' in project 'Pods' via options '-lReact-hermes' in build setting 'OTHER_LDFLAGS' ➜ Implicit dependency on target 'React-jsi' in project 'Pods' via options '-lReact-jsi' in build setting 'OTHER_LDFLAGS' ➜ Implicit dependency on target 'React-jsiexecutor' in project 'Pods' via options '-lReact-jsiexecutor' in build setting 'OTHER_LDFLAGS' ➜ Implicit dependency on target 'React-jsinspector' in project 'Pods' via options '-lReact-jsinspector' in build setting 'OTHER_LDFLAGS' ➜ Implicit dependency on target 'React-logger' in project 'Pods' via options '-lReact-logger' in build setting 'OTHER_LDFLAGS' ➜ Implicit dependency on target 'React-perflogger' in project 'Pods' via options '-lReact-perflogger' in build setting 'OTHER_LDFLAGS' ➜ Implicit dependency on target 'React-runtimescheduler' in project 'Pods' via options '-lReact-runtimescheduler' in build setting 'OTHER_LDFLAGS' ➜ Implicit dependency on target 'React-utils' in project 'Pods' via options '-lReact-utils' in build setting 'OTHER_LDFLAGS' ➜ Implicit dependency on target 'ReactCommon' in project 'Pods' via options '-lReactCommon' in build setting 'OTHER_LDFLAGS' ➜ Implicit dependency on target 'SocketRocket' in project 'Pods' via options '-lSocketRocket' in build setting 'OTHER_LDFLAGS' ➜ Implicit dependency on target 'Yoga' in project 'Pods' via options '-lYoga' in build setting 'OTHER_LDFLAGS' ➜ Implicit dependency on target 'YogaKit' in project 'Pods' via options '-lYogaKit' in build setting 'OTHER_LDFLAGS' ➜ Implicit dependency on target 'fmt' in project 'Pods' via options '-lfmt' in build setting 'OTHER_LDFLAGS' ➜ Implicit dependency on target 'glog' in project 'Pods' via options '-lglog' in build setting 'OTHER_LDFLAGS' ➜ Implicit dependency on target 'libevent' in project 'Pods' via options '-llibevent' in build setting 'OTHER_LDFLAGS' Target 'Pods-kobeReactNative' in project 'Pods' ➜ Explicit dependency on target 'CocoaAsyncSocket' in project 'Pods' ➜ Explicit dependency on target 'DoubleConversion' in project 'Pods' ➜ Explicit dependency on target 'FBLazyVector' in project 'Pods' ➜ Explicit dependency on target 'FBReactNativeSpec' in project 'Pods' ➜ Explicit dependency on target 'Flipper' in project 'Pods' ➜ Explicit dependency on target 'Flipper-Boost-iOSX' in project 'Pods' ➜ Explicit dependency on target 'Flipper-DoubleConversion' in project 'Pods' ➜ Explicit dependency on target 'Flipper-Fmt' in project 'Pods' ➜ Explicit dependency on target 'Flipper-Folly' in project 'Pods' ➜ Explicit dependency on target 'Flipper-Glog' in project 'Pods' ➜ Explicit dependency on target 'Flipper-PeerTalk' in project 'Pods' ➜ Explicit dependency on target 'FlipperKit' in project 'Pods' ➜ Explicit dependency on target 'OpenSSL-Universal' in project 'Pods' ➜ Explicit dependency on target 'RCT-Folly' in project 'Pods' ➜ Explicit dependency on target 'RCTRequired' in project 'Pods' ➜ Explicit dependency on target 'RCTTypeSafety' in project 'Pods' ➜ Explicit dependency on target 'React' in project 'Pods' ➜ Explicit dependency on target 'React-Codegen' in project 'Pods' ➜ Explicit dependency on target 'React-Core' in project 'Pods' ➜ Explicit dependency on target 'React-CoreModules' in project 'Pods' ➜ Explicit dependency on target 'React-NativeModulesApple' in project 'Pods' ➜ Explicit dependency on target 'React-RCTActionSheet' in project 'Pods' ➜ Explicit dependency on target 'React-RCTAnimation' in project 'Pods' ➜ Explicit dependency on target 'React-RCTAppDelegate' in project 'Pods' ➜ Explicit dependency on target 'React-RCTBlob' i이런 로그에서 멈춰서 더 이상 진행이 안되는데, 뭐가 문제인지 도저히 감이 잡히질 않네요 ㅠ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실행 순서
class Parent{ Parent(){ //1 System.out.println("Parent Constructor"); }}class Child extends Parent{ Child(){ //2 System.out.println("Child Constructor"); }}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3 Child c = new Child(); //4 }}이 코드에서의 실행 순서를 묻는다면 3-4-2-1 인가요 3-4-1-2 인가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c언어 기출문제의 변형
23:09초에 ++*ptr은 값이 20이면 21이 되는거고*ptr++는 값이 변하는 게 아닌 메모리의 주소가 100이면 101이 되는 이유가 뭘까요..? ++가 앞에 붙으면 값이 느는거고 뒤에 붙으면 메모리 주소가 느는 걸까요?
-
해결됨직장인에게 꼭 필요한 파이썬-아래아한글 자동화 레시피
동일한 데이터 프레임 구조에서 엑셀 자료를 한글로 반복적으로 변환하기
중급 이상의 강의를 선택해서 공부하는 것이 너무 어려워요. 초보적 내용도 완전히 이해를 하지 못해서 그런가봅니다. 예를 들어서 5*5의 엑셀 자료를 5*5의 한글 표에 입력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하루가 지난 후에 한글 표의 셀 내용을 모두 지우고 동일한 포맷에 새로운 자료를 다시 입력하구요. 어떤 구조로 파이썬 코드를 작성하면 좋을지 힌트 좀 주세요.^^
-
미해결
한/글 표안의 표를 이미지추출하여 엑셀로 저장하는게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현재 한글문서의 데이터수집업무를 수행하면서, 표의 데이터를 엑셀로 바꾸는 작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표안의 표의 데이터(아래의 예시 사진 참조)를 엑셀의 하나의 셀로 넣는데는 어려움이 있다는 것입니다. 텍스트만 들어 있을 경우는 선생님께서 올렸던 강의(누름틀 없는 대량의 한/글 문서를 엑셀로 취합하기)를 참고해서 코드를 제작해서 해결해 왔으나, 표 안의 표는 어떤 식 수집해서 엑셀의 하나의 셀에 넣을 수 있을지 아이디어가 있을까요?저에게 맡기기 전에는 캡처해서 엑셀에 넣었다고 하는데, 그 때는 몇개 없으니 가능한데, 지금은 너무 많아서 수작업하면 거의 한달동안은 야근 각이네요. ㅠㅠ
-
미해결[유니티6] 따라하면서 배우는 고박사의 2D 플랫포머 게임 제작
jumpBuffer에서 if(IsGrounded) 설정이 있어야 될 것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void JumpAdditive(){ if(jumpBufferCounter >0) jumpBufferCounter -=Time.deltaTime; if(jumpBufferCounter >0){ if(IsGrounded) { rb.velocity = new Vector2(rb.velocity.x, jumpForce); jumpBufferCounter =0; } } }강의에서는 그것이 빠진 것 같아요.==============앗 제가 조금 성급했던 것 같습니다.... hangTime 이 적용되기 전에 저렇게 생각했는데...hangTime이 같이 어우러져서 조건이 만들어 지면...강사님의 방식이 맞는 것 같아요.
-
해결됨직장인에게 꼭 필요한 파이썬-아래아한글 자동화 레시피
셀 배경색 구하기
일코님 안녕하세요. 궁금한 것이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다음과 같은 표에서 색이 칠해져 있는 셀을 구분하고 싶습니다.반복문을 이용해서 A열에 몇번째 행에 색이 칠해져 있는지 구하려고 합니다.현재 아래와 같은 코드로 셀 배경 색 값을 구하고 반복문을 돌리려고 하는데 잘 되지 않아서 질문 드립니다.아래 코드는 일부분 입니다.def FindCellColor(): hwp.HAction.Run("TableCellBlock") hwp.HAction.GetDefault("CellBorderFill", hwp.HParameterSet.HCellBorderFill.HSet) cell_fill = hwp.HParameterSet.HCellBorderFill.FillAttr.WinBrushFaceColor hwp.HAction.Execute("CellBorderFill", hwp.HParameterSet.HCellBorderFill.HSet) print(cell_fill) if cell_fill == 0: Color = 0 else : Color = 1 return Color def 셀코드화(): SpanCnt = 0 hwp.HAction.Run("MoveDocBegin") for p in range(2): ColArr = [] hwp.HAction.Run("SelectCtrlReverse") hwp.HAction.Run("ShapeObjTextBoxEdit") hwp.HAction.Run("TableLowerCell") for k in range(4): SpanCnt = 1 for i in range(5): hwp.HAction.Run("Cancel") Color = FindCellColor() if Color == 1: ColArr[p].append(SpanCnt) SpanCnt = 0 break else : hwp.HAction.Run("Cancel") hwp.HAction.Run("TableLowerCell") SpanCnt = SpanCnt + 1 hwp.HAction.Run("Cancel") hwp.HAction.Run("TableColPageUp") hwp.HAction.Run("TableRightCell") hwp.HAction.Run("TableLowerCell") hwp.HAction.Run("MovePageDown") print("p값은",p) 아래 자바스크립트 코드로 한글에서 직접 하나씩 해보면 잘 됩니다..function OnDocument_New(){ // 현재 테이블 셀을 선택 HAction.Run("TableCellBlock"); HAction.GetDefault("CellBorderFill", HParameterSet.HCellBorderFill.HSet); with (HParameterSet.HCellBorderFill) { cell_fill = FillAttr.WinBrushFaceColor } HAction.Execute("CellBorderFill", HParameterSet.HCellBorderFill.HSet); // 배경색 정보를 알림으로 출력 alertBasic("셀의 배경색: " + cell_fill); } function alertBasic(text, type) { XHwpMessageBox.String = text; XHwpMessageBox.Flag = type || 0; XHwpMessageBox.DoMod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