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주요 메서드2 부분 수업자료 오타가 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수업자료 pdf 주요 메서드 2 부분의 처음 코드 (replace 부분)에서코드에는 `replaceAll()` 메서드의 내용이 없는데 결과에는 해당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해당 내용 => [모든 'Java'를 'World'으로 대체: Hello, World! Welcome to World]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concat함수와 +의 차이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복습을 하다 궁금한점이 생겼는데 위 코드에서 concat을 쓰고 반환값을 받지 않은거랑 밑에 +로 작성한 코드는 같은 코드가 아닌가요? 위코드는 반환값을 받지 않아도 되고 밑에 코드는 반환값을 받지않아서 컴파일 오류가 나는데 무슨 차이인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자바 String replace() 메서드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스트링 메서드() 들을 이용해서 문자를 바꿀 려고 하는데,어렵네요. 일단 바꾸기는 했는데 다른 방법으로 가능한지 알고 싶어서 여쭤봅니다.StringChangeMain1 에 있는 str의 글자를 이용해서두번째 'Java'를 'World'로 바꿀 려고 하는데..이런 코드 밖에 생각이 안나네요.혹 더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답변 부탁 드립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질문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LottoGenerator의 클래스에서Random random = new Random(); 보통 private final은 절대 바꾸지 않을떄 사용하는건데이 랜덤 생성을 private final로 주신 이유가 뭔가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UnsatisfiedDependencyException에러가 안잡힙니다.
[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https://drive.google.com/file/d/1fuxg2PcUZOT1bxTbwcTS5ZLdbO-Iz_M5/view?usp=drive_link현재 제 프로젝트 압축파일을 구글 드라이브에 업로드했습니다. 현재 듣고 있는 강의는 섹션7. 조회한 빈이 모두 필요할 때, List,Map입니다.듣고 있는 부분은 8분34초 입니다. https://www.inflearn.com/questions/1089023/이 답변을 참고해서 해결방안 2, 해결방안 3을 모두 적용해봤지만 오류가 해결되지 않고있습니다.어떤작업을 해야할까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findAllBean 테스트 오류(member를 빈으로 등록하라는 오류)
[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섹션 7의 조회한 빈이 모두 필요할 때, List, Map 강의 위치 => 05:02 @Autowired에 빨간 밑줄이 가서 다른 질문글을 찾아보고 DiscountService에 @Component 어노테이션을 달아줬습니다.그래도 똑같은 오류가 뜹니다. package hello.core.autowired.allbean; import hello.core.AutoAppConfig; import hello.core.discount.DiscountPolicy; import hello.core.member.Member;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mponent; import java.util.List; import java.util.Map; public class AllBeanTest { @Test void findAllBean(){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utoAppConfig.class, DiscountService.class, Member.class ); } //기존 orderService를 수정하면 코드 수정하기 복잡해져서 테스트용 클래스 따로 만들음. @Component static class DiscountService{ private final Map<String, DiscountPolicy> policyMap; private final List<DiscountPolicy> policies; @Autowired public DiscountService(Map<String, DiscountPolicy> policyMap, List<DiscountPolicy> policies) { this.policyMap = policyMap; this.policies = policies; System.out.println("policyMap = " + policyMap); System.out.println("policies = " + policies); } }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UnsatisfiedDependency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member' defined in file [C:\Users\hotay\OneDrive\바탕 화면\study\core\core\build\classes\java\main\hello\core\member\Member.class]: Unsatisfied dependency expressed through constructor parameter 0: No qualifying bean of type 'java.lang.Long' available: expected at least 1 bean which qualifies as autowire candidate. Dependency annotations: {}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제가 짠 코딩이 문제가 뭔지 궁금합니다.(뭐가 문제인지는 알겠는데 이해가 안 가서 질문을 드립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이렇게 해야 제대로 돌아간다고 배웠는데 제가 짠 코딩은 productOrders[0] = new ProductOrder(); 을 빠트렸어요. ProductOrder[] productOrders = new ProductOrder[3]; 으로 공간을 할당하고 바로 productOrders[0].productName = "두부"; 로 초기화했는데 이러면 문제가 되는지 시스템이 실시가 안되더라구요.실시가 안되는 이유가 뭘까요? 저는 ProductOrder[] productOrders = new ProductOrder[3]; 이것이 null로 초기화하고 바로 productOrders[0].productName = "두부"; 로 다시 초기화를 했다고 생각하는데왜 문제되는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package class1.Ex; public class ProductOrder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roductOrder[] productOrders = new ProductOrder[3]; productOrders[0] = new ProductOrder(); productOrders[0].productName = "두부"; productOrders[0].price = 2000; productOrders[0].quantity = 2; productOrders[1] = new ProductOrder(); productOrders[1].productName = "김치"; productOrders[1].price = 5000; productOrders[1].quantity = 1; productOrders[2] = new ProductOrder(); productOrders[2].productName = "콜라"; productOrders[2].price = 1500; productOrders[2].quantity = 2; int total = 0; for (int i = 0; i < 3; i++){ System.out.println("상품명: "+productOrders[i].productName + ", 가격: "+productOrders[i].price + ", 수량"+productOrders[i].quantity); total += productOrders[i].price; } System.out.println("총 결제 금액: " + total); } }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캐스팅 관련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Parent poly = new Child();Child child = (Child) poly; poly의 타입이 Child로 변하는 것은 아니다. 해당 참조값을 꺼내고 꺼낸 참조값이 Child타입이 되는것이다. 라고 되있는데이부분이 잘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poly는 결국 변수명일 뿐이고 핵심은 참조값인데 poly라는 객체의 참조값의 타입이 변경 된다는게 결국 poly의 타입이 변경된다는거랑 같은 말 아닌가요?결과적으로 그냥 이 부분이 그래서 무엇을 뜻하는건지 모르겠습니다.그냥 poly의 타입이 Child로 바꿔서 쓴다고 이해해도 상관없지 않나요?
-
미해결코틀린 문법부터 실무까지 (실전 자바->코틀린 변환)
@RelaxedMockK로 모킹하고 save 함수를 왜 또 모킹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 정말 잘 듣고 실무에 적용해보려고 합니다. 강의 내용중 createPrinceTest_success 라고 하는 테스트 코드 예시에서 @Relaxed 로 모킹을 진행하고 오류가 발생해서 princeRepository.save()를 모킹하신다고 하셨는데, 그 이유가 어떤 이유인지 궁금합니다. CreatePrince.Request 객체를 만들고 princeMakerService.createPrince(request)를 호출하여 내부의 princeRepository.save()를 통해 저장되는 것을 테스트 하는데 외부에서 princeRepository.save()를 다시 모킹을 진행하고 랜덤 값으로 Prince 객체를 리턴 받는것이 조금 이해가 되지 않아서 질문드립니다.질 좋은 강의 너무 감사드립니다.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StringBuilder - 가변 String 질문(강의 말중에서요) + 추가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가변 String강의 을 듣다가 갑자기 궁금한 점이 생겨서 질문을 드립니다.(아마도 영한님 밖에 답할 수 없을 것 같네요.) 위에 사진을 보시고 스크립트를 보시면 스트링 풀 문자를 풀어 찾아오든, 직접 만들든, 이런 말을 하셨습니다.이것을 보고 영한 님은? 스트링 을 영한님이나 다른분들은 직접 비슷하게 만드신 적이 있으신가요??(갑자기 궁금해지네요.) 추가강의 사진을 보시면String result = new StringBuilder().append(str1).append.toString();이런 코드가 있던데 그러면 StringBuilder는 Strig의 자식이다 라고 이해도 되나요?자식은 부모를 담을 수 있다. 즉 업캐스팅(정확히 기억안나네요)? 이 맞나요?(들을수록... 새로운 것을 발견하게 되어서.. 진도를 못나가네요.. 저만 특이한건가요? 아니면 다들 그런가요? - 온전히 못듣고 있었네 를 생각하게 되네요.. ex)this..)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도메인 객체의 의존관계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appconfig로 의존관계를 주입해서 di를 진행하고, dip를 만족한다고 배웠습니다. 그런데 지금까지으 예제에서 service나 repository의 의존관계를 다루었지만 도메인은 다루지 않을 것같아서요.만일 member 도메인 객체가 주문 히스토리 데이터를 가져야할 때, order 도메인을 의존해야하면, 이때도 따로 도메인에 대한 interface를 만들고 appconfig를 이용해 의존관계를 주입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예외 계층 main
강의자료에서 예외 계층2- 활용 직전에 있는 MainV3의 main()에 대한 질문입니다.main() 옆에 throws xxException을 지우셨는데, 체크 예외를 발생시키는 메서드를 호출하기 때문에 throws를 생략하면 안 된다고 생각했는데, 삭제하신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public class MainV3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 }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displayInfo 메소드에 배열 인스턴스 문의
Book 클래스 displayInfo 메소드에 book1 ~ book3 까지 각각 인스턴스를 넣어 정상적으로 출력이 되었습니다 void displayInfo(){ System.out.println("제목:" + title + ", 저자:" +author+ ", 페이지:" + page); } --- Main 메소드 --- book1.displayInfo(); book2.displayInfo(); book3.displayInfo(); 만약 displayInfo 메소드에 Books 인스턴스 배열을 매개 변수로 넣고 for문으로 처리하고 싶으면 어떻게 코드 수정을 해야 할까요? 뾰족한 수가 생각이 안나 스스로 해보는 중인데 ㅠㅠ 되지 않네요 혹시 가능할까요..? Book 클래스 displayInfo 메소드에 아무 매개변수를 배열 인자를 받아야 뭐 해결이 될거 같은데..ㅠ < 시도중인 코드> === Book 클래스 displayInfo 메소드=== void displayInfo(Book[] books){ for(int i=0; i <= books.length;i++){ System.out.println("제목:" + books[i].title + ", 저자:" +ooks[i]. author+", 페이지:" + ooks[i]. page); } } === 메인 메소드 === Book book1 = new Book(); Book book2 = new Book("Hello Java", "Seo"); Book book3 = new Book("JPA 프로그래밍","Kim", 700); Book[] books = {book1, book2, book3}; books.displayInfo();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지역 클래스를 익명 클래스로 바꿀 때
익명 클래스를 사용할 때는 상위 클래스가 필요하다고 하셨는데, 만약 어떤 지역 클래스를 익명 클래스로 만드려고 하는데 해당 지역 클래스에서 implements 또는 extends 하는 게 없다면 익명 클래스를 만들 때 new Object() { ... }로 해야 하는 건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지역 클래스 인스턴스 생성 전에 지역변수의 값 변경
public class LocalOuterV4 { public Printer process(int paramVar) { int localVar = 1; class LocalPrinter implements Printer { @Override public void print() { System.out.println("localVar = " + localVar); // 지역클래스가 접근하는 지역변수 (1) System.out.println("paramVar = " + paramVar); // 지역클래스가 접근하는 지역변수 (2) } } paramVar = 20; localVar = 10; Printer printer = new LocalPrinter(); // 지역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생성할 때, 지역 클래스가 사용하는 지역변수를 캡쳐해서 멤버로 포함시킨다. return printer; } }위 코드와 같이 LocalPrinter 인스턴스를 생성하기 전에 paramVar와 localVar의 값을 수정하려고 했습니다. 그러면 지역변수 캡쳐 전이니까 2, 1이 아닌 바뀐 20, 10을 캡쳐해서 지역 클래스의 인스턴스에 포함시키면 되겠다고 생각했습니다.그런데, paramVar와 localVar의 값을 수정하는 코드를 new LocalPrinter()의 이후에 적든, 이전에 적든에 관계없이 컴파일 오류가 발생합니다.제가 생각한 이유는 이미 자바 차원에서, 지역클래스가 사용 중인 지역변수는 값이 바뀌는 것 자체를 막아두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제 생각이 맞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test 오류를 못찾겠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https://drive.google.com/file/d/1eaGwuFK0ptwt7-5tXkKBmLXL6c_8wVCr/view?usp=drive_link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인스턴스 간 참조관계
public class InnerOuter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nerOuter outer = new InnerOuter(); InnerOuter.Inner inner = outer.new Inner(); } }내부 클래스에 대한 인스턴스는 바깥 클래스에 대한 인스턴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바깥 클래스의 인스턴스는 내부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가지고 있지 않은게 맞나요? 바깥 클래스인 InnerOuter 내에 메서드를 만들고, 내부 클래스가 가진 변수에 접근하는 코드를 작성하니 cannot find symbol이 뜨긴 했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제어자2번 문제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여기에서 item.getName()은 클래스 Item의 메서드인데 클래스 ShoppingCart에서는 따로 인스턴스를 만들지 않았고 배열인 Item[] items = new Item[10]; 만 만든게 아닌가요? items.getName() 도 아니고 어떻게 호출이 되는지 이해가 안가서 질문 남깁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static 관련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제가 궁금했던 부분은 아래와 같이 static 변수와static 클래스가 있을 때 차이점입니다.public class MyMainClass {public static string test = "test";}public class OuterClass { public static class StaticNestedClass {}public static 이 변수에 붙으면 서비스전체에서 동일한 변수에 접근을 한다고 이해했는데StaticNestedClass 클래스 같은 경우는 서비스에서 필요할때마다 생성을 해서 여러개가 존재할 수 있는거 아닌가요?public static = 시스템 전체에서 같이 사용하는 자원?이라고 이해한 부분이 잘못된거 같아서 어떻게 이해하면 될지 문의드렸던 부분입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컴포넌트 스캔과 의존관계 자동 주입 제대로 이해한건지 궁금합니다!
[질문 내용]@Configuration 이 붙은 클래스는 스프링 컨테이너에 설정 정보를 의미하는것으로 @Configuration 이게 붙은 클래스도 싱글톤이 보장되어야 하기 때문에 @Bean으로 등록되어 싱글톤을 보장하고 자동주입의 경우에 빈 이름을 @Component 에노테이션이 붙은 클래스를 빈 이름으로, 실제 의존관계 주입이되는 반환 객체를 @AutoWried 에노테이션이 붙은 생성자로 주입되는게 맞을까요?!제 머릿속에 있는 걸 그려봤는데 저런식으로 되는게 맞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