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
openapi 비밀번호 계속 불일치나와
새로 openapi 등등을 다운로드 설치했는데 지금의 문제는 키움 openapi 로그창의 비밀번호가 틀리다는 메세지가 게속 나옵니다. 이비밀번호, 뭘 입력해야 되나요? 계좌비밀번호 입력하는 것 아닌가요? 계좌비밀번호를 입력해도 계속 에러발생합니다.그러니 당연히 아래와 같은 아이콘이 생기지 않습니다.원인이 뭔지 모르겠네요.
-
미해결파이썬 알고리즘 트레이딩 파트3: 클라우드 거래 자동화
AutoAdminLogon 설정을 로컬에서 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AutoAdminLogon 설정을 로컬 PC에서 하는건가요 혹은 VM상에서 설정하는건가요? 강의상에서는 VM상에서 설정을 하시는 것 같은데, 제 VM에는 알려주신 경로로 들어가도 AutoAdminLogon 파일이 보이지가 않네요.(로컬 PC에서는 해당 파일이 보입니다)
-
미해결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1 - 언리얼 C++의 이해
GetName이 이미있는데용?
25.08.12 일언리얼 5.4VS 2022 기준으로 const FString& GetName() const;를 알트 + 엔터 해보면const FString& GetName() const{if(CachedNameString.IsEmpty() && !Key.Name.IsNone()){CachedNameString = Key.Name.ToString();}return CachedNameString;} 요렇게 이미 있네요..!? void SetName(const FString& InName); 이것도 있어유 void SetName(const FString& InNameString){ if(NameString.IsSet()) { if(NameString.GetValue().Equals(InNameString, ESearchCase::CaseSensitive)) { return; } } Name.Reset(); NameString = InNameString;}
-
미해결React Native with Expo: 제로초에게 제대로 배우기
apk 파일 추출 관련 문의 드립니다.
만들어보고 있는 앱을 실 기기에 설치해서 테스트 해볼 일이 있어 apk 파일을 추출하려 합니다.백엔드 url이 http 라 app.json android 내에 useClearTextTraffic true 도 추가해주었습니다. "usesCleartextTraffic": trueeas.json 내 build 에 release 를 추가하였고, "release": { "android": { "buildType": "apk" } }eas build --platform android --profile release 명령어를 통해 빌드 했습니다.생성된 apk 를 실 기기에 설치 후 실행 했을 때 api 호출을 통해 데이터를 받아와서 뿌려주는 부분에 데이터가 하나도 나오고 있지 않습니다.설치 된 development build 를 에뮬레이터에서 실행해보아도 마찬가지로 데이터가 하나도 나오지 않고, catch 부분에서 에러도 콘솔에 찍히지 않고 있습니다.ㅠㅠnpm run android 실행 후 s > a 입력해서 expo go 환경에서 확인해봤을 땐 데이터도 잘 받아와지는데혹시 어느 부분을 확인해봐야할까요? npm ls react├─┬ @expo/vector-icons@14.1.0│ └── react@19.0.0 deduped├─┬ @react-native-community/datetimepicker@8.4.1│ └── react@19.0.0 deduped├─┬ @react-native-kakao/core@2.4.0│ └── react@19.0.0 deduped├─┬ @react-native-kakao/user@2.4.0│ └── react@19.0.0 deduped├─┬ @react-navigation/bottom-tabs@7.4.6│ └── react@19.0.0 deduped├─┬ @react-navigation/drawer@7.5.7│ ├─┬ react-native-drawer-layout@4.1.12│ │ └── react@19.0.0 deduped│ ├── react@19.0.0 deduped│ └─┬ use-latest-callback@0.2.4│ └── react@19.0.0 deduped├─┬ @react-navigation/elements@2.6.3│ ├── react@19.0.0 deduped│ └─┬ use-sync-external-store@1.5.0│ └── react@19.0.0 deduped├─┬ @react-navigation/native@7.1.17│ ├─┬ @react-navigation/core@7.12.4│ │ └── react@19.0.0 deduped│ └── react@19.0.0 deduped├─┬ expo-blur@14.1.5│ └── react@19.0.0 deduped├─┬ expo-font@13.3.2│ └── react@19.0.0 deduped├─┬ expo-image@2.4.0│ └── react@19.0.0 deduped├─┬ expo-linear-gradient@14.1.5│ └── react@19.0.0 deduped├─┬ expo-linking@7.1.7│ └── react@19.0.0 deduped├─┬ expo-router@5.1.4│ ├─┬ @radix-ui/react-slot@1.2.0│ │ ├─┬ @radix-ui/react-compose-refs@1.1.2│ │ │ └── react@19.0.0 deduped│ │ └── react@19.0.0 deduped│ ├─┬ @react-navigation/native-stack@7.3.25│ │ └── react@19.0.0 deduped│ └─┬ react-native-is-edge-to-edge@1.2.1│ └── react@19.0.0 deduped├─┬ expo-status-bar@2.2.3│ ├─┬ react-native-edge-to-edge@1.6.0│ │ └── react@19.0.0 deduped│ └── react@19.0.0 deduped├─┬ expo@53.0.20│ ├─┬ expo-asset@11.1.7│ │ └── react@19.0.0 deduped│ ├─┬ expo-keep-awake@14.1.4│ │ └── react@19.0.0 deduped│ └── react@19.0.0 deduped├─┬ react-dom@19.0.0│ └── react@19.0.0 deduped├─┬ react-native-gesture-handler@2.24.0│ └── react@19.0.0 deduped├─┬ react-native-gifted-charts@1.4.63│ ├─┬ gifted-charts-core@0.1.65│ │ └── react@19.0.0 deduped│ └── react@19.0.0 deduped├─┬ react-native-reanimated@3.17.5│ ├─┬ react-native-is-edge-to-edge@1.1.7│ │ └── react@19.0.0 deduped│ └── react@19.0.0 deduped├─┬ react-native-safe-area-context@5.4.0│ └── react@19.0.0 deduped├─┬ react-native-screens@4.11.1│ ├─┬ react-freeze@1.0.4│ │ └── react@19.0.0 deduped│ └── react@19.0.0 deduped├─┬ react-native-svg@15.11.2│ └── react@19.0.0 deduped├─┬ react-native-web@0.20.0│ └── react@19.0.0 deduped├─┬ react-native-webview@13.13.5│ └── react@19.0.0 deduped├─┬ react-native@0.79.5│ ├─┬ @react-native/virtualized-lists@0.79.5│ │ └── react@19.0.0 deduped│ └── react@19.0.0 deduped└── react@19.0.0 npm ls react-native├─┬ @expo/vector-icons@14.1.0│ └── react-native@0.79.5 deduped├─┬ @react-native-async-storage/async-storage@2.1.2│ └── react-native@0.79.5 deduped├─┬ @react-native-community/datetimepicker@8.4.1│ └── react-native@0.79.5 deduped├─┬ @react-native-kakao/core@2.4.0│ └── react-native@0.79.5 deduped├─┬ @react-native-kakao/user@2.4.0│ └── react-native@0.79.5 deduped├─┬ @react-navigation/bottom-tabs@7.4.6│ └── react-native@0.79.5 deduped├─┬ @react-navigation/drawer@7.5.7│ ├─┬ react-native-drawer-layout@4.1.12│ │ └── react-native@0.79.5 deduped│ └── react-native@0.79.5 deduped├─┬ @react-navigation/elements@2.6.3│ └── react-native@0.79.5 deduped├─┬ @react-navigation/native@7.1.17│ └── react-native@0.79.5 deduped├─┬ expo-apple-authentication@7.2.4│ └── react-native@0.79.5 deduped├─┬ expo-blur@14.1.5│ └── react-native@0.79.5 deduped├─┬ expo-constants@17.1.7│ └── react-native@0.79.5 deduped├─┬ expo-image@2.4.0│ └── react-native@0.79.5 deduped├─┬ expo-linear-gradient@14.1.5│ └── react-native@0.79.5 deduped├─┬ expo-linking@7.1.7│ └── react-native@0.79.5 deduped├─┬ expo-router@5.1.4│ ├─┬ @expo/metro-runtime@5.0.4│ │ └── react-native@0.79.5 deduped│ ├─┬ @react-navigation/native-stack@7.3.25│ │ └── react-native@0.79.5 deduped│ └─┬ react-native-is-edge-to-edge@1.2.1│ └── react-native@0.79.5 deduped├─┬ expo-status-bar@2.2.3│ ├─┬ react-native-edge-to-edge@1.6.0│ │ └── react-native@0.79.5 deduped│ └── react-native@0.79.5 deduped├─┬ expo-symbols@0.4.5│ └── react-native@0.79.5 deduped├─┬ expo-system-ui@5.0.10│ └── react-native@0.79.5 deduped├─┬ expo-web-browser@14.2.0│ └── react-native@0.79.5 deduped├─┬ expo@53.0.20│ ├─┬ expo-asset@11.1.7│ │ └── react-native@0.79.5 deduped│ ├─┬ expo-file-system@18.1.11│ │ └── react-native@0.79.5 deduped│ └── react-native@0.79.5 deduped├─┬ react-native-gesture-handler@2.24.0│ └── react-native@0.79.5 deduped├─┬ react-native-gifted-charts@1.4.63│ ├─┬ gifted-charts-core@0.1.65│ │ └── react-native@0.79.5 deduped│ └── react-native@0.79.5 deduped├─┬ react-native-reanimated@3.17.5│ ├─┬ react-native-is-edge-to-edge@1.1.7│ │ └── react-native@0.79.5 deduped│ └── react-native@0.79.5 deduped├─┬ react-native-safe-area-context@5.4.0│ └── react-native@0.79.5 deduped├─┬ react-native-screens@4.11.1│ └── react-native@0.79.5 deduped├─┬ react-native-svg@15.11.2│ └── react-native@0.79.5 deduped├─┬ react-native-webview@13.13.5│ └── react-native@0.79.5 deduped└─┬ react-native@0.79.5└─┬ @react-native/virtualized-lists@0.79.5└── react-native@0.79.5 deduped npm ls expo├─┬ @react-native-community/datetimepicker@8.4.1│ └── expo@53.0.20 deduped├─┬ @react-native-kakao/core@2.4.0│ └── expo@53.0.20 deduped├─┬ expo-apple-authentication@7.2.4│ └── expo@53.0.20 deduped├─┬ expo-blur@14.1.5│ └── expo@53.0.20 deduped├─┬ expo-build-properties@0.14.8│ └── expo@53.0.20 deduped├─┬ expo-constants@17.1.7│ └── expo@53.0.20 deduped├─┬ expo-dev-client@5.2.4│ ├─┬ expo-dev-launcher@5.1.16│ │ └── expo@53.0.20 deduped│ ├─┬ expo-dev-menu-interface@1.10.0│ │ └── expo@53.0.20 deduped│ ├─┬ expo-dev-menu@6.1.14│ │ └── expo@53.0.20 deduped│ ├─┬ expo-manifests@0.16.6│ │ └── expo@53.0.20 deduped│ ├─┬ expo-updates-interface@1.1.0│ │ └── expo@53.0.20 deduped│ └── expo@53.0.20 deduped├─┬ expo-font@13.3.2│ └── expo@53.0.20 deduped├─┬ expo-haptics@14.1.4│ └── expo@53.0.20 deduped├─┬ expo-image@2.4.0│ └── expo@53.0.20 deduped├─┬ expo-linear-gradient@14.1.5│ └── expo@53.0.20 deduped├─┬ expo-router@5.1.4│ └── expo@53.0.20 deduped├─┬ expo-splash-screen@0.30.10│ └── expo@53.0.20 deduped├─┬ expo-symbols@0.4.5│ └── expo@53.0.20 deduped├─┬ expo-system-ui@5.0.10│ └── expo@53.0.20 deduped├─┬ expo-web-browser@14.2.0│ └── expo@53.0.20 deduped└─┬ expo@53.0.20├─┬ expo-asset@11.1.7│ └── expo@53.0.20 deduped├─┬ expo-file-system@18.1.11│ └── expo@53.0.20 deduped└─┬ expo-keep-awake@14.1.4└── expo@53.0.20 deduped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Member를 activate 시 deactiavatedAt 초기화 필요성 질문입니다
Member activate 호출 시 MemberDetail의 activate 또한 호출 하게 되는데요.이때 MemberDetail의 activate 로직에서 this.deactivatedAt = null 을 통해 비활성 일시는 초기화 해주어야활성 -> 비활성 -> 활성 -> 비활성 시 deactivatedAt이 null임으로 문제가 없을 것 같은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미해결실전에서 바로 써먹는 Kafka 입문
섹션6. 36,37
섹션6. 36,37 강의를 실습하고 다음날 다시 bin/kafka-server-start.sh config/server.properties명령어 써서 실행시키려니까 이렇게 뜨고 실행이 안됩니다. 원인이 뭘까요?
-
해결됨[백문이불여일타] 데이터 분석을 위한 기초 SQL
비교연산자 질문
질문에서 greater than, less than 등과 같은 비교연산자로 나타내는 표현들을 보고 이하, 이상, 미만, 초과 구분이 궁금합니다.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
미해결2025 정보처리기사필기 기출문제풀이
2024년 1회 기출문제에 답지가 공란입니다.
2024년 1회 기출문제에 답지가 공란입니다.확인 부탁드립니다.
-
해결됨세계 대회 진출자가 알려주는 코딩테스트 A to Z (with Python)
이중연결리스트에 관한 수업 내용도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급하게 코딩 테스트를 준비해야 하는 상황에서 제가 원하던 강의 방향으로 강의를 해주셔서 감사하게 잘 듣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아직 전체 강의를 수강하지 못했지만 이중 연결 리스트에 관한 강의는 없을까요? leetcode에서 LRU 캐쉬 문제가 빈출 문제인데 이 문제는 이중연결리스트 없이는 빅오가 상대적으로 매우 크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혹시 대안이 있는지 아니면 제가 전체 강의를 못들어서 인지 해당항목을 들으려고 찾아봤는데 없어서 질문을 남깁니다.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UI 뎁스에 관한 질문이 있습니다
중첩된 라우팅에서 다른 레이아웃 혹은 레이아웃을 사용하고싶지 않을 때 어떻게 제어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현재 소스를 보면(with-searchbar) searchbook... 와 같은 형태로 되어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만약에 search가 1 depth 라고 했을 때,search 페이지 아래에 예를 들어 detail-search 라는 주소를 가진 페이지가 있다고 가정할 때(with-serachbar)serachdetail-search파일 구조 및 중첩된 라우터 구조가 위와 같이 되잖아요? 이 때 detail-search는 with-searchbar 대신가령 with-detail-serachbar 라던가,아예 with-searchbar 레이아웃을 사용하고 싶지 않을 수 있잖아요? 이럴 때 어떻게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3 (#실무핵심 #Docker #Nginx #Minio #Longhorn)
실무 관점에서
안녕하세요.이제 sprint1 을 통해 기본적인 개념정도만 습득한 상태입니다.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 -> K8s 배포를 기준으로 실제 앱 내에서 사용되는 환경변수 설정과 K8s내의 컨피그맵, 시크릿 등에 대한 설정 매칭 등을 보고 싶은데sprint 1 -> 지금 강의를 먼저 수강 해도 이해가 괜찮을까요? [👍좋은 질문을 했을 때 좋은 답변이 돌아 옵니다]1. 실습 중 본인의 환경이 가이드와 다른 부분이 있었다면 말씀해주세요.2. 해당 문제의 발생 빈도(재설치 여부)와 문제 해결을 위해 시도해본 케이스를 말씀해 주시면 원인 파악에 큰 도움이 됩니다.3. 에러 메시지만 봐서는 저도 모르는 경우가 많아요. 그전에 했던 작업이 포함된 캡쳐 화면도 부탁 드려요.4. 영상 내용에 대한 질문 시 해당 시간을 같이 올려 주시면 답변을 드리는 시간이 더 빨라집니다.5. 긴 로그는 제 메일로 보내주세요. (k8s.1pro@gmail.com)6. 카페 [강의 자료실]에도 많은 질문과 답변들이 있어요!
-
미해결[리뉴얼] 처음하는 파이썬 데이터 분석 (쉽게! 전처리, pandas, 시각화 전과정 익히기) [데이터분석/과학 Part1]
강의와 다르게 오류가 뜨는 이유가 뭘까요?
혼자 공부하면서 해결 방법을 찾았는데 강의영상처럼 맨 위 코드로 했을 때는 오류가 뜹니다 결국 os.getcwd에서 00date가 있어서 또 그걸 코드에 적용하면 중복돼서 오류가 뜨는 거 같은데 강사님은 왜 오류가 안 뜨는지가 궁금합니다! 해결했어요 저는 00date에서 킨거였네요 ㅎㅎ..강사님은 판다스파일에서 바로 저 파일 여신거고
-
미해결나도! 스프링으로 인공지능을 할 수 있다(인프1탄)
이미지 생성 코드 에러 질문
@Service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ImageService { private final OpenAiImageModel openAiImageModel; public ImageResponse getImageGen(ImageRequestDTO request) { ImageResponse imageResponse = openAiImageModel .call(new ImagePrompt(request.getMessage(), OpenAiImageOptions.builder() .model(request.getModel()) .quality("hd") .N(request.getN()) .height(1024) .width(1024) .build() )); return imageResponse; } }선생님 강의와 같이 해당 코드를 작성했는데 이미지 생성에 실패했다는 오류가 뜹니다. spring 공식 문서에서는 .quality("hd")가 없어 동일하게 제거하고 재부팅해도 이미지 생성에 실패하네요 ㅠ 혹시 원인을 알 수 있을까요?
-
미해결수학 없이 시작하는 인공지능 첫걸음: 기초부터 최신 트렌드까지
실습 중 에러발생 gt, pred = test()
회사 정책상 Google Driver 접근이 되지 않습니다.Visual Studio Code에서 11강_FashionMNIST.ipynb 를 따라하고 있는데, gt, pred = test('c:/content/drive/MyDrive/inflearn/code/checkpoint/FashoinMNIST-FCN_best_model.pt')이 부분에서 에러가 발생합니다.(파일은 위 위치에 저장되도록 해 놓았고, 파일이 있는 것 확인했습니다.)UnpicklingError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1) In PyTorch 2.6, we changed the default value of the weights_only argument in torch.load from False to True. Re-running torch.load with weights_only set to False will likely succeed, but it can result in arbitrary code execution. Do it only if you got the file from a trusted source. (2) Alternatively, to load with weights_only=True please check the recommended steps in the following error message. WeightsUnpickler error: Unsupported global: GLOBAL main.FCNet was not an allowed global by default. Please use torch.serialization.add_safe_globals([__main__.FCNet]) or the torch.serialization.safe_globals([__main__.FCNet]) context manager to allowlist this global if you trust this class/function. 강의내용과 다른 것이 없어 보이는데, 잘 안되는군요.
-
미해결FastAPI 완벽 가이드
import 자동완성
아래와 사진과 같이 import가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에러가 발생하게 됩니다.다른 언어들은 특정 버튼을 눌러서 import가 자동완성 되는 경우가 많은데 fastapi는 안되는 걸까요?
-
해결됨쉽게 시작하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워커노드 OS SWAP 질문
질문 답변을 제공하지만, 강의 비용에는 Q&A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만 실습이 안되거나, 잘못된 내용의 경우는 알려주시면 가능한 빠르게 조치하겠습니다![질문 전 답변]1. 강의에서 다룬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법을 읽어보셨나요? [예](https://inf.run/DvsRD)4.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5. vagrant up 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주로 호스트 시스템(Windows, MacOS)과 연관된 다양한 조건에 의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를 모두 제가 파악할 수 없어서 해결이 어렵습니다. vagrant up으로 진행이 어렵다면 제공해 드리는 가상 머신(VM) 이미지를 import해서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https://inf.run/Ljaer)[질문 하기]컨테이너 기반 GPU워커 노드의 OS swap을 사용하지 않는 설정이 권장되는지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Bean 어노테이션 사용에 대한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강의를 보다가 궁금증이 생겨 질문해 봅니다!@Bean 어노테이션을 달면 해당 인스턴스를 생성하여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관리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약 서비스가 커지게 된다면, 스프링 컨테이너도 많은 빈을 관리하기 어려워지게 되고 최대한 효율적으로 생성해야 할 것 같다고 생각했습니다.@Configuration public class AppConfig { @Bean public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return new MemoryMemberRepository(); } @Bean public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return new FixDiscountPolicy(); return new RateDiscountPolicy(); } @Bean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 return new Memb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 @Bean public OrderService orderService(){ return new Ord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discountPolicy()); } }위와 같이 AppConfig 코드를 작성을 하다가 문득 생각이 들었습니다. 'discountPolicy , memberRepository 는 AppConfig 안에서만 사용이 되는 메서드인데, Bean으로 관리하면 효율이 떨어지고 낭비가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게 되었습니다.여기서 두 가지 질문을 드리고 싶습니다.자신의 클래스에서만 사용될 객체라면, @Bean으로 등록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을까요? 자신의 클래스에서만 사용될 객체라면, private로 선언하여 해당 클래스에서 안전하게 사용하고 외부에서 사용 못 하게 감추는 것이 더 좋지 않을까요?
-
해결됨두고두고 써먹는 유니티 VR
ray가 컨트롤러에서 나가는 부분에 대한 질문
광선이 컨트롤러 헤드 부분에 딱 붙어서 안나가고 게임뷰에서 광선이 조금만 보이는데 이런경우 어디를 수정해야 하나요??
-
미해결카프카 완벽 가이드 - 코어편
환불문의
혹시 예전에 구매하고 나중에 들어야지 했지만 하지만 해당 기술이 저에게 필요 없어지고인프런 규정상 이미 기간이 지나서 안된다고는 인지하고 있어그냥 냅뒀었습니다 . 하지만 금액이 금액인지라 혹시나 이와 관련하여 환불이 가능한지강사님에게 직접 문의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독하게 시작하는 C 프로그래밍
컴퓨터 구조에 대한 질문입니다.
1.첫 질문은 제가 컴퓨터 구조를 따로 공부하고 싶은데 어떤 책을 참고해야할 지 모르겠습니다. 2번쨰 질문은 일단 모르겠어서 ,csapp 또는 structured computer organization 을 찾아가면서 공부 중인데 진도가 조금 안 나가고 생각보다 많이 막히는게 있어 맞는 방향인가 고민이 됩니다.이 강의 관련해서 혼자 공부하면서 배웠던건1.키보드의 입력값을 주면 전기신호가 컨트롤러에게 전달되고2.컨트롤러가 신호를받아 데이터를 값으로 변환하고3.그 값을 cpu로 보내서 인터럽트 요청을 하고4.I/o bus를 통해 cpu가 데이터를 읽는다.이게 레지스터로 가 저장이 된다는 것 까지 압니다.더 깊게 알고 싶은데 어디서 어떤 순서로 배워야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또한 컴퓨터 구조론을 공부하는데 또 궁금한게 어디까지 작동원리를 이해 하느냐에 또 발목이 잡힙니다. 예시를 들자면 어떤 책은 CPU에 PC에 집중적으로 설명하는데 반에 어떤 책은 ALU와 레지스터의 연산방법 등 이러한 체계가 연결이 안된다는 느낌이 들어 어 여기서는 이랬는데.. 왜 저기서는 이렇지? 이런 느낌이 크게 들어 막히는 감이 존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