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이해하면 인생이 바뀌는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Windows 11 가상머신 다운로드 이슈
Due to ongoing technical issues, as of October 23, 2024, downloads are temporarily unavailable.Windows 11 가상머신 다운로드가 안된다고 나옵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5회 기출유형 작업형 1-2
풀이대로 푼다면 144가 나오는데 제곱대신 두번 적어서 풀면 143이 정답으로 나옵니다. 차이가 무엇일까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pd.Timedelta() 에서 pd의 의미
pd.Timedelta() 이외에 여러 함수들을 보면 맨앞에 pd를 붙이던데, 이것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가요? 단순 len()이나 sum() 같은 함수는 pd 안붙이고 사용하는데,pd를 붙이는 것과 안붙이는 것 구분을 어떻게 생각하면 편한가요?
-
미해결RAG를 활용한 LLM Application 개발 (feat. LangChain)
pinecone 관련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 파인콘 관련 강의를 들었는데요. pc = Pinecone(api_key= pinecone_api_key)pc = Pinecone(api_key= pinecone_api_key)이 부분 까지는 잘 되는데, database = PineconeVectorStore.from_documents(document_list, embedding, index_name = index_name) 이 부분을 실행하면 진행이 되지 않습니다.이런 메세지가 떠요.. gpt한테 물어봐서 아래와 같이 해서(제 환경에 맞게 수정함) 다시 돌려봤지만 결과적으로 마지막 database = PineconeVectorStore.from_documents(document_list, embedding, index_name = index_name)여기서 같은 오류가 뜨네요 ㅠㅠ 이 경우는 어떻게 해야될까요import pinecone from langchain.embeddings.openai import OpenAIEmbeddings from langchain.docstore.document import Document from langchain.vectorstores import PineconeVectorStore # 1. Pinecone 초기화 pinecone.init(api_key="your-api-key", environment="us-west1-gcp") # 2. 인덱스 생성 또는 불러오기 index_name = "example-index" if index_name not in pinecone.list_indexes(): pinecone.create_index(index_name, dimension=1536) # 3. 임베딩 모델 설정 embedding = OpenAIEmbeddings(openai_api_key="your-openai-api-key")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파라미터 의미
df = pd.read_csv('date.csv', usecols=[], parse_dates=[])처럼 usecols와 parse_dates를 파라미터라 호칭하시던데,어떤 것을 파라미터 라고 부르나요?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jsx와 js파일
쌤~문득 궁금해져서 질문드립니다.보통 파일작성하실 때 jsx확장자로 하시는데 왜 유독 util폴더에 있는 파일은 js확장자 인가요?jsx나 js든 자유롭게 써도 되는건지 어떤 규칙이나 의도가 있으신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윤재성의 스프링 프레임워크 개발자를 위한 실습을 통한 입문 과정
10강 10:19
TestBeanPostProcessor 가 BeanPostProcessor인터페이스를 implements했고 BeanPostProcessor에 정의되어있는 메서드들을 오버라이딩 안하면 자동으로 오류가 뜨면서 오버라이딩 해라고 경고가 떠야 정상 아닌가요? 강사님 강의에서도 제 컴퓨터에서도 따로 오류가 뜨지 않아서 궁금해서 질문 남깁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시계열 데이터 type 질문
dtype : datetime64[ns] 에서64랑 ns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
미해결윤재성의 스프링 프레임워크 개발자를 위한 실습을 통한 입문 과정
9강 16:50초
default-init-method와 , default-destroy-method를 bean태그 안이 아니고 beans 태그 안에 넣으셨는데, 이렇게 하면 default-destroy-method나 default-init-method를 bean 태그 안에 안 넣으면 자동으로 실행을 해주는 거잖아요.그럼 만약에 TestBean2 클래스안에 default_init, default_destroy와 똑같은 이름의 메서드가 없으면 실행 안하는걸로 이해했는데 맞나요? 그리고 id가 t1인 bean태그에 init-method, destroy-method를 안썼다면 beans태그에 작성해놓은 default 속성들이 실행이 될텐데 똑같은 이름의 메서드가 있으면 id-t1인 bean 객체에도 default 속성에 지정해놓은 메서드가 실행되는건가요?
-
해결됨입문자를 위한 Spring Boot with Kotlin - 나만의 포트폴리오 사이트 만들기
fragment 분리 에러
타임리프 뭐가 문제일까요? 아무리 찾아봐도 모르겠습니다ㅜ https://github.com/lee-soohyun/portfolio-lee/commit/56f4909c2ceb6c6e5ad1b6dbb9603e0c2233a825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Future로 받아오는 방식이 자바스크립트의 await 비동기 방식과 유사한지 궁금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우선 좋은 강의 제공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름이 아니라 해당 강의 공부 중에 자바스크립트의 비동기 방식과 유사한 것 같은데 내부 동작은 물론 다르겠지만, 자바스크립트의 Promise나 await 방식과 같이 비동기로 처리해서 값을 가져오는게 유사한 것 같은데 맞는지 궁금합니다.강의 내용과는 다른 내용일 수도 있어서 죄송합니다.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writer 와 content 혼란
api 서버에서 Todo 엔티티 에는 content 로 했는데 왜 이번 섹션4 강의부터 갑자기 writer 가 나오는 건가요?원래 writer 인데 content로 잘못 만드신건데 그냥 사용하신건가요? 그냥 계속 진행 해도 별 문제 없는 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추스 스키마 질문...
스프링강의 18강 Controller를 3단 분리하기 강의에서 7분 30초쯤에 나오는 추스 스키마? 아무리 찾아도 저는 그런게 없는데 어떻게 하나요? 추스 스키마로 라이브러리 설정이 저는 보이지 않네요 인텔리제이 2024.2.3 울티메이트 사용하고 있습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6분 41초 영상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해당 영상 6분 41초에서 '사실상 Member에서 Orders의 1대 다가 표현되는 이 컬렉션은 필요가 없다' 라고 말씀해주셨는데 해당 표현에 의미가 1:N 연관 관계가 필요없다는 의미가 아니라 orders속성이 필요없다는 의미가 맞을까요??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7-H 질문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선생님 🙂 한 가지 궁금한 것이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 ^^ 입력 값을 int형 변수가 아닌 vector컨테이너를 사용하면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는데요, 무엇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인지 모르겠습니다. 아래는 정답의 수도코드입니다.dp[0] = 1; for (int i = 0; i < n; i++) { cin >> temp; for (int j = temp; j <= k; j++) { dp[j] += dp[j - temp]; } }여기서 안쪽 for문 중 j = 1로 변경하면, 연산 자체는 늘어나겠지만 정답인 것은 변함이 없습니다. 아래는 temp변수를 vector 컨테이너로 변경한 코드입니다.vector<int> vec(n); dp[0] = 1; for (int i = 0; i < n; i++) { cin >> vec[i]; for (int j = vec[i]; j <= k; j++) { dp[j] += dp[j - vec[i]]; } }temp 변수를 이용한 것보다 vector 컨테이너를 사용하기 때문에 공간복잡도와 시간복잡도 측면에서 손해를 보지만, 결과는 같습니다.하지만, 안쪽 for문의 j를 j = 1로 수정하면 오답이 됩니다. 테스트케이스에서도 출력 값이 다르게 나오더라구요. 이유가 무엇인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http://boj.kr/0cbbe29b33424769a1e8006da134bd7b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3 - G 질문있습니다.
강의의 코드 중 25번째 줄 까지는 이해를 했습니다. 그러나 26 - 28번째 줄의 부분에서 이해가 안가는 것이 있습니다.문제는 최단거리를 바라고 있습니다.그렇다면 26번째 줄, else if (visited[next] == visited[now] + 1)에서 visited[next]는 next에 도달한 가장 적은 걸음 수를 뜻합니다.여기서 제가 이해가 안되는것은 visited[next]가 어떻게 가장 적은 걸음수가 보장 되는지 입니다.visited[now] + 1이 visited[next]보다 작아서 새로운 경로가 더 빠를 수 있는 경우의 수는 신경을 안써도 되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BFS를 사용하면, 가장 먼저 도착한 케이스가 가장 빠른 케이스다 라는 경험과 느낌은 있지만, 이번에는 가중치가 동일하지 않은 상황에서, 특히 뒤로도 갈 수 있는 상황에서 이렇게 생각하고 넘어가기에는 찝찝함이 있어 질문해봅니다.
-
미해결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POST와 리소스 생성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안녕하세요POST의 결과로 새로운 리소스가 생성되지 않을 수도 있음.이라고 자료에 나와 있는데, 그렇다면 일반적으로는 POST의 결과로 리소스가 생성된다는 말씀이신가요? 그렇다면 앞에 예제에서 나온 회원 정보 관리 API에서POST로 회원을 신규 등록하면 리소스가 생성되는 것인가요?
-
해결됨토비의 스프링 6 - 이해와 원리
ServiceLocatorFactoryBean에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https://docs.spring.io/spring-framework/docs/current/javadoc-api/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config/ServiceLocatorFactoryBean.html공식문서에서 일반적으로 프로토타입 빈에서 사용하고, 싱글톤 빈의 경우 대상 빈의 직접 세터 또는 생성자 주입이 더 좋다고 되어있습니다.만약 아래코드처럼 로그인방식이 여러가지고 추가로 늘어날 경우 NaverLoginStrategy, GoogleLoginStrategy등 새로운 클래스만 생성하면 된다고 생각하는데 이때도 ServiceLocatorFactoryBean을 사용하는게 좋지않는걸까요? provider나 ObjectFactory를 이용하는게 좋은지 아니면 공식문서처럼 setter나 constructor를 주입하는게 좋을지 궁금합니다. public interface LoginStrategy { String login(String id, String pw);} @RequiredArgsConstructor@Service("kakao")public class KakaoLoginStrategy implements LoginStrategy { private final LoginRepository loginRepository; @Override public String login(String id, String pw) { // 로그인 로직 return "kakao Login"; }} public interface LoginFactory { LoginStrategy getLoginStrategy(String type);} @Configurationpublic class LoginConfig { @Bean public ServiceLocatorFactoryBean loginStrategyFactory() { ServiceLocatorFactoryBean factoryBean = new ServiceLocatorFactoryBean(); factoryBean.setServiceLocatorInterface(LoginFactory.class); return factoryBean; }}
-
미해결[유니티6] 따라하면서 배우는 고박사의 2D 플랫포머 게임 제작
02-02 플레이어 체력에서 if(current >1)을 if(current > 0) 로...
해야 될 것 같아요.그래야 체력이 0으로 떨어질 수 있고,지금 상태에서는 current가 1일 때 사망처리가 되어 버리는 문제..
-
해결됨[리뉴얼] 맛집 지도앱 만들기 (React Native & NestJS)
[해결] MapView 사용시 bubblingEventTypes of null error 해결법
{ "name": "matzip", "version": "0.0.1", "private": true, "scripts": { "android": "react-native run-android ", "ios": "react-native -run-ios --simulator 'iPhone 16 Pro'", "lint": "eslint .", "start": "react-native start --reset-cache", "test": "jest" }, "dependencies": { "@react-native-masked-view/masked-view": "^0.3.1", "@react-navigation/drawer": "^6.7.2", "@react-navigation/native": "^6.1.18", "@react-navigation/stack": "^6.4.1", "@tanstack/react-query": "^5.59.16", "axios": "^1.7.7", "react": "18.3.1", "react-native": "0.76.0", "react-native-encrypted-storage": "^4.0.3", "react-native-gesture-handler": "^2.20.1", "react-native-maps": "^1.18.2", "react-native-reanimated": "^3.16.1", "react-native-safe-area-context": "^4.11.1", "react-native-screens": "^3.34.0" }, "devDependencies": { "@babel/core": "^7.25.2", "@babel/plugin-transform-private-methods": "^7.25.9", "@babel/preset-env": "^7.25.3", "@babel/runtime": "^7.25.0", "@react-native-community/cli": "15.0.0-alpha.2", "@react-native-community/cli-platform-android": "15.0.0-alpha.2", "@react-native-community/cli-platform-ios": "15.0.0-alpha.2", "@react-native/babel-preset": "0.76.0", "@react-native/eslint-config": "0.76.0", "@react-native/metro-config": "0.76.0", "@react-native/typescript-config": "0.76.0", "@types/react": "^18.2.6", "@types/react-test-renderer": "^18.0.0", "babel-jest": "^29.6.3", "babel-plugin-module-resolver": "^5.0.2", "eslint": "^8.19.0", "jest": "^29.6.3", "prettier": "2.8.8", "react-test-renderer": "18.3.1", "typescript": "5.0.4" }, "engines": { "node": ">=18" }, "packageManager": "yarn@3.6.4" } 최신버전으로 작업중입니다node 버전 22.6.0 으로 바꾸시면 해결됩니다.node -v 버전뜨시는거 보고 vscode 창 무조건 닫고 명령어 실핼시킬 터미널에서도 node -v 꼭 써서 버전확인하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