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다른데 글 남기는 곳을 못찾겠어서 여기에 남겨볼게요..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이런 질문 해도 되는지 모르겠지만강의에서 h2콘솔 접속하실때 초기에 보여지는 웹사이트 정보좀 알 수 있을까요?개발관련 정보들이 많은것 같아서 알고싶습니다!
-
미해결Java/Spring 테스트를 추가하고 싶은 개발자들의 오답노트
2부 마지막 리팩토링 3:30쯤
2부 마지막 리팩토링 0:49에서, "service인데 controller.port를 잘못 참조했다"라고 하셨는데요.이를 수정하고 나신 후인 3:30쯤에서도, 여전히service(의 UserServiceImpl)가 controller(의 Port의 UserService)에 의존하는 상황이지 않나요?제 생각엔 Port 자체를 controller 밖으로 꺼내는 게 의미상 더 좋지 않을까 싶은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static 사용 기준이 궁금합니다.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안녕하세요!static 메소드 사용 기준이 궁금합니다!제가 알기로는 static메소드가 대표적으로 아래 3가지 이유 때문에 최대한 쓰지말라는 말을 들었는데요!1. 절차지향적이라 캡슐화에 위반된다.클래스로딩시점에 바로 올라가서 GC가 제거할 수 없는 영역에 있기 때문에 메모리 효율이 떨어진다.멀티 스레드 환경에서 공유되기 때문에 동시성 이슈가 있다.16분:17초에 나오는 static의 경우에는 3번에 해당하는건 아니겠지만, 강사님 영상에서 도메인이나 DTO영역에서 비즈니스 로직을 위한 객체 생성용 뿐만 아니라, 테스트 코드에서도 정적메소드로 만드시더라구요!static 키워드를 사용하는 기준이 언제인지 궁금한데요! @UtilClass도 내부적으로 static으로 만들어주던데, 비즈니스 로직이 담긴게 아닌 유틸클래스나 객체 생성용이라면 상관이 없는걸까요? 위에서 여쭤봤던 1번과 2번을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 언제, 어떤 기준으로 설정 되는건지 궁금합니당..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Mockito활용시 void타입의 메소드는 어떻게 해야하나욤?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안녕하세요! 너무 좋은 강의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덕분에 엄청엄청 많이 도움받았습니다.궁금한점이 void타입의 검증메소드의 경우 mockito를 사용할때 reason: no instance(s) of type variable(s) T exist so that void conforms to T 라는 컴파일 에러가 나는데, wilThrow는 해야하거든요!이런 void타입의 경우는 어떻게 테스트하는지 궁금합니다!추가적으로 서비스 레이어를 sut으로 작성했지만 void타입일 경우 어떤 데이터를 검증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당.. 만약 마지막 흐름이 특정 레포지토리라면 해당 레포지토리가 호출되었는지 행위검증만하는 verfiy만 사용하면 될까요?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병렬 테스트 시 DB처리
안녕하세요 강의 정말 잘 듣고 있습니다~!한가지 궁금한 점이 있는데,테스트 병렬 실행 시에 db는 어떻게 관리되는지 궁금합니다.테스트가 많아지면서 병렬로 실행하고 싶은데,db는 지금 h2 mem db 한군데만 바라보고 있어서테스트 간 같은 항목에 대한 처리들을 하면 실패로 이어집니다.어떻게 병렬로 실행할 수 있게 하는지 궁금합니다 ㅎㅎ그리고 인수테스트(RestAssured)도 진행중인데,인수테스트는 병렬 실행을 포기하는 편인지도 궁금하네요..
-
해결됨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객체 생성 시 검증 로직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객체를 생성할 때 입력 받는 데이터를 전부 검증하고 객체 필드를 업데이트할 때도 그 데이터가 유효한지 검증하는 방식을 사용한다면, 다른 레이어에서 검증된 데이터를 넣어 객체를 생성할 때도 해당 데이터를 객체 내부에서도 검증하게 되어서 중복으로 체크하는데, 이런 방식이 괜찮을지 아니면 객체에서 데이터 검증을 적당히 처리하고 레이어 별로 검증 책임을 중복되지 않게 처리하는 방식이 괜찮을지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Order 단위 테스트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안녕하세요 박우빈님, 좋은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강의 영상 속에서 Order 단위 테스트 중 orderProducts에 관한 단위 테스트는 실시하지 않아 혼자 직접 진행했습니다.가장 먼저 다음과 같이 단위 테스트를 작성해보았습니다.@DisplayName("주문 생성 시 주문에 해당 상품이 포함된다.") @Test void orderProduct() { // given LocalDateTime registeredDateTime = LocalDateTime.now(); List<Product> products = List.of( createProduct("001", 1000), createProduct("002", 2000) ); // when Order order = Order.create(products, registeredDateTime); // then assertThat(order.getOrderProducts()).hasSize(2) .extracting("Product") .containsExactlyInAnyOrder( createProduct("001", 1000), createProduct("002", 2000) ); }하지만 위 사진처럼 Product 객체가 다르다고 판단되어 단위 테스트가 실패합니다.(createProdcut()를 이용한 새 객체 생성이 원인이라고 생각합니다.)그래서 다음과 같이 createProduct()를 빼서 테스트를 진행하니 성공했습니다.@DisplayName("주문 생성 시 주문에 해당 상품이 포함된다.") @Test void orderProduct() { // given LocalDateTime registeredDateTime = LocalDateTime.now(); Product product1 = createProduct("001", 1000); Product product2 = createProduct("002", 2000); List<Product> products = List.of( product1, product2 ); // when Order order = Order.create(products, registeredDateTime); // then assertThat(order.getOrderProducts()).hasSize(2) .extracting("Product") .containsExactlyInAnyOrder( product1, product2 ); }결론적으로 단위 테스트는 성공했지만 몇 가지 궁금증이 있습니다.orderProducts의 대한 단위 테스트(위 코드)가 적합한지orderProducts는 Order(this), Product를 갖고 있는데 Order(this)도 함께 검증하는게 맞는지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미해결부트캠프에서 알려주지 않는 것들 (리액트) 1편
전부 입력된 코드들만 있는건가요? 따라치면서 하고싶은데...
(사진)
-
미해결Do It! 장고+부트스트랩: 파이썬 웹개발의 정석
오류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사님의 강의를 보고 블로그를 직접 만들어서 현재 공부기록을 올리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중에 갑자기 오류가 나면서 제 웹사이트에 접속이 안되는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도메인은 giyeonss.com 입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테스트하기 어려운 영역을 분리하는 과정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안녕하세요 박우빈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다름이 아니라 '테스트하기 어려운 영역을 분리하기' 세션 중 아래 코드와 같이 createOrder() 메서드를 오버로딩하여 테스트가 어려운 영역을 분리하여 테스트를 진행해주셨습니다.여기서 실제로도 어려운 영역을 분리하여 테스트 하기 위해 실제 비즈니스 로직에 테스트를 위한 메서드를 오버로딩하여 테스트 하는지가 궁금증이 생겼습니다.실무에선 해당 Test 클래스 내에서 메서드를 오버로딩 하여 사용하는 방식인가 싶은 생각도 들었습니다.실무에선 어떤 식으로 오버로딩하여 사용하나요?public Order createOrder() { LocalDateTime currentDateTime = LocalDateTime.now(); LocalTime currentTime = currentDateTime.toLocalTime(); if(currentTime.isBefore(SHOP_OPEN_TIME) || currentTime.isAfter(SHOP_CLOSE_TIME)){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주문 시간이 아닙니다. 관리자에 문의하세요"); } return new Order(currentDateTime, beverages); } public Order createOrder(LocalDateTime currentDateTime) { LocalTime currentTime = currentDateTime.toLocalTime(); if(currentTime.isBefore(SHOP_OPEN_TIME) || currentTime.isAfter(SHOP_CLOSE_TIME)){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주문 시간이 아닙니다. 관리자에 문의하세요"); } return new Order(currentDateTime, beverages); }
-
미해결Java/Spring 테스트를 추가하고 싶은 개발자들의 오답노트
실습1의 커버리지 관련 설명이 잘 이해되지 않습니다
"테스트 추가하기: h2를 이용한 repository 테스트" 편의 10:39 에서, "잘 커버된 것 같아요"라는 말을 하셨는데 이 상황을 이해하기가 어렵습니다.PostEntity 와 관련된 테스트가 없는데 PostEntity 의 라인 14%가 충족되었다고 나옵니다. 이런저런 이유로 그냥 채워지는 경우도 있습니다만, 하단의 첨부 사진과 같이 제 화면에서는 0%로 보입니다. 혹시 이 차이가 왜 발생하는지 아시나요? (저는 temurin-17, IntelliJ Ultimate 2014.1.4 을 쓰고 있습니다) UserEntity 에도 동일한 질문을 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UserRepository 인터페이스는 메서드가 존재하는데 0개 있다고 표기되고 있습니다 ("0/0"). 왜 이렇게 나오는지 아시나요?UserRepository 는 사실상 아무 메서드도 없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에 커버리지가 100% 로 나온 듯 합니다. 그 위의 PostRepository 도 (테스트가 없는데) 100% 로 나왔으니 그렇게 해석하는게 맞는듯 합니다. 따라서 이 대목에서 커버리지가 아무것도 측정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위 1,2 질문의 대답에 따라 달라질수도 있겠지만) 여기까지 제가 이해한게 맞을까요?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한글 깨짐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안녕하세요.강의 따라가다 막히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gradle 설정에서 Build and run using과 Run tests using을 인텔리제이로 바꾸면 한글 깨짐은 해결이 되는데 gradle로 실행하게 되면 한글이 깨집니다.설정에 들어가서 인코딩도 모두 utf-8로 설정해도 콘솔로 출력할 때 한글이 깨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검색해보니 build.gradle에 설정을 utf-8로 변경하는 것도 있던데 결과는 똑같습니다.해결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통합 테스트 시 변수 지정은 어떻게 해주는게 좋을까요?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DB_URL과 같이 변수로 지정하여 통합 테스트를 수행할 경우 따로 설정해주어야하는데요. 저는 보통 인텔리제이에서 environment variables에 추가하여 실행해줍니다. 그런데 CI에서 빌드를 해줄 경우에도 변수를 지정해주어야하는데요. 테스트에도 지정하고 빌드할 때에도 지정해주는 것이 비효율적인것 같습니다. 이럴 경우 어떻게 설정해주는게 좋을까요?
-
해결됨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외부API 연동 mocking시 json구조가 복잡하다면 어떻게해야하나요?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안녕하세요! 이번 강의 편에서 외부 API mocking에 대해서 다뤄주셔서 감사합니다!궁금한점이 현재 메일을 보내는 sendEmail의 경우 반환타입이 boolean이라 쉽게 테스트가 가능한것 같은데, 만일 RestTemplate/RestClient 와 같이 외부 API 연동한걸 mockito사용해서 가짜 객체로 테스트한다고 했을때, 실제 응답으로 받은 Json의 구조가 복잡할 경우에 어떻게 할지 궁금합니다.thenReturn() 메서드에 해당 응답의 Json구조를 반영한 DTO를 넣어주면 될까 싶었는데, 결국에는 외부 API 응답 구조를 알고 있어야 되는 거라 의존적이라고 생각이 들거든요! 만약 외부 API 응답의 Json 구조가 달라지면 테스트가 깨지게 되는건데, 외부 응답 구조를 몰라야 mocking의 의미가 있는게 아닌지 헷갈립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34:40초 부분에서 단축키 어떻게 사용하시나욤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영상 중에 34분 쪽에서 타입 이름 변경하실때 왼쪽과 오른쪽 타입의 이름을 동시에 변경하시던데 단축키 어떤거 사용하시는건지 궁금합니당!
-
미해결Java/Spring 테스트를 추가하고 싶은 개발자들의 오답노트
헥사고날 아키텍처에서 Entity 내의 from과 to 메서드도 분리하고 싶다면?
강의 열심히 들으며 실습하고 있습니다!헥사고날 아키텍처를 학습하며 적용해 보니 다양한 어려움이 생기더라구요 ㅠㅠ혹시 entity 내의 from과 to 메서드조차 분리하고자 할 때 궁금한 점이 생겼습니다.Entity 내의 from과 to 메서드로 domain ↔ entity를 변환하는 것을 Converter 클래스를 통해 관심사를 분리하는 것이 괜찮은지?만일 분리한다면, Converter interface의 위치는 domain 하위 port package일지, infrastructure 하위 port를 만들어 사용할지? (Impl 구현체는 따로 패키지를 생성할 예정입니다)강의 열심히 듣고 보내주신 책도 잘 받아 열심히 공부하고 있습니다 ㅎㅎ책에 껴주신 Thankyou.java 파일 잘 받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ApiResponse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ApiResponse클래스에 HttpStatus와 code를 같이 보내게 되는데 사실 ResponseEntity.ok().body(ApiResponse~~~)이런 식으로 보내게 된다면 httpstatus가 HTTP 메시지의 바디에도 있고 헤더에도 있게 되는데 굳이 바디에 한 번 더 보내시는 이유가 있으신가요??실무에서는 어떻게 하시는 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DocsTest와 @WebMvcTest로 만든 테스트를 왜 통합하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우빈 강사님. 강의 너무 잘 듣고 있습니다 ㅎㅎㅎ강의를 보고 생각을 하다가 의아하다고 느낀 점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이전에 만든 Controller 테스트와 이번 강의에서 만들었던 DocsTest가 결국 controller를 테스트한다는 점은 동일하고, 문서를 만든다는 개념만 다를 뿐인데, 기능의 중복으로 보이는데 서로 따로 만드는 이유가 있을까요??기존에 Controller 테스트에서 @WebMvcTest를 삭제하고, 필요한 클래스와 mock을 정의한 뒤, API당 하나의 테스트 메서드에만 .andDo(document()를 작성하면 controller 테스트도 수행할 뿐더러 REST Docs를 출력까지 하니 더 좋지 않나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WebMvcTest와 이번 강의에서 작성한 DocsTest코드가 .andDo(document()를 이용한 테스트코드내용 출력 기능을 제외하고는 결국 중복된 코드로 보이는데, 기존에 controller test와 DocsTest를 하나로 합쳐서 관리해도 되는 것일까요?요약 : 이번 강의에서 만든 DocsTest로 이전에 만들었던 Controller 테스트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실무환경에서는 어떻게 관리되는지 궁금하고, 만약 두개의 테스트코드로 나눠서 관리된다면 굳이 왜 나눴는지가 궁금합니다!!!!우빈 강사님. 강의에서 정말 많이 배워갑니다 감사합니다!!! ㅎㅎㅎㅎ
-
해결됨실무에 바로 적용하는 프런트엔드 테스트 - 2부. 테스트 심화: 시각적 회귀・E2E 테스트
4.3 테스트 질문 입니다
시간: 9:00Q.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로그인 버튼을 클릭할 경우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경고 메시지가 노출된다’ 를 테스트 할 때, 비밀번호가 입력하지 않은 상태인지 확인하는 부분은 없어도 되는 건가요??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요소가 null 인지 확인하는 테스트는 없어도 되는 건가요??
-
해결됨실무에 바로 적용하는 프런트엔드 테스트 - 2부. 테스트 심화: 시각적 회귀・E2E 테스트
5.2 테스트에서 상품 이름 사용, 로그인 세션 질문
Q1. 장바구니, 구매 버튼 클릭 시 해당 상품의 이름을 cy.findByText('Handmade Cotton Fish 장바구니 추가 완료!').should('exist) 상품 이름을 직접 입력하는데, (통합 테스트에서 모킹 데이터를 사용한다면 모킹 데이터는 직접 설정하기 때문에 가능하지만), 실제 api를 사용하면 첫번째 상품 데이터가 변경할 수도 있기 때문에 실패할 수도 있기 때문에 다르게 작성해야 하지 않을까요?? 질문 드립니다 Q2. 로그인을 커스텀 커맨드에서 설정해서 session을 사용해 설정해서 테스트할 때, 웹에서는 로그인 성공/실패 여부는 확인할 수 없는 것 아닌가요??로그인이 실패하게 되면 로그인 관련 테스트는 모두 실패하게 되는데 그냥 이 결과로 로그인 성공/실패 확인을 하는 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