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입문 - 모든 IT인을 위한 SQL 첫걸음(SQL부터 차근차근)
order 테이블 생성이 안되네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스크린샷과 쿼리문은 다음과 같습니다..CREATE TABLE orders ( order_id INT AUTO_INCREMENT PRIMARY KEY, customer_id INT NOT NULL, product_id INT NOT NULL, quantity INT NOT NULL, order_date DATETIME DEFAULT CURRENT_TIMESTAMP, status VARCHAR(20) NOT NULL DEFAULT '주문접수', CONSTRAINT fk_orders_customers FOREIGN KEY (customer_id) REFERENCES customers(customer_id), CONSTRAINT fk_orders_products FOREIGN KEY (product_id) REFERENCES products(product_id));
-
미해결실습으로 손에 잡히는 SQLD의 정석(2과목)
학생, 등록, 수업 데이터세트 로드 오류
안녕하세요! 수강생입니다!권한이 불충분하다는 오류가 계속 발생합니다.오류 해결 방법을 모르겠어서 질문합니다..!
-
해결됨[백문이불여일타] 데이터 분석을 위한 중급 SQL
SQL 코딩테스트 질문
안녕하세요 에이블리 데이터분석가 포지션에 지원했고,SQL테스트를 대비하고자 강의를 구매해서 듣고 있습니다.혹시 [백문이불여일타] 데이터 분석을 위한 기초 SQL[백문이불여일타] 데이터 분석을 위한 중급 SQL[백문이불여일타] 데이터 분석을 위한 중급 SQL 문제풀이이렇게 3가지 강의를 반복하면 코테 대비에 적절한지, 아니면 고급SQL까지 수강할 필요가 있는지 문의드립니다.감사합니다. :)
-
미해결실습으로 손에 잡히는 SQLD의 정석(2과목)
ERD 그리기?
노랭이 34번 문제 해설보면, 주어젠 <아래>로 ERD그린것을 보았는데, 시험때도 그릴 수 있어야 하나요?그리고 <아래>로 ERD를 그렸을때 꼭 한가지 형태만 나오는건가요? 대체적으로 그렇게 생각하여 그릴 순 있지만, 경우에따라 다른 조건?(식별자?)의 형태로 그려질수도 있는건 아닌지 ...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입문 - 모든 IT인을 위한 SQL 첫걸음(SQL부터 차근차근)
ifnull()과 default 차이
ifnull(인자1, 인자2) 은 인자1이 null이면 인자2를 값으로 사용한다고 설명하셨는데요.이것을 보고 생각나는 것이 테이블 생성시에 필드에 지정하는 default 가 생각나는데요.이 default도 필드 값이 null이면 지정한 default값을 사용하는데 그렇다면 ifnull()과 default의 차이점은 뭔가요?당장 제 수준에서 생각나는건 ifnull()은 매 쿼리 작성할때 기본값을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정도일 것 같은데이것말고 특별한 차이점 같은 것이 있을까요?
-
미해결[2025] SQLD 문제가 어려운 당신을 위한 노랭이 176 문제 풀이
64번 설명에서
CONNECT BY PRIOR 부모 = 자식 → 순방향 (부모 → 자식)CONNECT BY 자식 = PRIOR 부모 → 역방향 (자식 → 부모)인데 왜 1번해설에서 위는 역방향 아래는 순방향이라고 해설이되나요?둘다 역방향으로 보여집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섹션3. 조인2 - 외부 조인과 기타조인 / 문제와 풀이2 강의 문의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문제와 풀이2의 문제2(모든 상품 옵션 조합에 재질 추가하기)에서 선생님 실행 결과가 (사이즈) S -> M -> L -> XL 순서로 나오던데요, 제 생각에는 기본 문자열 정렬이라면 L -> M -> S -> XL 순서가 맞는 것 아닌가요? 혹시 제가 놓친 부분이 있을까요?
-
미해결[2025] 비전공자도 한 번에 합격하는 SQLD 올인원
오라클 콘테이너 설치 관련 문의
파워쉘에서 이렇게 뜨는데,어떻게 해야 할까요?
-
해결됨FastAPI 완벽 가이드
64강: mysql-connector-python 버전 관련
mysql-connector-python=9.4.0으로 2025.8.17일 현재의 최신 버전을 설치했더니, engine.connect() 부터 적용이 안되던데... 이유가 궁금합니다. 왠만해서는 안될 이유가 없을 것 같은데...희한하게 안되더라구요... 궁금해서 질문 남깁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2025] 비전공자도 한 번에 합격하는 SQLD 올인원
단원정리문제 오기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안녕하십니까 선생님,PDF P282 단원정리문제 28번정답이 1번이라고 되있던데랩탑, 모니터, 키보드 전부 포함된게정답이 아닐지 여쭤봅니다.\\ 문제 30번도 다 합치면 15,500인데 이상한거같습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배치 처리 방식과 파이프라인 처리 방식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 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영한님! 데이터베이스 입문/기본편 강의에서 GROUP BY, 집계함수, CASE 문 등을 배우고 공부하면서, DBMS에서 레코드를 읽고 표현식을 처리하는 내부 과정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이번 강의에 조건부 집계 같은 나름 복잡한? 쿼리를 이해하려고 노력하면서 몇 가지 궁금증이 떠올랐습니다. 질문1) 배치 처리 방식 vs 파이프라인 처리 방식영한님의 자바 고급편 강의에서, 데이터 요소들의 처리하는 방식에는 파이프라인 방식과, 배치 처리 방식이 있다고 하셨던 부분이 떠올랐습니다. 데이터베이스 쿼리의 논리적 순서는 FROM -> WHERE -> (GROUP BY -> HAVING -> ) SELECT -> .... 과정으로 이뤄지는데, 실제 DBMS에서는 FROM 절 -> WHERE 절 배치처리 -> SELECT 절 배치처리 이런 과정으로 이뤄지는지,아니면 레코드 하나를 단위로 FROM -> WHERE -> SELECT 파이프라인을 거쳐 처리가 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질문 2) GROUP BY와 집계 함수 처리 시점COUNT()나 SUM()과 같은 집계함수는 select 절에 존재하고, 쿼리의 논리적 순서에 따르면 GROUP BY 다음 SELECT 절이 실행되는데요. (HAVING 제외) 실제로는 GROUP BY를 실행하면서 SELECT 절에서 필요한 집계 값을 누적시키는지,아니면 특별한 자료구조에 그룹별로 레코드를 모아두고 SELECT절 수행 시점에 집계함수 값을 얻어내는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2025]비전공자도 한 번에 합격하는 SQLD Part2
실전모의고사 4,5회차 파일이 비어있습니다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잡담
[질문 내용]4:13초에 아잇아아아잇 이런 인간적인 모습까지 ㅋㅋㅋㅋ 당황하시는 모습에 빵터졌네요 ㅋㅋㅋㅋㅋ 이런 거 편집 안해주셔서 감사합니다ㅋㅋㅋㅋㅋㅋㅋ
-
미해결실습으로 손에 잡히는 SQLD의 정석(2과목)
강의내용이랑 책페이지, 문제번호롱 아예달라요 ...
SQL 자격검정 실전문제 SQLD, SQLP 같이 있는 문제집인데 전혀 매칭이 안되네요 ㅠ 책 번호 매칭되게 알려주시면 안될까요.... 문제랑 답지도 없는데 쿼리문만 가지고 수업해주시니 따라가기가 벅찹니다 ㅜㅜㅜ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문제4 - orders를 기준으로 할 경우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users 말고, orders 기준으로 쿼리를 작성 중인데요 여기서 봉착한 난관이... 주문 기록이 없다면, null로 표현되는 부분을 어떻게 풀어나가야 할지 모르겠어서 문의드립니다ㅠㅠSELECT u.name as user_name, p.name as product_nameFROM orders AS oLEFT JOIN users AS u ON o.user_id=u.user_idLEFT JOIN products AS p ON o.product_id=p.product_idORDER BY u.name, p.name;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외부조인2 - 실습2 - is NULL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외부 조인2강 - 실습2 관련 질문입니다!SELECT *FROM products AS pLEFT JOIN orders AS o ON p.product_id = o.product_idWHERE o.product_id is NULL; WHERE 절에 o.order_id is NULL로 작성해주셨는데, 위와 같이 WHERE o.product_id is NULL; 써도 괜찮은 걸까요?
-
미해결FastAPI 완벽 가이드
152번 강의에서 질문이있습니다.
router 계층에서 service계층의 get_all_blogs를 직접 호출하지않고 Depends로 넣어주는 이유가 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중고급 SQL과 실전 데이터 분석 101 문제 풀이
where 컬럼에 함수를 적용하는건 좋지 못하다고 들었습니다.
강의 연습문제 where 컬럼에 함수를 래핑해서 조건을 만족하는 문제를 보았는데요, 테이블 행수가 적을 땐 문제가 안된다고 들었는데, 행 수가 많을때는 컬럼에 함수를 래핑하면 인덱스 적용 불가 및 모든 컬럼에 함수를 적용해야해서 성능이 안좋아진다고 들었는데, 선생님의 의견 궁금합니다.
-
해결됨실전 jOOQ! Type Safe SQL with Java
질문) jOOQ 프로젝트에서 CI/CD 자동화 문의
안녕하세요, 강사님.강의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jOOQ를 사용한 프로젝트에서 CI/CD 과정을 어떻게 자동화하는지 궁금하여 문의드립니다.CI/CD 서버와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는 부분에서 보안 리스크가 큰 것 같은데, 실제 업무에서는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아니면 자동 생성한 코드를 Git Repository에 함께 업로드해야 하는지 여쭙고 싶습니다. 이 경우 git commit이 깔끔해지지 않을 것 같아 걱정이 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 **: 복합 인덱스 순서 변경에 따른 쿼리 성능 차이가 없는 이유 분석**
안녕하세요!MySQL에서 복합 인덱스의 순서 변경이 쿼리 성능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테스트해 보고 있는데, 예상과는 다른 결과가 나와 도움을 요청드립니다.테이블 구조데이터가 저장된 테이블은 다음과 같습니다:(예시)CREATE TABLE orders ( group_id VARCHAR(10), -- 그룹 ID order_id VARCHAR(20), -- 주문 ID condition_id VARCHAR(20), -- 조건 ID contract_type VARCHAR(10), -- 계약 유형 status_code VARCHAR(10), -- 상태 코드 include_exclude_code VARCHAR(10) -- 포함/제외 코드 );데이터 분포는 다음과 같습니다:group_id는 카디널리티가 낮음 (예: 값 종류가 'A', 'B' 등 소수 종류만 있음).order_id와 condition_id는 각각 고유값(유니크하거나 높은 카디널리티)을 가집니다.실험한 쿼리복합 인덱스를 2개 생성한 후 아래의 쿼리를 실행했습니다:EXPLAIN ANALYZE SELECT order_id, include_exclude_code, group_id, contract_type, condition_id, null AS additional_condition, status_code FROM orders FORCE INDEX(ix_orders_01) -- 또는 ix_orders_02 WHERE condition_id = 'C100000001' AND group_id = 'A' AND order_id IN ( 'O20201016020421', 'O20250808368450', 'O20250808368492', 'O20250711342532', 'O20250711342535', 'O20240412709178' );생성한 인덱스인덱스 1: 데이터를 (group_id, order_id, condition_id) 순으로 정렬CREATE INDEX ix_orders_01 ON orders (group_id, order_id, condition_id);인덱스 2: 데이터를 (condition_id, order_id, group_id) 순으로 정렬CREATE INDEX ix_orders_02 ON orders (condition_id, order_id, group_id);실행 결과두 인덱스를 강제로 사용해서 실행한 결과, 실행 비용(cost), 실제 실행 시간(actual time), 그리고 사용된 인덱스 조건에서 모두 차이를 보이지 않았습니다.실행 계획 결과 (인덱스 1과 2 공통):인덱스 조건: (condition_id = 'C100000001' AND order_id IN (...) AND group_id = 'A')실행 비용(cost):15.41 rows=22실제 실행 시간(actual time):0.054~0.058초질문두 인덱스가 서로 다른 순서로 설정되었는데, 실행 결과가 동일한 이유가 무엇인가요?이런 경우 복합 인덱스의 순서가 실제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판단해도 될까요?추가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있다면 조언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