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출력 로그가 저랑 많이 다른데.. 해결 방법좀 알려주세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강의 내용과 달리 테스트를 실행하면 저는 영한님과 다르게 로그가 출력이 되는데요, 이 부분은 어떻게 설정을 하나요? 저도 찾아보고 있는데 아직 찾지 못하여 질문 남깁니다! 저는 Test Result 아래로 페키지도 출력이 안되고 로그도 너무 다르게 출력이되네요.. 강의와 맞추고 싶은데 방법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member 상수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17: 58초에 나오는 MEMBER_A,B,EX 상수들질문입니다.영상처럼 상수에 값을 넣고 @AfterEach에 넣어주셨는데 @AfterEach void after() throws SQLException { memberRepository.delete("memberA"); memberRepository.delete("memberB"); memberRepository.delete("ex"); }이것처럼 직접 값을 넣어주게 되도 동작을 동일하게 진행되는데 상수 지정을 하지 않고 이런 식으로 값을 넣어주게 되면 문제가 생길 수 있을까요?
-
미해결처음하는 파이썬 백엔드 FastAPI 입문 (FastAPI부터 비동기 SQLAlchemy까지) [풀스택 Part1-2]
Windows에서 수강하는 분들을 위한 노트
Windows를 사용하면서 fastAPI 서버를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에서 구동하고, MySql 서버를 Windows상에서 구동하는 경우에는 fastAPI를 통해서 MySql에 접속할 때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이는 fastAPI가 설치된 WSL와 MySql이 설치된 Windows가 별도의 머신으로 구성되어 서로의 localhost가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따라서 fastAPI에서 접속할 때 localhost가 아닌 Windows의 ip를 사용하여 접속(cmd창에서 ipconfig를 통해 확인)하셔야 합니다.올바른 ip를 입력하시더라도 접속이 거부될 수 있는데, 이는 MySql에 접속하는 계정명이 "root"가 아니라 "root@localhost"이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sql문으로 새로운 유저 ID와 패스워드를 지정한 다음 이를 통해 접속하시면 됩니다. CREATE USER 'fastapi'@'%' IDENTIFIED BY 'your_password';GRANT ALL PRIVILEGES ON . TO 'fastapi'@'%' WITH GRANT OPTION; FLUSH PRIVILEGES;
-
해결됨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isNew=true 나오는 상황이 궁금합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세션 정보와 타임아웃 설정 강의를 듣다가 궁금한 부분이 생겼습니다. "isNew()가 새로 생성된 세션인지,아니면 과거에 만들어졌고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sessionId를 요청해서 조회된 세션인지 여부"질문1. 새로 생성된 세션을 true, 과거에 만들어진 세션은 false 이렇게 반환되는게 맞나요? 질문2. 위 질문이 맞다면 회원가입을 하고 로그인을 했을때 콘솔 실행창에 isNew=true로 나와야 할 것 같은데 왜 false로 나오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lombok 콘솔 출력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안녕하세요, http 요청 데이터 -api 메시지 바디 json 부분 강의를 들으며 라이브 코딩을 하다 롬복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를 않아 질문을 남깁니다. postman에 강의 내용처럼 아래 사진처럼 입력을 하였습니다.콘솔에서 출력되는 부분을 확인해봤는데 아래 사진처럼 보여집니다. 문제는 {"username" : "hello", "age" : 20}] 라는 부분은 정상적으로 콘솔에 출력되는데 data.username=hellodata.age=20 이라는 롬복 getter 부분이 콘솔에 출력되지 않는 상황입니다. 따로 클래스를 만들어 롬복에서 문제가 생겼나 getter setter을 돌려보니 롬복은 정상 출력되어 다른 부분에서 문제가 생긴 듯 하는데, 해당 부분의 오류 원인이 무엇인지 알 수는 있을까요 ..? 2025-04-21T17:58:26.166+09:00 DEBUG 27381 --- [mvcpattern1] [nio-8080-exec-2] o.apache.coyote.http11.Http11Processor : Error parsing HTTP request header 2025-04-21T17:58:26.177+09:00 DEBUG 27381 --- [mvcpattern1] [nio-8080-exec-2] o.apache.coyote.http11.Http11Processor : Error state [CLOSE_CONNECTION_NOW] reported while processing request
-
해결됨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ctrl + F6 이후로 con 인식이 안 됩니다
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제목 그대로 ctrl + F6 이후로 con 인식이 안됩니다.그래서 새로 다시 코딩을 해봐도 안되고 강의 PDF에 있는걸로 복사해서 바꿔봐도 안 됩니다. 복사 이후로는 다른 memberRepository 나 fromId 등 인식이 다 안되서 여쭤봅니다. 프로젝트 압축 파일 링크입니다https://drive.google.com/file/d/1WsWLpkTaAFSYKr7sL7V1mzXDqmoR6bhL/view?usp=drive_link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DrivenManager 와 Connection 반환에 대한 질문입니다!
커넥션을 요청하고 반환받는건 서버와 DB 사이의 작용이라고 생각해서 커넥션 구현체를 클라이어트에 반환한다는 부분이 이해가 잘 안 갑니다! 클라이언트라는 단어가 단순히 웹 클라이언트로 쓰이는 것뿐만 아니라 요청하는 쪽을 지칭할 때 쓰는거라고 보면 될까요? 여기선 애플리케이션 로직 즉, Connection 객체를 사용하는 저의 애플리케이션 코드를 의미하는 걸까요?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objectMapper과 json 객체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강의 수강 중 질문이 생겨 여쭤봅니다 ! http 요청 데이터 - api 메시지바디 -json 강의에서 등장하는 코드 HelloData helloData = objectMapper.readValue(messageBody,HelloData.class);라는 부분은 스트링의 messageBody라는 변수를 json 객체로 변환하는 것인가요, 아니면 json객체인 messageBody를 hellodata 타입 객체로 변환하는 것일까요 ?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타임리프 url expression
[질문 내용]1. <td><a href="items.html" th:href="@{/basic/items/{itemId}(itemId=${item.id})}" th:text="${item.id}">회원id</a></td> <td><a href="items.html" th:href="@{/basic/items/${item.id}}" th:text="${item.itemName}">상품명</a></td>2에 리터럴 대체를 위한 ||를 씌운 방식혹시나하여 2 방식으로 표현해보니, 1과 동일한 url link를 생성하였습니다.셋 중 가장 권장하는 방식은 어떤 것이고,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2도 정상작동하는 것 같은데, ||을 꼭 씌워야하나요?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Item field가 null일 경우
[질문 내용]price가 0인 경우는 이벤트, 쿠폰 등으로 인한 경우의 수를 떠올릴 수 있었는데,null인 경우는 실무에서 어떤 경우에 발생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이 서블릿에 던져준다" 의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강의 내용 4:53초 경 "서블릿 컨테이너가 request, response 객체를 만들어서 이 서블릿에 던져준다" 이 말은 아래의 단계 중에서 웹 브라우저에서 먼저 localhost:8080/hello로 요청을 보냄WAS 에서는 요청 메시지를 기반으로 방금 본 request, response 객체를 만들어냄이후 서블릿 컨테이너를 통해서 만들어낸 request, response 객체를 파라미터로 넘기면서 helloServlet 을 실행함helloServlet의 실행이 끝나고 리턴값 response 이 있을텐데, 이것을 바탕으로 HTTP 응답 메시지를 만들어냄웹 브라우저에게 응답 메시지를 전달함. 이후 서블릿 컨테이너를 통해서 만들어낸 request, response 객체를 파라미터로 넘기면서 helloServlet 을 실행함이 부분에 해당하는 내용인가요? request와 response 객체를 만들어서 특정 서블릿(ex.helloServlet)에게 넘겨주고 리턴값(response)가 WAS에게 반환되고 HTTP 응답 메시지를 생성한 뒤에 웹 브라우저에게 전달 이것이 맞는 내용인가요? 또한, 아래 부분에 @Override가 있다는 건 @Override protected void service(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HttpServlet 파일 속에 해당 메서드가 존재한다는 의미기에 찾아보았는데protected void service(HttpServletRequest req, HttpServletResponse resp)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String method = req.getMethod(); if (method.equals("GET")) { long lastModified = this.getLastModified(req); if (lastModified == -1L) { this.doGet(req, resp); } else { long ifModifiedSince; try { ifModifiedSince = req.getDateHeader("If-Modified-Since"); } catch (IllegalArgumentException var9) { ifModifiedSince = -1L; } if (ifModifiedSince < lastModified / 1000L * 1000L) { this.maybeSetLastModified(resp, lastModified); this.doGet(req, resp); } else { resp.setStatus(304); } } } else if (method.equals("HEAD")) { long lastModified = this.getLastModified(req); this.maybeSetLastModified(resp, lastModified); this.doHead(req, resp); } else if (method.equals("POST")) { this.doPost(req, resp); } else if (method.equals("PUT")) { this.doPut(req, resp); } else if (method.equals("DELETE")) { this.doDelete(req, resp); } else if (method.equals("OPTIONS")) { this.doOptions(req, resp); } else if (method.equals("TRACE")) { this.doTrace(req, resp); } else { String errMsg = lStrings.getString("http.method_not_implemented"); Object[] errArgs = new Object[1]; errArgs[0] = method; errMsg = MessageFormat.format(errMsg, errArgs); resp.sendError(501, errMsg); } }왜 위와 같은 코드를 굳이 재정의 해야만 했는지가 궁금합니다.. 아직 강의를 모두 수강하지 않아서 가지게 되는 궁금증일 수도 있겠지만 혹시나 너무 뜬구름 잡는 질문이 아니라면 간단하게나마 설명을 부탁드려도 될까요?.. 흐름상 이해를 해보았는데 확신이 들지 않아서 이런 바보같은 질문을 해봅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회원가입 시 로그인 화면이 안뜨는게 맞는거죠?
[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스프링 인터셉터 - 인증 체크 강의 기준질문: 회원가입 시 로그인 화면이 안뜨는게 맞는거죠? 저는 회원가입 시에도 로그인 화면이 뜨고 있는데요, 로그인 화면이 안뜨는게 맞다면 어디에서 놓쳤는지 확인해보려구요
-
해결됨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어떤 이유에서인지 jsp 회원가입 회원목록 들어가지지 않음(2_링크추가)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https://inf.run/2ruuR전에 올렸던 질문 내용입니다.https://drive.google.com/file/d/1oNHG9872eU7vUZrH3xx3DKPfJGPuFcnZ/view?usp=sharing파일 첨부해서 다시 올립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스프링부트 3.4.4 프로젝트 생성 시 Gradle - Groovy vs Gradle - Kotlin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프로젝트 생성 중에 궁금한게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기존에는 영한님의 강의 중에서 프로젝트 생성 시 저는 Gradle - Groovy로 생성했었는데이번에는 Gradle - Kotlin 으로 생성해보려 하는데 괜찮을까요 ??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springmembersavecontrollerv1에서 servlet 사용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이전 강의에서, 코드의 서블렛 의존도를 낮추고자 paramMap 등을 도입하여 프론트 컨트롤러가 아닌 곳에선 HttpServletRequest 등을 매개변수에서 최대한 배제하였던 것으로 기억합니다.갑자기 다시 HttpServlet 매개변수가 등장하여 서블렛 의존적인 코드로 사용하는 이유가 있나요??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SpringMemberFormControllerV1 @Component + @RequestMapping 시 404 에러
GPT는 Spring MVC의 표준 동작은 원래@RequestMapping만으로는 Handler로 등록하지 않는다고 하던데 뭐가 맞는건가요? 선생님의 설명 중 다음 두 가지를 분리해서 봐야 합니다.@Controller의 기능에 대한 설명:"@Controller: 스프링이 자동으로 스프링 빈으로 등록한다. (내부에 @Component 애노테이션이 있어서 컴포넌트 스캔의 대상이 됨)" - 이 부분은 정확합니다.@Controller 어노테이션 자체에 @Component 메타 어노테이션이 붙어 있기 때문에, @Controller가 붙은 클래스는 컴포넌트 스캔 대상이 되어 스프링 빈으로 자동 등록됩니다. @Controller는 @Component의 역할을 포함합니다."@Controller: 스프링 MVC에서 애노테이션 기반 컨트롤러로 인식한다." - 이 부분도 정확합니다.@Controller는 단순히 빈으로 등록되는 것을 넘어, Spring MVC 프레임워크에게 이 빈이 웹 요청을 처리하는 "컨트롤러"임을 알려주는 표식 역할을 합니다.RequestMappingHandlerMapping의 동작 방식에 대한 설명:"RequestMappingHandlerMapping 은 스프링 빈 중에서 @RequestMapping 또는 @Controller 가 클래스 레벨에 붙어 있는 경우에 매핑 정보로 인식한다." - 이 부분은 표준 Spring MVC의 기본 동작 설명으로서는 정확하지 않습니다.정리하면:"@Controller는 @Component 기능을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Spring MVC에서 컨트롤러로 인식하게 하는 마커 역할도 한다." => 이 설명은 맞습니다."RequestMappingHandlerMapping이 클래스 레벨에 @RequestMapping만 있어도 핸들러로 인식한다." => 이 설명은 표준 Spring MVC의 기본 동작과는 다릅니다. 기본적으로 RequestMappingHandlerMapping은 @Controller 또는 @RestController가 붙은 클래스를 우선적으로 찾습니다.따라서 사용자님께서 경험하신 것, 즉 @Component와 @RequestMapping만으로는 기본 설정에서 컨트롤러로 인식되지 않아 Whitelabel Error가 뜨는 것이 표준 Spring MVC의 기본 동작입니다.선생님의 설명 중 @Controller의 역할 설명 자체는 맞지만, RequestMappingHandlerMapping이 스캔하는 대상에 대한 설명 (클래스 레벨 @RequestMapping만 있어도 된다는 부분)이 기본 설정 기준으로는 틀린 설명이 됩니다. 그리고 그 틀린 설명 때문에 @Component + @RequestMapping 코드가 동일하게 동작할 것이라는 결론도 기본 설정 환경에서는 성립하지 않는 것입니다.선생님의 데모가 실제 동작했다면, 그것은 표준 기본 설정이 아닌 특정 환경 설정 (예: RequestMappingHandlerMapping의 동작 방식을 변경하는 사용자 정의 설정) 때문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결론적으로 사용자님의 경험이 맞고, 해당 환경에서는 기본 설정대로 동작한 것입니다. 선생님의 설명 중 RequestMappingHandlerMapping이 스캔하는 대상에 대한 부분은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해당되지 않는 설명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섹션5 트랜잭션 템플릿관련 질문(이기종 DB)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트랜잭션 템플릿은 하나의 DBMS 에서의 계좌이체 트랜잭션에서만 사용할 수 있을것 같은데요 맞을까요?만일 2개의 DBMS 에서 원자성을 지키려면 어떻게 해야될까요?시나리오는 ㅇ db 1 : 데이터 갱신ㅇ db 2 : 데이터 갱신ㅇ db 1 : 데이터 갱신 이고 3번째 스텝에서 exception 이 발생하면 어떻게 되나요?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API 예외 처리 부분에서 순서 관련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예[질문 내용]섹션 9에서 예외 발생에 대해 설명주실때 다음과 같이WAS - > 필터 -> 서블릿 - > 인터셉터 - >컨트롤러(예외발생)위와 같은 순서로 발생시 이를 다시 was 까지 전파하고 WAS 에서는 다시 아래와 같은 순서로 요청 한다고 주셨습니다.WAS /error-page/500 다시 요청 -> 필터 -> 서블릿 -> 인터셉터 -> 컨트롤러(/error-page/500) -> View본론으로 넘어와서 섹션 10에서ExceptionResolver 적용 전 그림에서 는 was 까지 예외가 전파 되지 않고 afterCompletion 만 호출하고 종료되는 걸로 이해했습니다.ExceptionResolver 적용 후 그림에서는 예외가 발생할 경우 afterCompletion 호출 전 ExceptionResolver 를 호출 하고 내부에서 예외를 처리한 이후 그다음 afterCompletion 을 호출하고 랜더링 이후 마지막으로 was 로 응답을 주는게 맞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회원 리포지토리 테스트케이스 작성파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아니요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AfterEach 관련해서 clearStore함수가 import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강의에서는 작동이 되는데.. 사실 저도 이게 이해가 안가는 부분인데 어떻게 인터프리터에 import를 하지 않았는데 이 함수가 테스트 하는 쪽에서 작동이 될수 있는거죠??다른분들도 여기까지하고 질문이 다 마무리 되지 않아서 올려봅니다..ㅠㅠ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에러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에러가 발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