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실무에 바로 적용하는 프런트엔드 테스트 - 1부. 테스트 기초: 단위・통합 테스트
단언문 순서에 따라 테스트 결과가 왜 달라지나요?
expect(screen.getByTestId('cart-icon')).toBeInTheDocument(); expect( await screen.findByRole('button', { name: 'Maria' }), ).toBeInTheDocument(); expect(screen.getByText('2')).toBeInTheDocument();영상의 테스트 코드는 통과하는데, 위와 같이 두번째와 세번째 단언문을 바꾸면 실패합니다. 왜이런가요?
-
미해결실무에 바로 적용하는 프런트엔드 테스트 - 1부. 테스트 기초: 단위・통합 테스트
useNavigate 테스트 시, 검증 대상 질문입니다.
뒤로 이동 버튼을 눌러 페이지 전환이 잘 되었음을 검증하고 싶으면 history web api 등을 이용해서 검증하는게 더 올바르지 않나요??왜 useNavigate 의 반환 함수의 인자로 검증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무에 바로 적용하는 프런트엔드 테스트 - 1부. 테스트 기초: 단위・통합 테스트
강의 예시프로젝트 업데이트좀 부탁드립니다.
아니면 강의 설명 동영상에프로젝트 초기버전 세팅 등 각종 프로젝트 설정을 자력으로 해야한다. 라는 안내문구라도 존재하면 좋겠습니다. 문제 해결을 할수는 있지만 초기 세팅에 시간이 많이 드는건 사실입니다.
-
미해결실무에 바로 적용하는 프런트엔드 테스트 - 1부. 테스트 기초: 단위・통합 테스트
통합테스트와 단위테스트 파일 분리
통합 테스트와 단위 테스트를 작성할 때 따로 파일 구분 없이 작성하는게 일반적인가요?
-
미해결실무에 바로 적용하는 프런트엔드 테스트 - 1부. 테스트 기초: 단위・통합 테스트
grid 양옆에 margin은 어디서 설정되어있는건가요 ?
찾아보니 잘안보여서 네비게이션 밑에 필터부터 전체 마진 양옆으로 먹어진거 ...로우당 그리드 개수 설정이랑 ..
-
미해결실무에 바로 적용하는 프런트엔드 테스트 - 1부. 테스트 기초: 단위・통합 테스트
vitest 설치했는데
이렇게 발견된 테스트가 없다면서 8:39 화면처럼 테스트확장에 리스트가 출력되지않습니다.. 브랜치받고 npm ci 까지 한 상태입니다.커서 ide 참고로 0.2.42 버전 없어서 제일낮은 0.3 버전사용해도 못찾습니다 .. Vitest v0.33.0 is not supported. Vitest v1.4.0 or newer is required. 이렇게 출려되는데 버전을 올릴까요 ?
-
미해결실무에 바로 적용하는 프런트엔드 테스트 - 1부. 테스트 기초: 단위・통합 테스트
2부 할인쿠폰 관련
안녕하세요.제공해주신 인강으로 프론트엔드 테스트를 공부하고 있는 수강생입니다. 최근 일이 많아져 인강 듣는 시간을 할애하지 못하였지만 이번 설 연휴를 맞이하여 1편 다보고 2편까지 보려고 하는데 제가 실수로 할인 쿠폰을 발급 받았다가 사용하지 못하고 유효기간이 지나 버렸는데 재발급을 할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문의드립니다!
-
미해결실무에 바로 적용하는 프런트엔드 테스트 - 1부. 테스트 기초: 단위・통합 테스트
에러 해결 방법
[0] Failed running 'server/index.js' [1] [1] VITE v4.4.4 ready in 271 ms [1] [1] ➜ Local: http://localhost:5173/ [1] ➜ Network: use --host to expose [0] Restarting 'server/index.js' [0] file:///Users/kim-yongmin/test-example-shopping-mall/server/index.js:9 [0] import productsJSON from './response/products.json' assert { type: 'json' }; [0] ^^^^^^ [0] [0] SyntaxError: Unexpected identifier 'assert' [0] at compileSourceTextModule (node:internal/modules/esm/utils:337:16) [0] at ModuleLoader.moduleStrategy (node:internal/modules/esm/translators:164:18) [0] at callTranslator (node:internal/modules/esm/loader:439:14) [0] at ModuleLoader.moduleProvider (node:internal/modules/esm/loader:445:30) [0] at async ModuleJob._link (node:internal/modules/esm/module_job:106:19) [0] [0] Node.js v22.5.1 [0] Failed running 'server/index.js' 3.1 강의 시청 후 test-example-shopping-mall 브랜치에서, 작업을 시작할려고, 서버와 프로젝트를 모두 킬려고 하는데 잘 동작하지 않습니다. 이에 대한 해결방법이 있을까요?
-
해결됨실무에 바로 적용하는 프런트엔드 테스트 - 2부. 테스트 심화: 시각적 회귀・E2E 테스트
Retry-ability와 커스텀 커맨드, 커스텀 쿼리 질문
안녕하세요 선생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이번 강의에서 질문이 있습니다! 1. 커스텀 쿼리도 Retry-ability 지원되고 커스텀 쿼리 안에 커맨드도 Retry-ability가 지원되면 n의 m제곱 번의 재시도가 발생하는 것일까요? 2. 커스텀 커맨드와 커스텀 쿼리 중에 뭘 사용할 것인지는 Retry-ability 지원 유무와 체이닝을 기준으로 선택하면 될까요? 예시코드를 봤을 때 getCardButton와getProductCardByIndex 둘 다 DOM 요소를 조회해서 subject를 리턴하여 체이닝을 통해 후속 작업을 하는 것처럼 보이는데 왜 getProductCardByIndex는 커스텀 커맨드로 작성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
해결됨실무에 바로 적용하는 프런트엔드 테스트 - 1부. 테스트 기초: 단위・통합 테스트
직접 구현한 atom 컴포넌트 테스트 범위 질문
안녕하세요 선생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직접 구현한 atom 컴포넌트들의 테스트 범위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Typography, Badge, Divider와 같이 별도의 로직이 존재하지 않는 컴포넌트들은 ProductInfoArea처럼 스토리북으로 확인만 해도 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아니면 atom 컴포넌트의 경우에는 props로 전달 받은 값이 잘 반영되는지 검증이 필요할까요? ( className 값이 잘 적용되는지, Typography의 경우 children 값이 화면에 잘 노출되는지 등등)
-
미해결실무에 바로 적용하는 프런트엔드 테스트 - 1부. 테스트 기초: 단위・통합 테스트
setup, teardown 동작 순서
안녕하세요!setup, teardown 강의를 보며 실습하고 있습니다.beforeAll 내에 console이 첫번째로 찍히다가 afterAll과 함께 사용할 경우에는 afterAll 바로 직전(마지막 바로 앞)에 찍히고 있습니다. (afterAll을 지울 경우에는 첫번째로 찍히고 있습니다.) beforeEach는 it을 실행하는 횟수만큼 실행되는거 같은데요. describe내에 선언한 beforeEach는 describe내에 호출한 it의 횟수만큼 실행되는게 맞는거 같은데 root의 beforeEach, afterEach도 it의 횟수만큼 실행되는게 맞을까요?제가 사용한 코드와 출력화면 입니다.import { screen } from '@testing-library/react';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TextField from '@/components/TextField'; import render from '@/utils/test/render'; beforeEach(() => { console.log('2. root - beforeEach'); }); beforeAll(() => { console.log('1. root - beforeAll'); }); afterEach(() => { console.log('5. root - afterEach'); }); afterAll(() => { console.log('6. root - afterAll'); }); describe('placeholder', () => { beforeEach(() => { console.log('3. placeholder - beforeEach'); }); afterEach(() => { console.log('4. placeholder - afterEach'); }); it('기본 placeholder "텍스트를 입력해 주세요."가 노출된다.', async () => { await render(<TextField />); const textInput = screen.getByPlaceholderText('텍스트를 입력해 주세요.'); expect(textInput).toBeInTheDocument(); }); it('placeholder prop에 따라 placeholder가 변경된다.', async () => { await render(<TextField placeholder="상품명을 입력해 주세요." />); const textInput = screen.getByPlaceholderText('상품명을 입력해 주세요.'); expect(textInput).toBeInTheDocument(); }); }); /** 실행 결과 2. root - beforeEach 3. placeholder - beforeEach 4. placeholder - afterEach 5. root - afterEach 2. root - beforeEach 3. placeholder - beforeEach 4. placeholder - afterEach 5. root - afterEach 1. root - beforeAll 6. root - afterAll */
-
미해결실무에 바로 적용하는 프런트엔드 테스트 - 1부. 테스트 기초: 단위・통합 테스트
debounce 함수 테스트 정확도 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debounce 함수 테스트 관련 강의를 보고 궁금한 점이 있어 문의드립니다. debouncedFn이 300ms이 지난 후 실행되어야 함을 테스트할 때, 기존에 작성해주신 것 처럼 테스트할 시에는 함수가 300ms 후가 아닌 즉시 실행이 되거나 그보다 작은 시간이 지나고 실행이 되어도 테스트가 통과하게 됩니다. 그에 따라 아래처럼 작성하는 것이 더 정확한 테스트라고 생각이 되는데 이렇게 테스트하지 않는 이유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it('특정 시간이 지난 후 함수가 호출된다.', () => { const spy = vi.fn(); const debouncedFn = debounce(spy, 300); debouncedFn(); expect(spy).not.toHaveBeenCalled(); // 즉시 호출되지 않았는지 확인 vi.advanceTimersByTime(299); expect(spy).not.toHaveBeenCalled(); // 299ms 후에도 호출되지 않았는지 확인 vi.advanceTimersByTime(1); expect(spy).toHaveBeenCalledTimes(1); // 300ms 후에 정확히 한 번 호출되었는지 확인 expect(spy).toHaveBeenCalled(); });
-
미해결실무에 바로 적용하는 프런트엔드 테스트 - 2부. 테스트 심화: 시각적 회귀・E2E 테스트
브랜치 git clone 질문
질문 git clone https://github.com/practical-fe-testing/test-example-shopping-mall.git 를 했는데 폴더안에 gitignore 과 readme 파일만 있는데 해당 브랜치를 clone해서 사용하는게 아닌건가요? 참고사항 대체방안으로 zip파일로 다운받아서 사용하고 있긴합니다!
-
미해결실무에 바로 적용하는 프런트엔드 테스트 - 1부. 테스트 기초: 단위・통합 테스트
ProductFilter test 어떤 방식이 더 선호되는 방식일까요?
it('최소 가격 또는 최대 가격을 수정하면 setMinPrice과 setMaxPrice 액션이 호출된다.', async () => { const { user } = await render(<ProductFilter />); const minPriceInput = screen.getByPlaceholderText('최소 금액'); const maxPriceInput = screen.getByPlaceholderText('최대 금액'); await user.type(minPriceInput, '10'); await user.type(maxPriceInput, '10000'); expect(setMinPriceFn).toHaveBeenCalledWith('10'); expect(setMaxPriceFn).toHaveBeenCalledWith('10000'); }); 전 이런식으로 작성했습니다.단위 테스트에서 알려주신 AAA패턴을 해당 통합테스트에서도 적용하면 깔끔할 것 같아서 이렇게 작성했어요.어차피 검증할건 setMaxPriceFn & setMinPriceFn이 호출됐는지 여부라 최소금액 및 최대금액 인풋을 연속적으로 조작하게 했습니다.혹시 이렇게 하면 문제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실무에 바로 적용하는 프런트엔드 테스트 - 2부. 테스트 심화: 시각적 회귀・E2E 테스트
unit-test-example 브랜치에서 'Test result not found.' 가 뜹니다...
unit-test-example에서 테스트를 실행하니 테스트코드 통과 여부에 관계없이 Test result not found만 뜨며 실패합니다. 이유를 모르겠어요ㅠㅠ Test result not found.If you set `vitest.commandLine` please check:Did you set `vitest.commandLine` to `run` mode? (This extension requires `watch` mode to get the results from Vitest api)Does it have the ability to append extra arguments? (For example it should be `yarn test --` rather than `yarn test`)Are there tests with the same name?Can you run vitest successfully on this file? Does it need custom option to run?
-
해결됨실무에 바로 적용하는 프런트엔드 테스트 - 1부. 테스트 기초: 단위・통합 테스트
통합 테스트 작성 방식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테스트는 내부 구현에 의존하지 않고 사용자 입장에서 작성하는게 좋다고 이해했습니다.그런데 ProductFilter 컴포넌트의 통합테스트를 작성하시면서 "상품명을 수정하는 경우 setTitle 액션이 호출된다", "최소 가격 또는 최대 가격을 수정하면 setMinPrice와 setMaxPrice 액션이 호출된다" 와 같이 사용자가 값을 변경할 때 특정 액션 함수가 호출되는지를 검증하셨는데, 이건 내부 구현에 의존적인 테스트라고 볼 수 없을까요?추후 Store 내부 구조가 바뀌거나 아예 Store를 사용하지 않는 식으로 구현 방법이 바뀌더라도 사용자 입장에선 달라지는게 없으니 테스트가 실패하지 않는게 좋은 테스트가 아닌지 궁금합니다.2. api를 호출하는 커스텀 훅을 사용하는 컴포넌트를 테스트하실 때 msw를 이용해 해당 api의 응답을 모킹하셨는데, 커스텀 훅 자체를 모킹해서 훅이 반환하는 값을 원하는대로 지정하는 것도 가능할 것 같습니다. 이렇게 api 대신 훅을 모킹하여 테스트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무에 바로 적용하는 프런트엔드 테스트 - 1부. 테스트 기초: 단위・통합 테스트
vitest Extension 알려주세요.
이렇게 뜨는데 어떤 익스텐션 설치해야될까요?
-
미해결실무에 바로 적용하는 프런트엔드 테스트 - 1부. 테스트 기초: 단위・통합 테스트
2.1 강의 질문있습니다.
!e.nativeEvent.isComposing 해당 코드가 이해가 되지 않아 찾아보았지만(아래 설명..), 정확히 어떻게 쓰이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설명 좀 부탁합니다. ev.nativeEvent.isComposing은 복잡한 문자 입력 도중 발생하는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한 속성으로, IME를 통한 입력이 완료되지 않았을 때 특정 키 이벤트를 무시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불완전한 입력에 대한 처리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
미해결실무에 바로 적용하는 프런트엔드 테스트 - 1부. 테스트 기초: 단위・통합 테스트
useNavigate()을 검증할 때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const navigateFn = vi.fn(); vi.mock('react-router-dom', async () => { const original = await vi.importActual('react-router-dom'); return { ...original, useNavigate: () => navigateFn }; });useNavigate 함수에 스파이 함수를 전달할때 위 코드를 사용하고 있는데요. 이부분에서 이해가 어려운게 있습니다. //ErrorPage.jsx const navigate = useNavigate(); const handleClickBackButton = () => { navigate(-1); }; 실제로 네비게이션에 활용하는 함수는 navigate() 잖아요.그런데 왜 스파이 함수를 useNavigate()에 전달하는 건가요? 직관적으로 보자면, expect(navigate함수에 전달된 spyFn).toHaveBeenNthCalledWith(1, -1) 이여야 할 거 같다고 느껴져서 이해가 안갑니다.
-
미해결실무에 바로 적용하는 프런트엔드 테스트 - 1부. 테스트 기초: 단위・통합 테스트
toHaveStyle 메서드 사용이 조금 이상한 것 같습니다.
it('focus가 활성화되면 border 스타일이 추가된다.', async () => { const { user } = await render(<TextField />); const textInput = screen.getByPlaceholderText('텍스트를 입력해 주세요.'); //await user.click(textInput); expect(textInput).toHaveStyle({ borderWidth: 'px', borderColor: 'rbg(25,a118,210)', }); }); (1) user.click(textInput)을 주석 처리 했습니다.그리고(2) toHaveStyle 부분에서,borderWidth, borderColor 두 값을 위와 같이 넣었는데도 테스트가 아래처럼 통과합니다. 수업 노트에 적혀진 이슈 (링크)의 내용대로 "1px"이라고 작성하면 test가 fail이 됩니다. 혹시 제가 잘 못 이해한 부분이 있는걸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