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강의 내용이 좋아서 재밌게 잘 보고 있습니다. 피상적으로 virtual dom을 접했을때는 virtual dom과 dom을 비교하는 글들위주로 보다보니 dom은 전체를 렌더링해서 느리고 virtual dom은 일부만 조작해서 성능이 향상된다는 인식이 있었는데요.강의를 듣다보니 virtual dom의 기능이 이런 방향과 다른결이라고 느꼈습니다. 강의에서 이해한 내용과 찾아본 지식을 종합해서 virtual dom에 대한 나름대로의 정리를 해보았는데요.제대로 인식한 것이 맞는지 피드백이 가능할까요? dom의 렌더링과 virtual dom의 렌더링은 서로 다른 시점이고 다른 책임을 가지고 있다.virtual dom은 dom렌더링을 낚아채서 빠르게 최적화하는게 아니고 dom렌더링은 브라우저가 항상 진행하는것이다.virtual dom은 빠른호출이 아니라 개발편의성 관점으로 보아야한다.전체 트리에서 변경된부분을 찾기 때문에 하드코딩된 것과 비교해 호출속도에 있어서 오히려 오버헤드가 있을수있다. 기존의 상태가 변경될때, 필요한 요소를 일일히 찾아서 innerHTML로 업데이트하는 과정을 virtual dom을 통해 추상화하여 제공하는것이다.필요한부분만 업데이트하는것이 중요한것은 17.1 innerHTML and its inefficiency에서 말씀하신대로 상태유실가능성 방지를 위한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