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초보 기획자/PM을 위한 Test Case 작성 및 QA 노하우
통합 테스트에서 TC 커버리지를 어디까지 고려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Test Case 포트폴리오 작성을 위해 본 강의를 수강중인 수강생입니다! 통합 테스트 수행 시 통합 테스트 케이스는 유저 시나리오 대로 작성하는 것이 일반적인 것 같은데, 유저 시나리오에서는 사용하지 않지만 스템적으로는 고려해야 할 예외 상황이나 경계 조건 등은 테스트 케이스에 어떻게 반영해야 할까요?예를 들어, API 간 연동 실패, DB 연결 지연, 특정 조건에서 발생하는 에러 등은 유저 플로우 상에는 없지만 실제 운영에서는 충분히 발생 가능한데,이런 케이스들을 통합 테스트 수준에서 어떻게 설계하거나 커버하는 것이 실무적으로 바람직한 접근일까요?
-
미해결초보 기획자/PM을 위한 Test Case 작성 및 QA 노하우
이어기 듣기 안되고, 처음부터 다시 듣기만 됩니다. 해결해 주세요 ㅠ.ㅠ
이어기 듣기 안되고, 처음부터 다시 듣기만 됩니다. 해결해 주세요 ㅠ.ㅠ
-
미해결초보 기획자/PM을 위한 Test Case 작성 및 QA 노하우
스크린샷 경로 좀 알려주세요
제목과 동일
-
미해결초보 기획자/PM을 위한 Test Case 작성 및 QA 노하우
강의 자료 요청
강의 자료가 업로드 안되어 요청합니다!
-
미해결초보 기획자/PM을 위한 Test Case 작성 및 QA 노하우
TC한계 - 기술적 이슈
안녕하세요! TC의 한계 가운데 '인프라, 기술적 이슈는 PM이 모를 수 있다'는 부분이 있는데요, 강의에서 들어주신 예로는, QA단계에서가 아닌 배포 후 발생하는 기술적 이슈에 대해 말씀하신 것 같은데 맞을까요? TC작성과 QA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프라, 기술 이슈도 있는지, 혹시 가능하다면 예시를 들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기획자가 잘 모르는 인프라와 기술적인 이슈에 관한 부분은 어떻게 대처를 하면 좋을까요?(QA를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은 알 수 있다고 하셨는데 그분들은 어떻게 아는 걸까요??)
-
미해결초보 기획자/PM을 위한 Test Case 작성 및 QA 노하우
Test Case 작성하기(1)에서 상/하위 계층구조
안녕하세요. 상/하위 계층구조에서 (1)상하위 (2)먼저/나중 발생 두 가지 케이스 예시가 있는데요, 이후 발생해야하는 결과 작성 예시에서는 상하위 개념을 예시로 발생 결과를 적어주셨어요. (1)과 (2)를 동시에 진행할 필요는 없고, 사내 룰에 따라 한 가지 방식을 취해 발생 결과를 작성하면 되는걸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