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제미니의 개발실무 - 커머스 백엔드 기본편
따닥방지
안녕하세요. 저였으면 찜추가 찜삭제 API 를 나누는걸로도 방지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말씀해주신것처럼 컨트롤러에서 분기문 들어가는게 좀 어색한것같아서요! 이런 방식도 가능할까요? 뭔가 저는 Restful 관점에서도 이게 자연스러우니 이렇게 해결하실 것 같았는데 언급이 없으셔서 문제가 있을수도있나 싶어서 여쭈어봅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루트 쿼리라는것은
강의에서 말씀하신 루트쿼리라는것은 가장 먼저 실행되는 쿼리를 말하는것일까요? 아니면 toOne코드에 대해서 실행하는 쿼리를 말하는것일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메서드를 분리하는 기준
강의 내용을 보시면 한 메서드안에서 코드를 작성하시다가 리팩토링을 해서 메서드를 따로 분리하셨는데, 메서드를 분리하는 기준이 따로 있을까요? 한 메서드 안에서, 로직이 너무 길어지면 메서드를 따로 만들어서 분리해야하는것일까요?
-
미해결제미니의 개발실무 - 커머스 백엔드 기본편
enum 에 도메인 로직이 들어가도 될까요?
안녕하세요!현업에서 도메인(core) 모듈에 enum 들도 같이 두고, 타입 판단 로직 등 도메인 비즈니스 로직을 enum 클래스 내부에도 응집시켜 놓는 편인데요~ (bo 객체 클래스가 따로 존재하지 않거나 객체 클래스 보다는 enum 클래스에서 판단하는 것이 역할이 더 맞다고 생각되는 경우 ex enum 생성 static 메서드 등) 현재 예시 프로젝트의 구조에서는 core-enum이 core-api 의 도메인 로직 등을 의존하지 않고 완전 독립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enum class에는 비즈니스 로직이 존재하면 안된다는 것을 의도하신 것 같아 질문드립니다! enum 은 로직에서 아예 제외시키는 편이신가요? 그렇다면 이유가 궁금합니다.
-
해결됨제미니의 개발실무 - 커머스 백엔드 기본편
getOwnedCoupons 의 null 처리
coupon 데이터 처리시 !! 연산자 처리하는 부분에 질문이 있습니다. 논리적으로 현재 기획상으로는 null 일리 없음. -> !! 연산자를 사용이 상황으로 코드를 이해하긴 했어요.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일종의 암묵지라서 버그가 발생할 여지가 있어보이는데요. 특히 쿠폰처럼 사람이 개입하는 경우에 어드민에서 상태를 변경하는 경우 기존의 전제가 성립하지 않을 때가 있잖아요. (쿠폰을 비활성화 한다거나)이런 경우 몇가지 선택지가 있을거 같아요. 1. 쿠폰은 임의로 비활성화하지(or 다른 상태도 불변) 않는다. 2. 쿠폰이 비활성화 되는 경우, 소유 쿠폰에서 제거 된다.이런 경우,, 기획에 따라 다르다라고 이해해야할까요? 저 같은 경우, 이미 발급된 소유 쿠폰 자체를 불변처리 하는쪽으로 얘기하는 편이 심플해보이긴 합니다만, 재민님 의견도 궁금합니다.
-
미해결견고한 결제 시스템 구축
실습코드 압축해제
안녕하세요 실습코드 압축해제가 안되는데 확인한번 해주실수 있을까요??아니면 프로젝트에 대한 github링크가 있는지 문의드립니다.
-
해결됨제미니의 개발실무 - 커머스 백엔드 기본편
찜목록 조회시 product 의 상태
찜 목록을 조회해야하는 상황에서, Product 의 상태가 전이되는 경우가 있을거 같은데요. 예를들어, 어떤 이유로 soft delete 되거나, 판매자가 숨김 처리를 하거나,, 이런 경우에는 물론,, 회사마다 정책이 다른거 같긴하더라구요. 예를들어, 들어가니 404 페이지가 뜨는 경우도 있고, 안보여주는 경우도 있구요. 이때 고민되는 부분이 찜 목록 (페이지네이션 한다는 가정) 을 조회할 때 아래의 문제들이 발생하는거 같은데, 혹시 어떻게 푸는게 좋을까요? 1. product 의 상태를 이벤트로 받아서, 찜 목록을 처리한다. -> 이 경우 찜이 많이 된 경우 (유명한 아이템이라 100만개의 찜이 있는) 처리가 애매해보이더라구요. 2. join 을 통해 풀어준다. -> 현재는 상품의 찜 목록이라, 사실 같은 팀내에 같은 서비스가 접근 가능해서 join 이 가능할거 같은데, 이게 찜이 아니라, 나의 리뷰보기 같은 경우 다른 팀에 있을 가능성이 있어서 join 을 통해 풀기 어려운 경우도 있을거 같다는 생각도 드네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findAllWithMemberDelivery 메서드 질문드립니다.
findAllWithMemberDelivery이 메서드 내부에서, join fetch oi.item i는 안해주셨는데, 안해주는 이유가 무엇일까요?조회하려는 엔티티인 Order기준으로 한 페치조인이 아니고 orderItem기준으로 한 페치조인이기 때문에 그런것일까요?아니면 order가 아니라 orderItem에 있는 item이기때문에 그런것일까요?
-
미해결제미니의 개발실무 - 커머스 백엔드 기본편
Product, Category 테이블 설계 질문드립니다 !
Category와 Product의 관계를 N:N 으로 설계하신 것은 향후 확장성이나 관계 변경을 고려하신 것일까요?개인적으로는 처음에 1:1 또는 1:N 구조로 설계해 한쪽 테이블에 외래키를 두는 경우가 많았는데,비즈니스 요구사항이 변하면서 결국 N:N 관계로 바뀌어 중간 매핑 테이블을 추가한 경험이 여러 번 있었습니다.그래서 이번 강의를 보며,“어차피 관계가 바뀔 가능성이 있다면 처음부터 매핑 테이블로 시작하는 게 더 유연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다만 그렇게 되면 Status(상태) 같은 중복 데이터가 생기기도 해서이런 트레이드오프에 대해 재민님은 어떤 기준으로 판단하셨는지도 궁금합니다.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
미해결죽음의 Spring Batch: 새벽 3시의 처절한 공포는 이제 끝이다.
강의 구매는 했는데
윈도우 유저는 불가능한 강의인가요?
-
미해결죽음의 Spring Batch: 새벽 3시의 처절한 공포는 이제 끝이다.
스프링 컨테이너 재시작 반복 현상
Jenkins를 바탕으로 Job들을 PipeLine으로 연결해서 사용중이다. Job들이 순차적으로 실행해야해서 아래처럼 파이프라인을 구성했다.pipeline { agent any stages { stage('Print Parameters') { steps { echo "=========================================" echo "🔧 Job Configuration" echo "=========================================" echo "startDate: ${params.startDate}" echo "endDate: ${params.endDate}" echo "pageNo: ${params.pageNo}" echo "numOfRows: ${params.numOfRows}" echo "=========================================" } } stage('Run abandonedAnimalDataLoadJob') { steps { script { echo "🐾 Starting abandonedAnimalDataLoadJob..." sh """ java -Duser.timezone=Asia/Seoul \\ -Dspring.profiles.active=local \\ -jar /var/jenkins_home/SeeYouAgain-Batch-0.0.1-SNAPSHOT.jar \\ --spring.batch.job.name=abandonedAnimalDataLoadJob \\ startDate=${params.startDate} \\ endDate=${params.endDate} \\ pageNo=${params.pageNo},java.lang.Long \\ numOfRows=${params.numOfRows},java.lang.Long """ echo "✅ abandonedAnimalDataLoadJob Completed!" } } } stage('Run s3ProfileUploadJob') { steps { script { echo "📤 Starting s3ProfileUploadJob..." sh """ java -Duser.timezone=Asia/Seoul \\ -Dspring.profiles.active=local \\ -jar /var/jenkins_home/SeeYouAgain-Batch-0.0.1-SNAPSHOT.jar \\ --spring.batch.job.name=s3ProfileUploadJob \\ startDate=${params.startDate} \\ endDate=${params.endDate} """ echo "✅ s3ProfileUploadJob Completed!" } } } } post { success { echo '=========================================' echo '✅ All Batch Jobs Completed Successfully!' echo '=========================================' } failure { echo '=========================================' echo '❌ Batch Job Failed. Please check the logs.' echo '=========================================' } always { echo "Pipeline execution finished at ${new Date()}" } } }로그를 찍어보니 스프링 컨테이너가 켜지고 첫번째 job이 끝난 후 컨테이너가 종료, 2번째 job을 실행하기 위해 스프링 컨테이너 켜지고 job이 끝난 후 컨테이너가 종료되는 비효율적인 현상을 발견했다. Claude한테 물어보니 job 실행시간이 짧아서 크게 문제없다고는 하지만, 개인적으로 Job이 많거나 추후에 오래 걸리는 Job이 추가될 경우엔 시간도 오래걸리고 리소스 낭비라고 생각한다. 이런 상황에선 어떻게 하는게 좋은가??
-
해결됨제미니의 개발실무 - 커머스 백엔드 기본편
security 인증은 어떤 모듈에 놔두는게 좋을까요?
예전에 유튜브영상에서는 인증서버를 GW를 두거나 Oauth 서버를 따로 두는 방식을 선호한다고 하셨는다.현재 서버 분리를 하지 않기에, GW 나 Oauth도 사용하지 않기에 security 를 현재 사용중입니다.1. web:security 모듈로 빼두었습니다. storage,domain 모듈이 web모듈을 알지못합니다. 강의 에서도 인증이 없기에 어떻게 구성하실지 궁금합니다security를 지양하시는거는 알지만 써야하는 상황이고 구성한다면 어디에 빼두시는지 궁금합니다2. security는 presentation layer 에 속한다고 판단을 했는데, 그럼 user의 role에 따라 조회시 비즈니스레이어를 건너뛰고 filter 에서 userid 만 사용해서 security context 를 생성하고 있는데,이거는 레이어간 건너뛰기가 되어서 레이어 규칙 위반인데 예외적 허용을 하는게 맞는지 잘모르겠습니다.깊이 있는 질문을 하고 싶었는데, 얇은 질문이지만 남겨봅니다!!
-
미해결죽음의 Spring Batch: 새벽 3시의 처절한 공포는 이제 끝이다.
1장 작전 3 Listener 어노테이션 사용 사례 @Component 질문
어노테이션을 사용한 Listener 를 정의할 때 @Component 어노테이션으로 빈으로 등록시켜줬는데, 실제로 Listener 클래스를 지정할때는 new ServerRackControlListener() 로 직접 생성해주고있네?빈으로 등록한것과, 직접 생성한 것이 서로 연관되지 않는것 같은데 빈으로 주입받아서 넣어주는게 좋을까 아님 Listener 클래스를 빈으로 등록하지 않고 직접 생성해서 사용하는게 좋을까?배운대로 Listener 클래스에서 JobExecution 이나 StepExecution 을 사용하는데, Job 실행이나 Step 마다 Execution 이 다를 수 있으니까 빈으로 등록하지 않아도 될 것 같은데 어떻게 생각해?
-
해결됨프로덕션 레벨 실시간 채팅 서버 구축: 분산 처리부터 성능 최적화까지 (Kotlin & Spring)
웹소켓을 이용한 채팅시스템에서 부하테스트를 어떻게 진행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취준하고있는 예비 개발자입니다. 개인프로젝트를 진행하다가 여쭤보고 싶은게 있어 강의까지 구매하게 되었습니다. 가장 궁금한 질문은 '웹소켓을 이용한 채팅시스템에서 부하테스트를 어떻게 진행해야하는가?'입니다. 추가질문 및 부연설명을 위해 조금만 더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현재 진행하고 있는 앱 개발 프로젝트 진행 중입니다.기술스택은 서버는 코틀린,스프링이고, 클라이언트는 iOS(swift)와 안드로이드(Kotlin)로 구성했습니다. http요청을 처리하는 서버(스프링 서버)는 단일 서버와 단일 데이터베이스로만 구성한 상황이고, 단일 인스턴스는 aws의 t2.micro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서버에는 nginx / next 서버(홍보용 홈페이지) / 스프링 서버 / github-runner 등의 프로세스가 실행 중에 있습니다. 클라이언트의 무한 재연결 로직의 문제로 인해 인스턴스 내부에서 'ss -s' 명령어를 이용해 소켓상태를 조회해본 결과, 소켓 tcp연결이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400개까지 증가한 상황이 있었습니다. 이 상황에서 소켓을 이용한 채팅뿐만 아니라 사용자 조회와 같은 http요청 모두 느려지는 것을 확인되었습니다. 하지만 재연결 로직을 수정하고 이후 tcp연결이 400(= 클라이언트 - nginx 200개 / nginx - 서버 200개)까지 증가하는 상황을 만들어봐야 또 문제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고 생각했지만 200명의 테스터를 모을 수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또한, 채팅의 API를 하나 파고, ngrinder를 이용해 부하테스트를 요청하는 상황이 적합할까 생각했을 떄, 웹소켓 연결이 되지 않는 상황이라고 생각되어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테스트해볼 수 있을지 고민됩니다.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은앱 개발에서 채팅시스템을 구축하는 상황이고, 대략 500~1000명을 수용해야한다면 어떤 기술을 적용해 채팅시스템을 구축하셨을 것 같나요? 실시간 통신하면 웹소켓정도 밖에 모르는 상황이었기에 웹소켓을 적용했지만서도 타당했는가? 적합했는가에 대한 의문이 여전히 남아있는 상황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질문드렸습니다. t2.micro 서버는 얼만큼의 소켓연결까지 버틸 수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현재 서비스의 사전예약자가 80명 정도 되는 상황이라 t2.micro를 이용했을 때 서버가 터질까봐 우려스럽습니다. 그래서 서버 스펙을 확장을 고려하고 있는데, 취준생이기에 비용적인 측면에서 고려하지 않을 수가 없는 상황이라 '정말 확장하는게 맞을까?', '내가 능력이 부족한 게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어 갈피를 못잡고 있는 상황이라 질문드렸습니다.제 질문들이 대부분 인프라 확장의 타당성을 갖추기 위한 질문이라고 생각합니다. 혹시 인프라 확장을 위한 근거로써 어떤 지표가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긴 질문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행복한 하루 되세요~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이강의 듣고 소화시켰다면 몇년차 정도 개발자라고 할수 있을까요?
그냥 갑자기 궁금해서 선생님의 개인적인 의견 궁금합니다.
-
해결됨제미니의 개발실무 - 커머스 백엔드 기본편
외부 API 연동 시 데이터 정합성을 고려해야 할 때..
안녕하세요.저도 개인 프로젝트로 이커머스를 만들면서, 결제와 같은 외부 API를 호출하는 부분에 대해서 많은 고민을 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가령, 결제 승인을 위해 PG API를 호출한 이후 결제 내역을 DB에 저장한다던가..혹은 결제 처리 이후 진행되어야 할 비즈니스 로직(배송 생성, 재고 차감 등..)을 진행해야한다던가..하지만 외부 API를 호출한다는 것은 사실 비즈니스 로직의 트랜잭션과 묶일 수 없다는 것이 참 어려운 것 같습니다.PG API 호출에 성공했지만, 이후 비즈니스 로직이 실패된다면 결제 강의 - 코드느끼기에서 말씀해주신 것 처럼,사용자의 돈은 빠져나갔지만, 배송 처리가 되지 않거나 그런 일이 발생할 수 있을 것 같아요.혹은 PG API 호출 시에, 타임 아웃이 발생해서 실패했다고 판단했지만, 알고보니 PG 서버 상으로는 승인이 정상적으로 처리 된 경우도 있을 것 같아요.이처럼 외부 API 연동 시에 데이터 정합성을 고려하는 것이 엄청 어려운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저는 결제처럼 사용자의 돈을 처리해야하는 경우 세부적인 방어 로직이 필요할 것 같다는 생각을 합니다.그래서 고민을 하면서, 이것저것 찾아보다가 사용하게 된 패턴이 외부 API를 요청하기 전에, state를 추가해서 관리하자 라는 것이었는데요. 예를 들어 결제로직의 경우 결제 검증을 처리하고 승인 API를 호출하기 전에 Payment의 State를 PENDING_PG_REQUEST(예시)로 변경한 뒤, PG API를 호출하는 흐름입니다. 만약 PG API 호출에 정상적으로 성공했지만, 결제 후처리 비즈니스 로직에 실패했더라도,스케줄러 같은 걸 통해 특정 시간 동안 계속해서 PENDING_PG_REQUEST인 결제 건이 있다면, 이것은 적어도 PG API를 호출하고 나서, 무언가 잘못되었다는 것이니까, 데이터 정합성을 맞춰주기 위해 한번 더 직접 API를 호출하고 나서 비즈니스 로직을 추가적으로 실행시켜주는 그런 작업을 진행해주면 될 것 같아요.이런 패턴이 어떻게 보면 강의 코드 예제에서 정산을 처리하는 SettlementService의 transfer 메서드와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Settlement Entity에 Ready인 데이터를 결국 주기적으로 처리하면서, 언젠가는 정산 처리를 진행하게 되니까요!근데 문득 제가 사용하는 방식, 그리고 transfer 메서드의 방식은 특정 조건이 충족해야한다는 점이 있는 것 같아요. 사용하는 외부 API가 멱등성을 제공해야하고, 데이터 정합성을 처리하기 위해 돌아가는 스케줄러,배치 또한 자체적으로 중복처리 방지를 방지해야 한다는 것을요...이렇게 생각하다보니 끝도 없이 딥해지고 복잡해지는 것 같아서, 문득 다시 결제 부분 강의를 보다보니,수기 처리 방식도 아주 잠깐 언급하셨더라구요. 문제가 발생했을 때 로그를 남겨놔서, 데이터를 비교 후 데이터 정합성을 맞춘다. 근데 돈과 관련된 부분은 그 즉시, 성공 실패에 대한 처리를 해줘야할 것 같기도 하고 이 부분만큼은 과하게 방어 로직을 작성하는 게 맞을까?라는 생각이 들게 되는 것 같아요. 그리고 만약 외부 API가 멱등성을 제공하지 않으면어떻게 처리해야하지?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고요.재민님께서는, 이런 외부 API 연동과 데이터 정합성을 고려해야할 때 방어 로직을 깊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해서 질문을 하게 되었습니다. 근데 사실 돈과 관련된 부분은 아무리 생각해도 많은 방어 로직을 필요로 하는 것은 당연한 것 같긴한데, 어느 정도로 처리를 해줘야할 지 모르겠네요. 하하..최소한의 방어로직, 그리고 예외, 실패 시 로깅 처리로 모든 가능성을 추적해야 하는 게 효율적일까요??감사합니다!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샤딩에 대해서 궁금점있습니다.
저의 짧은 지식으로는 샤딩은 수평분할에 기반한 방식이라 수직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혹시, 이부분에 대해서 설명을 해주실 수 있으신가요?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OAuth2
authorization-server 라이브러리 질문이 있습니다.
강의 내에서 dependencies 하고 있는spring-security-oauth2-authorization-server 랑 아래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oauth2-authorization-server 과는 다른 라이브러리인가요?프로젝트 생성하면서 oauth2 authorization 서버를 선택 후에 build.gradle를 확인했는데강의에서 나온 것과 상이하여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혹시 pk 외 별도의 id 를 부여한 이유가 있을까요 ??
안녕하세요. user, catalog, order 를 보면 엔티티에서 pk 대신 별도의 유니크키를 사용하고 있는데, 특별한 이유가 있을까요 ??이 별도의 유니크 키가 어그리거트 루트로 사용되는걸까요 ??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애그리거트의 repository
안녕하세요 토비님! 애그리거트를 사용할 때 질문 사항이 있습니다.예) A도메인 B도메인이 있다 A는 애그리거트 루트이고 B는 A의 부속 엔티티이다.A와 B는 일대다, 다대일의 양방향 의존성을 가진다.B는 A를 통해서만 조작될 수 있다.이 때 B를 생성하거나 업데이트 할 때 B의 repository는 어디에 존재해야 하는가?@Entity public class A { @OneToMany(mappedBy = "media", cascade = CascadeType.ALL, orphanRemoval = true) private List<B> bs = new ArrayList<>(); public void updateNumber(long n){ this.bs.stream().forEach(b -> b.update(n); } } @Entity public class B {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private A a; private long number; public void update(long n){ this.number = n; } } 이렇게 되어 있다고 할 때 변경 가능성을 생각할 때(물론 엔티티에서 이미 jpa에 기술을 사용하고 있긴하지만) B의 repository를 따로 가지는게 맞나요? 만약 따로 가진다면 B의 repository가 A repository에서 의존하여 처리 되어야 하나요?jpa에 완전 종속적으로 사용하면 B가 따로 repository를 가질 필요 없는데 순수함을 유지하지 하려 하니 이 부분에서 고민이 되네요. 아니면 이런 고민 자체가 잘못된걸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