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소스 코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강의 듣는데,소스코드가 필요해서,소스코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sunshinew@naver.com
-
미해결코로나맵 개발자와 함께하는 지도서비스 만들기 2
안녕하세요 선생님 도와주세요
네이버지도 Api키가 원래 잘되던데 어느순간부터 안되네 오류생기네요 네이버지도 Api키 왜 안될까 원래 됐는데 NAVER Maps JavaScript API v3 신규 Maps API 전환 안내안녕하세요.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입니다. AI NAVER API 상품에서 제공되던 지도 API 서비스는 점진적으로 종료될 예정에 있습니다. 아래 공지사항 및 가이드 참고해서 신규 클라이언트 아이디 발급받아 사용 부탁드립니다.■ 공지사항 : https://www.ncloud.com/support/notice/all/1930■ 변경 적용 가이드 : https://navermaps.github.io/maps.js.ncp/docs/tutorial-2-Getting-Started.html 이런오류가 생겨요 도와주세요
-
미해결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React.memo 를 TodoItem 에 적용하는 부분에서 질문 있습니다.
const TodoItem = ({ id, isDone, content, date, onUpdate, onDelete }) => { const onChangeCheckbox = () => { onUpdate(id); }; const onClickDeleteButton = () => { onDelete(id); }; return ( <div className="TodoItem"> <input onChange={onChangeCheckbox} type="checkbox" checked={isDone} /> <div className="content">{content}</div> <div className="date">{new Date(date).toLocaleDateString()}</div> <button onClick={onClickDeleteButton}>삭제</button> </div> ); }; export default memo(TodoItem, (prevProps, nextProps) => { // 반환값에 따라, Props가 바뀌었는지 안바뀌었는지 판단 // T -> Props 바뀌지 않음 -> 리렌더링 X // F -> Props 바뀜 -> 리렌더링 O if (prevProps.id !== nextProps.id) return false; if (prevProps.isDone !== nextProps.isDone) return false; if (prevProps.content !== nextProps.content) return false; if (prevProps.date !== nextProps.date) return false; return true; });TodoItem 의 props 에 함수(객체 타입의 값)을 받고 있어서export default memo(TodoItem);이렇게만 적용할 경우 리렌더링 시, 함수를 새로운 객체로 인식해서 TodoItem 컴포넌트 입장에서는 props가 바뀌었다고 인식한다는 거 까지는 이해가 됐습니다.근데 memo 의 두 번째 인수에서if (prevProps.id !== nextProps.id) return false; if (prevProps.isDone !== nextProps.isDone) return false; if (prevProps.content !== nextProps.content) return false; if (prevProps.date !== nextProps.date) return false;이렇게만 비교하면 결국 onUpdate, onDelete 는 비교를 하지 않은거같은데 왜 동작이 잘 되는지 모르겠습니다.true 값을 반환해주면 함수는 변하지 않았다고 정해주는 걸까요?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생성한 newTodo 객체를 setTodos 를 이용해 추가하는 부분에서 질문 있습니다
const onCreate = (content) => { const newTodo = { id: idRef.current++, isDone: false, content: content, date: new Date().getTime(), }; setTodos([newTodo, ...todos]); };지금처럼 이렇게 newTodo 를 todos 배열의 맨 앞에 붙이면 원래 기존의 todos 요소 전체의 인덱스가 변화해야해서 동작시간이 오래 걸린다고 앞의 수업에서 들었던 것 같아서 왜 이렇게 하는지 의문이 들었습니다.이렇게 해야 나중에 등록한 newTodo 객체가 맨 위로 올라오게 되어서 그런건가요?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Components 와 Profiler 탭이 나오지 않습니다.
크롬에서 추가하고 설정 다 따라서 했는데 components 탭이 나오지 않습니다...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forEach에서 continue, break 동작안하는 문제
forEach에서 continue, break 동작안하는 문제 가 발생하였는데continue랑 break를 쓸거면 일반적인 for문을 이용할 수밖에 없는 건지 궁금합니다. ^^
-
미해결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react도 포멧팅 스타일이 따로 있나요?
구글 스타일 처럼 대표적인 포맷팅 스타일이 있나요?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12.13 new 페이지 구현하기 1.UI 부분에서 마지막 설명부분이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마지막에서 작성완료와 취소하기 버튼 부분에 배경색 하얀색 부분 즉 #root background-color:white부분이 적용되지 않았습니다.이때 해결방법을 body에 display:flex를 넣음으로써 해결이 된다하셨는데, 이게 root부분에 어떤 영향을 끼치길래 height가 늘어났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대용랑 채팅 TPS에 대한 stateful 서비스 구축하기
response 함수에 대해
이전 강의를 듣지않고 수강하고 있습니다.이전 강의에 대한 정보가 없어서 간혹 영상에 보이는대로 따라서 메우고 있는데, response 함수에 대한 정보는 아직 화면에 나온 적이 없는거 같아서요. 어차피 JSON으로 응답이 오는거 같아서 c.JSON 을 통해 처리했습니다.아직 완강하기 전이라 후반부에 나오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뼈대가 되는 코드에 대한 정보가 조금 더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useState vs useReducer 실무에서 주로 사용하는 것은??
강의를 통해 useReducer를 사용하면 복잡한 useState의 set 함수 들로 case로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그렇다면 실무에서는 어떤 것을 더 많이 사용하나요?아니면 두 hooks의 대표 사용하는 케이스 ?? 경우 들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필독) 질문하시기 전에 꼭 읽어주세요 (10초 소요)제목을 구체적으로 작성해 주세요✅ 좋은 예 : 감정일기장 Home 구현중 xx 이슈가 발생합니다.⛔️ 나쁜 예 : 이거 왜 안되나요?, 오류나요 도와주세요 등비슷한 궁금함을 갖고 계신 분들께 도움이 될 수 있어요! 코드의 이슈는 전체 프로젝트를 "링크 형태"로 올려주셔야 원인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깃허브, 구글드라이브 등의 수단을 통해 링크 형태로 전달해주세요직접 실행해보며 원인을 파악해야 하기 때문에 텍스트 형태로 붙여넣는건 삼가해주세요 🥲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답글 or 해결완료 버튼을 클릭해주세요비슷한 궁금함을 갖고 계신 분들께 도움이 될 수 있어요!제 답변이 여러분께 도움이 되었는지 저도 알고 싶어요 🥲 강의 내용에 궁금한 점이 있다면 몇 챕터의 몇 분 몇 초인지 알려주시면 더 좋아요더 빠른 답변이 가능합니다!
-
미해결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리액트 기본기 이해도 기준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강의를 통해 React의 여러 개념을 배웠습니다. 어느 정도 수준에 도달해야 리액트의 기본기를 제대로 이해했다고 스스로 판단 할 수 있을 지 궁금합니다.예를 들어, 이 강의에서 다룬 TodoList 프로젝트를 혼자서 처음부터 끝까지 구현할 수 있는 정도라면, React의 핵심원리를 충분히 체화했다고 볼 수 있을까요 ?
-
미해결탄탄한 백엔드 NestJS, 기초부터 심화까지
DTO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DTO에 대한 궁금증이 있어 질문 남깁니다. DTO에서 Class-Validator를 통해 유효성 검사를 하는데, 섹션5까지 학습했을 때는 Schema에서 검사를 진행했습니다.DTO에서 PickType Request로 전달되는 데이터만 명시만 하고 Schema에서 유효성검사를 하는 이유가 있는지, 아래 내용처럼 DTO에서 유효성 검사를 분리해서 하는게 이상적인 형태인지 궁금합니다.// src/cats/dto/cats.request.dto.ts import { PickType } from '@nestjs/swagger'; import { IsEmail, IsNotEmpty, IsString } from 'class-validator'; import { Cat } from '../cats.schema'; export class CatRequestDto extends PickType(Cat, [ 'email', 'name', 'password', ] as const) { @IsEmail() @IsNotEmpty() email: string; @IsString() @IsNotEmpty() name: string; @IsString() @IsNotEmpty() password: string; }
-
미해결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모듈 시스템 질문
4.2) 첫 React App 생성하기 강의 질문 입니다.10:15에서 module.exports = { … } 로 시작하는데 이건 cjs 시스템 문법으로 알고 있는데, 5:14에서 나오는 package.json의 type은 module로 되어있는데 두개의 시스템을 동시에 사용하는게 가능한건가요?
-
미해결얄팍한 GraphQL과 Apollo
Relay나 다른 GraphQL Client가 아닌 Apollo를 사용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Relay는 React 개발팀이 만든걸로 알고 있는데요! 그래서 더 매력적이라고 느껴지는데 어떤 특징과 장단점으로 Apollo로 강의를 진행하게 되셨는지 궁금합니다. 다른 클라이언트들 대비해서 어떤지도 궁금하네요!
-
미해결[개정3판] Node.js 교과서 - 기본부터 프로젝트 실습까지
4강 http 서버 만들때 ESM방식으로 해도 될까요?
{ "name": "package-manager", "version": "1.0.0", "main": "app.js", "license": "MIT", "type": "module", "dependencies": { "express": "^5.1.0" } }package.json 에 type: "module" 넣고 import express from "express"; const app = express(); const PORT = 3000;요런식으로 해도 괜찮겠죠?!
-
미해결[개정3판] Node.js 교과서 - 기본부터 프로젝트 실습까지
모듈 사용 시 단점이 있나요?
모듈 사용 시 장점은 알게 되었는데 혹시 모듈로 많이 쓸 경우 단점 같은 경우도 있을까요? 용량이든지 등등 궁금합니다.
-
해결됨프론트엔드 빌드 시스템 완벽 가이드 - Part.1: 모듈 시스템
번들러 이해 및 학습 방향에 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최근 개인 프로젝트로 래핑 라이브러리를 만들고 있고 번들러로 Rolldown을 사용하고 있습니다.강의에서 언급된 Rollup과 구조가 유사하고 기본 개념은 거의 동일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Rolldown을 사용하고 있는 상황에서 Webpack이나 Rollup의 구조를 먼저 이해하는 것이 학습에 도움이 될까요? 학습 우선순위나 접근 방식을 어떻게 잡는게 좋을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리액트 개발자 도구 현업 사용 빈도
안녕하세요, 현재 Vue 2.0을 사용하고 있으며, React로 이직을 하고자 해당 강사님의 강의를 수강하고있습니다.혹시 현업에서도 해당 도구를 많이 사용하는지 빈도가 궁금합니다. Vue를 사용하면서는 그러지아니하다보니 이것을 알고있는게 좋은지 파악이 안된다보니 쌩뚱한 질문을 드려 죄송합니다.
-
미해결탄탄한 백엔드 NestJS, 기초부터 심화까지
백엔드 MVC에서 View의 역할은 무엇인가요?
프론트엔드와 백엔드는 따로 나눠서 개발하는 경우가 많다고 알고 있습니다.이럴 때, NestJS는 직접 화면을 만들어서 보여주지 않고 프론트엔드에 데이터를 주기만 하면 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는데 그렇다면 백엔드 안에서 MVC 패턴을 적용할 때 화면의 역할을 하는 View 부분이 모호해지는 것 같습니다.해당 경우에 MVC를 백엔드에서 어떻게 주로 활용하게 되나요?
-
미해결프론트엔드 개발환경의 이해와 실습 (webpack, babel, eslint..)
2025년 기준 번들러 트렌드와 선택 기준이 궁금합니다 (Webpack, Vite, tsup 등)
요즘에는 Webpack 외에도 Rollup, Rolldown, tsup, tsdown, Vite, esbuild 등 다양한 번들러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실무에서는 어떤 기준으로 각 번들러를 선택하게 되는지, 그리고 실제로 어떤 도구들이 많이 사용되는지 궁금합니다.예를 들어,UI 컴포넌트 라이브러리를 만들 때는 어떤 번들러를 주로 사용하는지,Lodash 같은 유틸리티 라이브러리에서는 어떤 번들러가 효율적인지이런 식의 상황별 선택 기준이나 실무 사용 경향을 알고 싶습니다.제가 찾아보기로는 Vite는 개발 서버에 강하고, Rollup은 라이브러리 번들에, esbuild나 tsup은 속도에 특화되어 있다고 하더라고요.실무에서는 이런 특성을 어떤 기준으로 판단해 선택하는지 조금 자세하게 알고싶습니다!그리고 조금 시간이 지난 강의여도 정말 얻을게 많은 강좌라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제가 최신버전으로 고쳐보며 정말 많은 것을 배우고 있습니다. 질문 남기면서 좋은 강의 항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하다는 말씀도 함께 전달드립니다!강사님의 팁이 녹아져있는 실전 프로젝트 같은 것도 나중에 기회가 된다면 들어보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