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1.1K
2
답변 1
1
와....... 감동입니다!!!
정리를 아주 잘해주셨습니다.
한 줄을 우선 수정하겠습니다.
- always @ 안에 기술되는 Type은 전부 reg여야 한다. (port는 예외)
always @ () 문안에 Assign 시, 왼쪽 피연산자 = 오른쪽 피연산자 관계에서, (ex, A <= B; )
왼쪽 은 Reg, 오른쪽은 Reg / Wire 무관합니다. 이는 Combinational logic 의 (*) 이나, Sequential Logic 의 (posedge clk) 모두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port 는 별도로 reg 를 기술하지 않으면 default 로 wire 입니다.
다음과 같이 결론 내겠습니다. (문장이 매끄럽지 않은점은 이해를..)
- always @ 안에 기술되는 대입시 사용하는 왼쪽 피연산자의 Type 은 reg여야 한다.
다음 문장도 위 문장의 연장선상 입니다. 고쳐보셔요 :)
- always @(*)은 Combinational Logic이고 reg Type을 선언하게 된다.
나머지는 옳다 라고 생각합니다.
즐공하세요 :)
답변 너무 감사드립니다! 이해에 큰 도움이 되었어요 :D
제 나름대로 두 문장을 아래와 같이 고쳐보았습니다.
- always@() 블럭 안에서 대입할 때, 왼쪽 피연산자의 Type은 reg여야 한다.
- always@(*)은 Combinational Logic이다. 마찬가지로 블럭 안에서 대입 시 왼쪽 피연산자의 Type은 reg여야 한다. 또한 always@(*)의 의미에 따라 Level Sensitive로 동작하게 되므로 블럭 내에서 선언한 reg가 메모리의 형태로 합성되지는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