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상품목록/코드느끼기 - 룰셋에 의한 암묵적 구현과 운영진과의 소통
해결된 질문
작성
·
41
1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섹션2. 상품 목록 - 코드 느끼기' 수업에서
룰셋에 의한 암묵적인 구현으로 '카테고리-상품 맵핑이 존재하는 상품은 ACTIVE 상태'임을 보장할 때, 다음 두 가지 방식을 말씀하셨습니다.
연관된 맵핑이 존재한다면 상품을 삭제할 수 없다.
상품을 삭제할 때 연관된 맵핑이 함께 삭제된다.
어떤 방법을 선택할지는 운영진들과 소통해야한다고 하셨는데 (16:30~)
처음에는 운영진과 왜 소통이 필요한건지 잘 이해가 안되어서 고민해보니
맵핑이 단순히 다대다 연관관계 표현을 넘어 도메인 개념으로 동작하여 운영진에게 노출되는 경우를 말씀하신건가 싶습니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설명 부탁드립니다.
예시
맵핑에 추가적인 정보가 붙는다고 가정해보면 연관관계 표현뿐 아니라 하나의 엔티티, 도메인 개념으로 기능하고 운영진들에게도 노출된다.
ex) 프로모션 이벤트에 포함된 상품마다 할인율이 다르다면
promotion-product맵핑에 할인율이 포함되고, 운영진들도 프로모션-상품 조합마다 할인율을 조정해야함. ->promotion-product맵핑 자체가 업무 개념이 되어 운영진에게 노출되고 사용되어짐.
룰셋에 의한 암묵적 구현은 다음 방식들 중 선택할 수 있다.
모든 프로모션에서 A 상품을 제외해야 A 상품을 삭제할 수 있다. (하나라도 맵핑이 있다면 상품 삭제 불가)
A 상품을 삭제하면 모든 프로모션에서 제외된다. (상품 삭제 시 연관된 모든 맵핑 제거)
따라서 어떤 룰셋을 정의할지 운영진들과의 소통이 필요하다.
답변 2
1
안녕하세요 질문 감사드립니다! 제대로 이해하신 것 같습니다 😃
결국 우리가 서비스 영역에서 만드는 것들에 대해 내부적으로 상품, 프로모션, 쿠폰 등 개발자가 설정하는 것이아니라 MD, 마케터, 영업 등등 의 직군이 어드민에서 설정을 하게 됩니다.
그런 배경에서 현실적으로 다양한 이슈들이 생기고 데이터 변경, 더 나아가서는 직접 DB 수정 다양한 문제들이 생깁니다.
가령 적어주신 할인율도 이미 기존 할인율의 프로모션에 대해 상품이 판매 됬다면 고객 입장에선 형평성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그래서 상품이 한개라도 팔리면 할인율 수정 금지 이런 기준이 필요할 수도 있죠!
아무튼 이런 다양한 상황에서 내부의 기준이 없다면 데이터가 꼬이고 장애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설명드린 기준점을 정해서 협의하고, 그에대해서 개발팀은 기준에 맞추어 구현을 하는게 맞다보니 운영팀과 협의가 필요합니다
+ 회사 스타일 마다 다르지만 이런 협의는 사실 PO/기획자 분들이 해와주시기도 합니다 😃
모쪼록 완강까지 화이팅입니다! 완강 후 수강평도 기대하겠습니다!
추가 질문이 생기시면 편하게 질문주세요!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백엔드해야지님!
강의를 듣다가 ‘룰셋에 의한 암묵적 구현과 운영진과의 소통’이라는 주제로 깊은 고민을 해보셨군요. 이 이슈는 시스템 설계 및 운영에서 중요한 부분이므로, 저도 기존의 유사한 질문들을 찾아보며 답변을 준비해 보았습니다.
운영진과의 소통이 필요한 이유
도메인 이해도:
- 프로그램의 도메인 로직은 비즈니스의 핵심을 관통합니다. 따라서 도메인 개념이 운영진이 이해하고 관리하는 방식과 일치해야 합니다. 연관 관계(예: 카테고리-상품 매핑)는 비즈니스와 긴밀히 연결될 수 있기에 운영진의 이해와 동의가 필요합니다.
- 프로그램의 도메인 로직은 비즈니스의 핵심을 관통합니다. 따라서 도메인 개념이 운영진이 이해하고 관리하는 방식과 일치해야 합니다. 연관 관계(예: 카테고리-상품 매핑)는 비즈니스와 긴밀히 연결될 수 있기에 운영진의 이해와 동의가 필요합니다.
업무 흐름 영향:
- 맵핑이 단순한 연관 관계 이상의 비즈니스 로직(예: 상태 결정, 운영진이 관리해야 할 매핑 정보)을 포함할 경우, 이러한 로직 변경은 업무 플로우에 직접 영향을 미칩니다. 이는 운영진이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에 중대한 변화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맵핑이 단순한 연관 관계 이상의 비즈니스 로직(예: 상태 결정, 운영진이 관리해야 할 매핑 정보)을 포함할 경우, 이러한 로직 변경은 업무 플로우에 직접 영향을 미칩니다. 이는 운영진이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에 중대한 변화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운영 효율성:
- 잘못된 규칙이 도입될 경우, 운영진은 불필요한 작업을 하거나 시스템에 대한 잘못된 이해를 갖게 될 수 있습니다. 이는 시스템 운용의 효율성을 저하시키고 혼선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잘못된 규칙이 도입될 경우, 운영진은 불필요한 작업을 하거나 시스템에 대한 잘못된 이해를 갖게 될 수 있습니다. 이는 시스템 운용의 효율성을 저하시키고 혼선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유사한 질문과 답변
“섹션2에서 Product와 Category 간 개념 정리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 이 질문에서는 카테고리와 상품의 개념 및 중요도를 재정의하는 과정에서의 이해를 돕는 답변이 제공되었습니다. 이로써 관련 이해관계자와의 소통 이유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이 질문에서는 카테고리와 상품의 개념 및 중요도를 재정의하는 과정에서의 이해를 돕는 답변이 제공되었습니다. 이로써 관련 이해관계자와의 소통 이유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초기 서버 스펙·인프라 가정 및 ProductCategory 설계 기준 관련 질문”
- 이 질문에서는 어떻게 개념과 구현을 균형 있게 설정할 수 있는지가 설명됩니다. 이는 비즈니스와 시스템의 통합적인 관점에서의 설계를 강조합니다.
- 이 질문에서는 어떻게 개념과 구현을 균형 있게 설정할 수 있는지가 설명됩니다. 이는 비즈니스와 시스템의 통합적인 관점에서의 설계를 강조합니다.
위의 답변들에서는 개념 간의 이해관계 및 도메인 설계의 중요성이 강조되었습니다. 운영진과의 소통은 주로 이러한 이유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주제라 할 수 있습니다.
당신의 질문이 잘 해결되었기를 바라며, 이해도가 좀 더 높아지셨기를 바랍니다.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도 답변을 주실 것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지식공유자께서도 곧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형평성과 그에 관한 규칙도 바로 와닿는 예시네요.
답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