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프로젝트 조언 요청드립니다.
작성
·
36
0
안녕하십니까! 강병진 강사님! 강의를 수강하고 인터뷰도 보면서 많은 에너지와 영향을 받았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강병진님의 langchain강의 커리큘럼에서 n8n을 제외하고 모두 수강하였습니다.
덕분에 RAG를 어떻게 구성하고 어떤식으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지도 배웠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저는 현재 대학교 3학년으로써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싶은데 강병진님 같은 훌륭하신 선배 개발자님께서 좋게 보실 만한 프로젝트가 어떤 프로젝트인지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단순 챗봇을 구현해보기에는 기업에서 이러한 것이 많이 중요할까? 라는 걱정도 있습니다.
기업에서는 어떤식으로 RAG를 사용하고 원하는 경험이 무엇일까 궁금합니다.
저는 실무에서 RAG를 어떤식으로 사용하는지도 잘 모르고 선배님들께서 이러한 기술로 어떤 업무들을 하시는지도 잘 모릅니다. 그래서 어떤 방향성으로 준비해야 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만약 강병진님께서 같이 일할 주니어를 뽑으신다면 어떤 프로젝트 경험이 있는 주니어를 뽑으실 지 가능하신다면 조언 한번만 부탁드리고 싶습니다!
현재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은 알려주신 langchain관련 기술과 fastapi로 백엔드 구현이 가능합니다.
도메인마다 원하는 방향성이 다르겠지만 프로젝트 기획하는 단계로써 좋은 출발을 하고 싶어서 질문드립니다!
계신 시간대로 저녁일거라 예상되는데 좋은 저녁 보내시길 바랍니다ㅎㅎ
감사합니다!
답변 1
1
안녕하세요! 커리어 관한 조언은 다양한 분들의 의견을 들어보시고 종합적으로 판단하시는 걸 추천 드립니다.
저는 주니어/신입 개발자가 어떤 프로젝트를 했느냐 보다는,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어떤 고민을 했느냐를 더 우선적으로 고려합니다. 프로젝트를 한다 를 서비스를 만든다 라는 개념과 유사하다고 보는데요, 그렇다면 토스나 당근, 인프런과 같이 누구나 아는 서비스를 만든게 아니라면 "어떤"서비스를 만들었느냐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해당 서비스를 만들고 운영하면서 엔지니어로서 어떤 고민을 했는지가 훨씬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프로젝트를 선정하실 때는 "이런게 주목을 받겠지"도 좋지만, 관심있는 프로젝트를 선정해서 진행해보시고, 그 프로젝트를 최대한 잘 하려고 노력해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어떤 항목들을 고려하는게 이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운영하는데 도움이 될지, 어떤 Edge case들을 고려하는게 좋을지 등등을 고민해보시는게 더 좋을 것 같아요.
좋은 결정 내리셔서 좋은 방향으로 나아가시면 좋겠습니다!






답변하기 난처한 질문에도 항상 답변해주시고 좋은 강의를 만들어주심에 정말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