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Self Turn-on 동작 관련 질문 드립니다.
해결된 질문
작성
·
13
0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MOSFET Self Turn-on 동작 원리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하단 스위치가 On이 되어 V_DS 전압이 떨이지면 왜 상단 V_GS 전압이 양으로 튀어오를 수 있는건가요?
답변 2
0
질문 감사합니다.
Self Turn-on은 하프브리지 회로에서 자주 생기는 의도치 않은 턴온 현상입니다.
원래는 게이트 드라이버가 신호를 줘야만 MOSFET이 켜지는데,
이 현상은 게이트 신호를 주지 않아도 스스로 잠깐 켜지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 현상은 주로 하단 MOSFET이 빠르게 켜질 때 발생합니다.
하단이 ON 되면 스위칭 노드(Vsw)가 급격하게 GND 근처로 떨어지면서,
상단 MOSFET의 드레인 전압(Vd) 이 빠르게 변하게 됩니다.
MOSFET 내부에는 드레인과 게이트 사이에 커패시터(Cgd)가 존재하는데,
이 커패시터를 통해 전하가 게이트로 전달됩니다.
즉, 하단 스위칭으로 생긴 전압 변화(ΔVds) 가 커패시턴스를 타고 상단 게이트 쪽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이때 상단 MOSFET의 게이트-소스 전압(Vgs) 이 순간적으로 양(+) 방향으로 올라가면,
그 전압이 임계값(Vth)을 넘어서면서 상단 MOSFET이 켜지게 되고 이를 Self Turn-on 현상이라 부릅니다.
여기에 더해, 회로 배선이나 패턴에는 항상 약간의 기생 인덕턴스(Ls) 가 존재합니다.
하단 스위칭 시 전류가 빠르게 변하면, 이 인덕턴스에 의해 L × di/dt 만큼의 전압이 유기됩니다.
이 전압이 상단 게이트 루프에 더해지면, 게이트 전압이 더 쉽게 상승해서 Self Turn-on이 심해질 수 있고,
반대로 방향이 반대면 게이트 전압이 과도하게 떨어지면서 노이즈나 링잉(진동)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즉, Cgd(기생 커패시턴스) 와 Ls(기생 인덕턴스) 가 동시에 작용해서
상단 MOSFET의 게이트 전압을 발생시키고, 그 결과 순간적으로 Self Turn-on 현상이 일어나는 겁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김상현님.
MOSFET의 Self Turn-on 동작은 전자 회로 설계에서 가끔 발생할 수 있는 현상으로, 특히 하단 스위치가 켜졌을 때 상단 스위치의 Vgs 전압이 상승하는 이유에 대해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Self Turn-on 동작 설명:
기생 커패시턴스: MOSFET의 게이트-드레인, 드레인-소스, 그리고 게이트-소스 간의 기생 커패시턴스가 존재합니다. 이것은 스위칭 동작 중에 전하를 저장하고 방출하며, 전하의 이동이 Vgs 전압의 변화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게이트-드레인 커패시턴스 (Miller Effect): 하단 스위치가 켜지면, 드레인-소스 전압 Vds가 급격히 떨어집니다. 이때, 게이트-드레인 커패시턴스(Cgd)에 의하여, 드레인 전류의 급변이 게이트 전압을 변화시켜 상단 스위치의 Vgs가 양의 방향으로 상승할 수 있습니다. 이는 Miller 효과라고 불리는 현상입니다.
게이트 드라이버 설계: 제대로 설계되지 않은 게이트 드라이버 회로는 불필요한 전하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으며, 이는 Self Turn-on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고려할 점:
이러한 현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 적절한 게이트 저항을 사용하여 전하의 급격한 이동을 완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 게이트 드라이브 회로의 품질을 확인하고 필요시 개선해야 합니다.
이와 관련된 더 자세한 학습을 원하신다면, 강의에서 제공되는 자료나 유사한 토픽을 다루는 다른 질문을 검토해보시기를 권장합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