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프로덕트와 카테고리에 대한 질문
해결된 질문
작성
·
51
1
안녕하세요!
강의 중 잘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카테고리에 상품이 있는 방향으로 설명을 진행하다가 실제 구현에선 프로덕트의 카테고리이다 라고 정의를 하셨다고 말씀해주셨는데
설명과 실제 구현이 다른 이유가 있을까요?
답변 2
0
앗!? 제가 혼동을 드리게 설명한 부분이 있으려나요? 음...... 저도 재검토를 해보겠습니다
질문만 보고 이해해보면 아마 요구사항 부분에서는 카테고리를 누르면 상품이 나오는 형태기 때문에 카테고리안에 상품이 있는 형태라고 설명했을 것 같습니다! 
(저도 다시 확인은 해보겠습니다만 어느 강의에서 혼동이 있으셨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런데 실제 구현에서는 요구사항을 반드시 구현에 그대로 투영할 필요가 없고 우리가 개발자로써 정의할 수 있는 부분이라는 것을 설명 드리고 싶었습니다
고로 ProductCategory 에 대한 정의도 상품과 카테고리 중 "무엇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무엇을 더 급이 높은 개념으로 정의할 것인가?" 를 우리는 요구사항과 별개로 고민하고 정의할 수 있어야합니다!
그런 관점에서 구현에서는 Product 가 더 중요한 개념이라고 정의하였고 그래서 프로덕트의 카테고리를 ProductCategory 란 개념으로 지정한다고 표현하였습니다!
모쪼록 답이 되었길 바랍니다! 추가 질문은 편하게 부탁드립니다!
완강까지 힘내주세요!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해당 부분이면 위의 제가 답글에 담은 내용과 유사한 내용으로 답이 될 것 같습니다!
7:58 초에 말씀드리듯 구현할때 구현의 방향을 Product 를 강조하기 위해 잡은 것이라고 이해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Cola님!
프로덕트(상품)와 카테고리의 관계에 대한 질문을 주셨네요. 이 부분은 프로그래밍 설계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인데요, 제가 유사한 질문에 대한 답변을 찾아보았습니다.
- “섹션2에서 Product와 Category 간 개념 정리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 해당 링크의 질문에서 자세히 설명된 부분처럼, 개념도와 실제 구현 간의 차이는 설계의 복잡성을 줄이고, 중요도를 기준으로 개념을 구성하기 위한 과정일 수 있습니다. 상품과 카테고리 간의 관계에서는 개념 상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구현에 차이를 두는 이유가 설명되어 있습니다.
 
 
- 해당 링크의 질문에서 자세히 설명된 부분처럼, 개념도와 실제 구현 간의 차이는 설계의 복잡성을 줄이고, 중요도를 기준으로 개념을 구성하기 위한 과정일 수 있습니다. 상품과 카테고리 간의 관계에서는 개념 상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구현에 차이를 두는 이유가 설명되어 있습니다.
- “초기 서버 스펙·인프라 가정 및 ProductCategory 설계 기준 관련 질문” - 여기에서도 프로덕트와 카테고리의 개념적 차이를 설명하는 과정 및 이유가 다루어지고 있습니다. 왜 특정 방식으로 구현하였는지에 대한 설계적 사고가 드러납니다.
 
 
- 여기에서도 프로덕트와 카테고리의 개념적 차이를 설명하는 과정 및 이유가 다루어지고 있습니다. 왜 특정 방식으로 구현하였는지에 대한 설계적 사고가 드러납니다.
- “개념도의 Product라는 개념을 나타낸 것이 코드의 Product 클래스라고 둘을 구분해서 이해하면 괜찮을지요?” - 이 질문에서는 개념도가 코드 구현과 다를 수 있는 이유에 대해 설명하고 있어요. 개념은 추상화된 측면이 있고, 구현은 좀 더 구체화된 여러 정보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 이 질문에서는 개념도가 코드 구현과 다를 수 있는 이유에 대해 설명하고 있어요. 개념은 추상화된 측면이 있고, 구현은 좀 더 구체화된 여러 정보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프로덕트와 카테고리간의 관계에서 개념도와 실제 구현의 차이는 전체 시스템의 유효성과 개발 편의성을 유지하면서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개념화 단계에서는 추상적인 개념을 통해 큰 그림을 그리고, 코딩에서는 최적의 성능과 구조를 가져가는 것이 목표일 때가 많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섹션2 코드느끼기의 7분 45초 부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