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dhkdxo12님의 프로필 이미지
dhkdxo12

작성한 질문수

(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다차원 배열과 문자열 배열

이중배열 관련

해결된 질문

작성

·

14

0

다차원 배열과 문자열 배열 강의 챕터 19:47

char *arr[2][2]={{"Hello", "World"}, {app", "dev"}} 에서

 

char *arr[2][2]와 char arr[2][2] 차이가 있나요??

답변 2

0

주말코딩님의 프로필 이미지
주말코딩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arr[2][2]의 경우에는 문자를 가리키는 포인터가 들어가는 형태이고, arr[2][2]는 문자값 그 자체가 들어가는 경우입니다.

 

첫번째는 예시로 강의에서 알려드렸습니다. (여러 문자가 합쳐진 문자열을 가리킬 수 있는 형태)

두번째 타입의 예제를 말씀드리자면

char arr[2][2]의 경우에는

{{'A', 'B'}, {'C', 'D'}} 나 {"AB", "CD"}가 가능합니다.

dhkdxo12님의 프로필 이미지
dhkdxo12
질문자

char arr[2][2]의 경우에는

{{'A', 'B'}, {'C', 'D'}} 나 {"AB", "CD"}가 가능합니다.

위 내용에 대해서 {{'A', 'B'}, {'C', 'D'}} 나 {"AB", "CD"} 이 두 건에 대해서 동일한 의미인가요?

주말코딩님의 프로필 이미지
주말코딩
지식공유자

비슷하지만, 약간 다릅니다. 왜냐하면 C언어에서 "" <-- 이렇게 만든 문자열에 대해서는 기대되는 널 값이 있는데 저 상태에서는 널 값이 안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메모리에 저장되는 4개의 문자는 같지만, 의미와 동작 방식에는 중요한 차이가 있습니다.

 

차이점:

1. {{'A', 'B'}, {'C', 'D'}}

- 단순히 4개의 문자를 배열에 저장

- 각 요소: 'A', 'B', 'C', 'D'

2. {"AB", "CD"}

- 문자열 리터럴을 사용하여 초기화

- "AB"는 실제로 {'A', 'B', '\0'}이지만, 배열 크기가 2이므로 null terminator\0)가 잘림

- 각 요소: 'A', 'B', 'C', 'D' (null terminator 없음)

 

예제:

#include <stdio.h>
#include <string.h>

int main() {

    char arr1[2][2] = {{'A', 'B'}, {'C', 'D'}};
    char arr2[2][2] = {"AB", "CD"};

    printf("arr1[0]: %c %c\n", arr1[0][0], arr1[0][1]);
    printf("arr2[0]: %c %c\n", arr2[0][0], arr2[0][1]);

   
    // 문자열로 출력하면 문제 발생!
    printf("arr1[0] as string: %s\n", arr1[0]);  // 위험! null terminator 없음

    printf("arr2[0] as string: %s\n", arr2[0]);  // 위험! null terminator 없음

    return 0;

}

 

- 메모리 내용은 같지만, arr2는 문자열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null terminator가 없음)

- 문자열로 사용하려면 char arr[2][3] = {"AB", "CD"};처럼 크기를 3으로 해야 합니다.

 

거의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dhkdxo12님.

다차원 배열에서 char *arr[2][2]char arr[2][2][n] 이 몇 가지 측면에서 다른지를 설명드리겠습니다:

  1. char *arr[2][2]:

    • 이 선언은 이중 포인터 배열로, 각 요소가 문자열을 가리키는 포인터입니다.
    • 예를 들어, arr[0][0] 는 “Hello”의 시작 주소를 가리킵니다.
    • 여기서 각 문자열의 길이는 고정되지 않고 각기 다르게 담을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2. char arr[2][2][n]:

    • 이 선언은 문자열의 실제 공간을 할당하는 3차원 배열입니다.
    • n은 문자열의 최대 길이를 결정하는데, 이를 통해 고정된 길이의 각각의 문자열을 담을 수 있습니다.
    • 이러한 구조는 문자열들이 메모리 상에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각 arr[i][j]가 포인터가 아닌 실제 문자 배열로 작동합니다.

차이점 요약:

  • char *arr[2][2]는 각각의 요소가 문자열 시작 주소를 가리키는 반면, char arr[2][2][n]은 문자열이 실제 배열 요소 내에 저장되어 있습니다.
  • char *arr[][] 구조는 포인터 기반 구조이므로 더 유연하고, 길이가 일정하지 않은 문자열 저장에 적합합니다.
  • 반면, char arr[][][] 은 고정된 크기의 메모리 할당이 요구되어 메모리 효율성과 데이터 구조 일관성을 필요로 합니다.

관련된 주제에 대한 다른 유사 질문과 답을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이 질문 링크에서도 도움이 되는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dhkdxo12님의 프로필 이미지
dhkdxo12
질문자

출력말고 입력에서 질문드린겁니다.

dhkdxo12님의 프로필 이미지
dhkdxo12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