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16
답변 2
0
안녕하세요, dic는 함수가 아닙니다.
딕셔너리 형태 데이터로 그 자체가 리스트, 정수형, 문자열과 같은 데이터 타입 같은 것입니다.
딕셔너리(사전형) 데이터 타입은 키와 값으로 구성된 데이터 형태입니다.
그러니까, 저 단어 dic가 함수 이름은 아니고 my_dict / dictionaryData 이런 식으로 아무 변수명으로 지어도 상관없습니다.
보시면 { i : i*2 for in Irr } 로 딕셔너리를 만들고 있습니다.
저 이야기는 Key : value를 각각 i, i*2로 생성한다는 이야기고 그 i의 숫자를 리스트 Irr 요소로 생성한다는 얘기입니다.
리스트의 요소로는 1, 2, 3이 있으니 각각 i는 1, 2, 3이 되고 이것은 곧 키(key)가 됩니다.
값(value)은 곱하기 2를 한 2, 4, 6이 됩니다.
그래서 최종적으로는 {1: 2, 2: 4, 3: 6} <--- 이런 데이터가 dic에 담기게 됩니다.
딕셔너리를 이해하기 쉽게 많이 쓰이는 형태로 바꿔드리자면
personalInfo = {"name": "Weekendcode", "age": 30, "Address": "Seoul"} 이런 느낌입니다.
이 때, 30인 값에 접근하려면 personlInfo["age"]로 접근합니다.
위의 예제에서는 키가 1, 2, 3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dic[1]로 접근하면 2가 값으로 나오는 것입니다.
이해에 도움이 되셨을까요?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최미선님.
질문해주신 부분은 Python의 딕셔너리(dictionary) 사용법에 대한 내용인 것 같습니다. 딕셔너리는 키-값 쌍의 데이터 구조로, 각 키는 고유하며 이를 통해 값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질문에서 말씀하신 dic[2]는 키(key)로 사용되고, 그에 대한 특정 값을 딕셔너리에 저장합니다. dic[0]과 같은 경우도 딕셔너리의 키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Python의 딕셔너리에서는 숫자, 문자열 등 다양한 타입을 키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즉, dic[0]도 질문이 될 수 있습니다.
키를 통해 값을 저장하고 불러오는 방식에 대해 쉽게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dic = {} # 빈 딕셔너리 생성
dic[2] = 'Python' # 키 2에 값을 할당
print(dic[2]) # 'Python' 출력
위와 같은 방식으로 특정 키에 대응하는 값을 설정하고 접근할 수 있습니다. 다만, 키가 고유해야 하므로 중복된 키를 사용하려 하면 마지막 값으로 대체됩니다.
좀 더 구체적인 예제와 설명은 다음의 유사한 질문에 대한 답변을 참고해 주세요: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