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Gyuri Kim님의 프로필 이미지
Gyuri Kim

작성한 질문수

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엔티티 분류1

역할 및 발생 시점에 따른 엔티티 분류

작성

·

15

0

역할 및 발생 시점에 따른 엔티티 분류를 설명하는 파트에서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지난 강의까지 주문 엔티티는 사건 발생의 결과물(즉, 주문 이력)이 기록되는 엔티티라고 이해했었는데요.

"엔티티 분류1" 강의에서는 기본, 중심, 행위 엔티티로 나눠서 생각해볼 수 있다고 했습니다.

 

그때 중심 엔티티에서도 예시가 주문으로 나와있고, 행위 엔티티에서도 주문 이력으로 나와 있는데, 이 두 개가 다른 경우인가요?

 

중심 엔티티의 주문행위 엔티티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감사합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Gyuri Kim님.

엔티티의 분류는 데이터 모델링에서 중요한 개념이며, 특히 주문과 같은 엔티티는 중심 엔티티와 행위 엔티티 모두에서 이해될 수 있습니다.

핵심 요점 정리:

  • 중심 엔티티는 주로 시스템의 주요 데이터를 대표합니다. 보통 고객, 제품, 주문 같은 것들이 여기에 속합니다. 이 엔티티들은 다른 엔티티들 간의 관계의 중심에 놓이며, 시스템의 주요 개념을 형성합니다.

  • 행위 엔티티는 주로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나 액션을 기록합니다. 예를 들어, 주문을 생성하거나 변경하는 작업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즉, 특정한 사건이나 행동에 대한 상태 변경을 기록하며, 주로 이력이나 로그처럼 기록됩니다.

예시로 이해하기:

  • 중심 엔티티의 주문은 애초에 제품의 구입을 나타내는 주요 거래 데이터로 볼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거래의 기본 구조로 기능합니다. 예를 들어, 고객이 특정 제품을 구매한 주문 정보 자체가 중심 엔티티에 해당합니다.

  • 반면, 행위 엔티티의 주문 이력은 주문이라는 사건의 구체적 결과를 추적하는 데 사용됩니다. 다시 말해, 주문이 이뤄질 때 발생한 세부사항 또는 주문 이후의 상태 변화(예: 반품, 취소 등)를 저장합니다.

이러한 구분은 시스템 설계와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더욱 명확히 이해하고 모델링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관련하여 더 구체적인 정보를 다룬 질문들이 있으니, Entity, Repository, Service, Controller 역할 간략 설명 게시글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김영한 강사님의 답변이 엔티티의 역할 구분에 대한 이해를 돕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Gyuri Kim님의 프로필 이미지
Gyuri Kim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