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권혁진님의 프로필 이미지
권혁진

작성한 질문수

(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 2025년 2회 코드문제-1

4분 14초 람다식 이해가 잘 안갑니다!

해결된 질문

작성

·

37

·

수정됨

0

  • 출력문에서 run(f)로 정의한 f 함수를 매개변수로 보내고 f.app(3)을 실행하는데 f에 경우에 app을 따로 구현안했는데 어떻게 실행이 되는건가요?

     

    그리고 이후에 run(n -> n+9) 또한 따로 app()을 정의한 것 같지않은데 말이죠..

     

  • 또한 f.app(3)가 어떻게 저 3이 f 함수에 매개변수로 들어가는지도 궁금합니다.

제가 해석한 건 f.app(3)는 f안에 있는 app메소드에 3을 전달하는 걸로 해석이 되는데 어째서 f 함수 매개변수 x에 3이 전달되는지

답변 2

1

주말코딩님의 프로필 이미지
주말코딩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일단 현재 코드에서는 app을 구현한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F f = (x) -> {
  if (x > 2) {
    throw new Exception();
  } else {
    return x * 2;
  }
};

이 코드가 바로 app 메서드를 구현한 것입니다.

 

인터페이스로 정의한 F는 함수형 인터페이스로, 아래에서 그것을 받아서 직접 구현하게 됩니다.

여기서는 람다라는 이름이 없는 익명 함수로 만든 것입니다.

run(n->n+9)도 마찬가지고

 

F tempF = new F() {
  @Override
  public int app(int n) throws Exception {
    return n + 9;
  }
};
run(tempF);

이런 식으로 작성되었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어떻게 동작되는지 전체적으로 흐름을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f.app(3)에서 3이 어떻게 f 함수의 매개변수 x로 전달되나요?"

이것에 대해서 설명해보겠습니다.

 

코드 설명

  1. run(f) 호출

     

   F f = (x) -> { if (x > 2) throw new Exception(); else return x * 2; };
   run(f);
  1. run 메서드 안에서 f.app(3) 호출

     

   public static int run(F f) {
     return f.app(3);  // 여기서 3을 전달!
   }
  1. 람다 실행: x = 3이 됨

     

   (x) -> {  // x에 3이 들어옴
     if (x > 2) {  // 3 > 2 → true
       throw new Exception();  // 예외 발생!
     }
   }

 

정리:

  • f.app(3)를 호출하면 → 람다의 매개변수 x3이 전달됩니다

  • 이것은 메서드 호출의 기본 원리와 동일합니다

  • 람다 (x) -> ...xapp(int n)n대응됩니다

 

그래서 요약하자면

  • run(f)

    • f.app(3) 실행

    • x = 3, 3 > 2 → Exception 발생

    • 위에서 오류가 발생했기 때문에 예외처리에 의해서 catch로 이동 → 7 반환

  • run(n -> n + 9)

    • (n -> n + 9).app(3) 실행

    • n = 3, 3 + 9 → 12 반환

최종 출력값은 해설 영상에서 설명드렸듯이 7 + 12 = 19가 됩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권혁진님.

람다식과 매개변수 전달 방식에 대해 잘 이해가 안되신 것 같습니다. 람다식은 Java 8에서 도입된 기능으로, 함수형 프로그래밍을 가능하게 해 주며, 주로 함수형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데 사용됩니다. 질문에서 제시하신 run(f)와 같은 방식은 함수형 인터페이스의 app 메소드 구현을 람다식으로 전달하는 형태입니다.

키 포인트는 run(n -> n+9) 같은 표현에서 n -> n+9이 기능적으로 함수형 인터페이스의 app 메소드를 정의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입니다. f.app(3)에서 사용하는 app 메소드는 바로 이 람다식으로 구현된 것이죠.

자바의 람다식 사용 예제를 통해 더 명확히 설명해 보겠습니다:

  1. 함수형 인터페이스 선언:

    interface FunctionInterface {
       int app(int x);
    }
    
  2. 람다식 정의:

    FunctionInterface f = x -> x + 9;
    
  3. 메소드 호출:

    int result = f.app(3); // 이 때, 3이 매개변수로 사용되어 3 + 9 = 12가 반환됩니다.
    

즉, f.app(3)f에 정의된 람다식 x -> x + 9 에서 x에 3을 전달하여 12를 반환하게 되는 것입니다.

비슷한 주제를 다룬 다른 질문과 답변도 참고하면 더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권혁진님의 프로필 이미지
권혁진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