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10
0
프로그래밍 좀비님 안녕하세요
덕분에 좋은 강의 잘 수강하였습니다.
개인앱을 만들 때 채팅기능/추천기능 등을을 추가하기 위해, OpenAPI나 Gemini API 연결을 고려하고 있는데요. (정확한 강의 회차를 찾지는 못했는데 강의에서도 비슷한 이야기를 언급해주신 것으로 기억합니다.)
그런데 호출건수 및 토근에 따라 과금이 되는 구조다보니, 어느정도로 예상 금액을 책정해야할지, 괜히 지출만 늘리는게 고민이 되더라고요. 비싼 모델을 쓸수록 더 나은 아웃풋이 나오지 않을까하는 막연한 기대감도 있고요.
꼭 LLM API 가 아니더라도 대부분의 외부 API 연동시에 발생하는 문제일 것 같은데, 좀비님의 경우 어떤 식으로 예산 책정을 하고 서비스를 이용하시는지 접근하시는지 궁금합니다.
말하다보니 이것도 정해진 정답은 없고, 광고태우는 것처럼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서 최적값을 찾아가야하는 문제겠구나하는 생각이 들긴하네요 ^^;
감사합니다.
답변 2
0
안녕하세요! 좋은 질문 감사드립니다.
LLM API 비용은 서비스에서 AI를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천차만별입니다.
AI를 많이 사용하는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가 AI와 직접 대화하거나 분석 기능을 많이 사용하는 앱이라면 토큰 소모가 심하고, 이는 곧 비용으로 직결됩니다. 예를 들어 한 사용자가 하루에 100,000토큰을 사용하고 그 비용이 약 0.5달러가 발생한다면, 한 달 동안 꾸준히 사용할 경우 월 15달러의 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런 경우에는 월 구독 모델이 필수입니다.
실제 수익 계산을 해보면 어떨까요? Google Play 인앱 구매 기본 수수료는 30%이며, 연 수익 100만 달러 미만인 소규모 개발자는 15%의 할인된 수수료가 적용됩니다. 여기에 부가가치세 신고 시에는 플랫폼 수수료를 차감하기 전 결제 총액을 매출로 신고해야 하며, 플랫폼 수수료는 별도로 경비 처리합니다.
그리고 세금도 고려해야 합니다. 종합소득세는 과세표준에 따라 6%~45%의 누진세율이 적용됩니다. 2025년 기준 과세표준 1,400만 원 이하는 6%, 1,400만 원 초과~5,000만 원 이하는 15%가 적용됩니다.
구체적으로 월 30달러 구독 모델을 예로 들어볼게요. 사용자가 30달러(약 40,000원)를 구독료로 지불하면, 먼저 Google Play 수수료 15%를 차감하여 25.5달러(약 34,000원)가 남습니다. 여기서 종합소득세 및 지방소득세(약 20% 가정)를 내면 20.4달러(약 27,200원)가 되고, AI API 비용 15달러를 차감하면 최종적으로 5.4달러(약 7,200원)만 순수익으로 남게 됩니다.
결국 AI를 많이 사용하는 서비스에서 사용자당 실제 수익률은 약 18% 수준이므로, 수익화를 위해서는 최소 월 25~30달러 정도의 구독료를 책정해야 합니다.
서버 중심 처리 서비스의 경우
반면 뉴스 일일 요약 브리핑 같은 서비스를 운영한다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서버에서 제한된 횟수만 LLM API를 호출하고, 그 결과물을 내부 DB에 저장한 뒤 API로 제공하는 방식이라면 비용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이런 경우는 광고 수익만으로도 충분히 비용을 커버할 수 있습니다.(물론 분석하고 저장해야될 데이터가 많다면 이야기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어떤 모델을 선택하느냐도 중요합니다. 간단한 채팅 앱이라면 GPT-4 mini나 Grok의 grok-4-fast-non-reasoning 같은 경량 모델만으로도 충분합니다. 물론 고성능 모델을 사용하면 더 나은 결과가 나오겠지만, 프롬프트 설계를 잘하면 저사양 모델로도 만족스러운 결과를 뽑아낼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System Prompt를 여러 번 변형해가며 실험하는 과정이 필수입니다.
비용 구조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Input과 Output 토큰의 가격이 다르기 때문에 예상 사용량을 나누어 계산해야 합니다. 총 토큰 수에 단가를 곱해서 월 예상 비용을 산출해보세요.
OpenAI API는 사용량에 따라 티어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초기에는 데이터 공유 옵션이 큰 혜택이 없지만, 사용량이 증가하여 티어가 올라가면 데이터 공유 시 하루 단위로 상당한 무료 크레딧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https://help.openai.com/en/articles/10306912-sharing-feedback-evaluation-and-fine-tuning-data-and-api-inputs-and-outputs-with-openai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정답은 없으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최적값을 찾아가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저의 경우 AI를 하드하게 사용하는 서비스에서 구독 모델과 광고를 병행하여 성공적으로 수익화했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최진호님.
AI API 사용과 관련된 비용 예산과 효율성에 대한 질문을 주셨군요. AI API, 특히 OpenAPI와 같은 LLM API 사용은 매우 강력한 도구로, 앱의 기능을 크게 확장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말씀하신 대로, 호출 건수 및 사용량에 따라 과금이 발생하기 때문에 사전 예산 책정이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사용량 패턴 분석:
API 제공업체의 가격 정책 확인:
기능 우선 순위 설정:
비용-효과 분석:
모니터링과 조정:
최진호님의 질문은 많은 앱 개발자들이 고민하는 부분입니다. 초기에는 신중하게 시작하여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최적화해나가면서 안정적인 예산 관리를 하시기 바랍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