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asdf님의 프로필 이미지
asdf

작성한 질문수

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제2 정규형

조건 제약 처리 부분 질의

작성

·

27

·

수정됨

0

 

안녕하세요.

섹션 8에서 장바구니에 주문을 생성할 때 같은 상품이 중복으로 생성되게 하지 않게 제약 조건을 걸었는데

실무에서는 쿼리에서 제약 조건을 거는 지

아니면 애플리케이션에서

- 없을 때 추가

- 있을 경우 수량 증가

와 같이 아니면 비즈니스 로직에서만 처리 하는 지

어떤 케이스나 어느 비율로 적용하는 사례가 궁금합니다.

 

답변 2

0

김영한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영한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asdf님

AI 인턴이 잘 답변해주었는데요. 다음 내용도 참고해보시면 도움이 되실거에요

https://inf.run/Mo7Ms

감사합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asdf님, 질문해주신 내용에 대해서 답변 드리겠습니다.

실무에서는 중복된 상품을 처리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접근 방법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1. 데이터베이스에서 제약 조건 설정: 데이터베이스 레벨에서 유니크 제약 조건을 걸어 중복된 데이터 입력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데이터를 일관성 있게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애플리케이션 로직에서의 세부적인 제어는 어렵습니다.

  2. 애플리케이션에서 비즈니스 로직 처리: 애플리케이션 코드에서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추가하기 전에 중복을 확인하고, 없을 경우에만 추가하거나 이미 존재하면 수량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더 유연하고 세밀한 로직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3. 혼합 사용: 두 가지 방법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일반적입니다. 예를 들어, 중요한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 제약 조건을 사용하되, 애플리케이션 레벨에서도 비즈니스 로직을 통해 여러 케이스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합니다.

각 방법은 프로젝트 요구사항과 데이터베이스 설계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어느 한 방법을 일반화하기보다는 상황에 맞게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많은 경우 실무에서는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와 애플리케이션의 조화를 이루는 방법이 많이 사용됩니다.

추가로 참고하실 수 있는 자료로는 Spring Boot Reference Documentation에서 데이터 접근 및 데이터 초기화 관련 가이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Data Access
Database Initialization

asdf님의 프로필 이미지
asdf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