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이경용님의 프로필 이미지
이경용

작성한 질문수

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복합 키 설계

단일 키로 행을 식별할 수 없을 때 어떻게 설계하나요?

작성

·

9

0

실무에서 단일 컬럼 PK만으로 행을 식별할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영화 예매 시스템에서 ‘상영회차’와 ‘좌석’ 정보를 조합해야만 특정 예매 내역을 정확히 구분할 수 있을 때가 있죠.

이런 경우 복합키를 사용하게 되는데, 실제 설계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복합키를 구성하고, 단일 PK와 비교했을 때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경험 기반으로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이경용님.

단일 키만으로 행을 식별할 수 없을 때 실무에서는 복합키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상영회차’와 ‘좌석’ 정보와 같은 두 개 이상의 컬럼을 조합하여 행을 식별하고자 할 때, 복합키라는 개념을 사용하게 됩니다.

복합키를 사용할 때의 장단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복합키의 장점

  1. 정확한 식별: 여러 컬럼을 결합하여 행을 식별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같은 좌석이지만 상영회차가 다른 경우에도 각각을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습니다.
  2. 자연적인 키 구성: 데이터 자체에서 의미 있는 조합으로 키를 만들 수 있습니다. 즉, 실제 데이터 속성들이 구별을 위한 역할을 하므로 추가적인 컬럼을 만들 필요가 없습니다.

복합키의 단점

  1. 복잡성 증가: 여러 컬럼을 조합하다 보니 쿼리가 복잡해질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2. 성능 이슈: 여러 컬럼을 인덱싱해야 하므로 단일 컬럼 인덱스에 비해 성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검색 시에도 더 많은 리소스가 소요될 수 있습니다.
  3. 어플리케이션 코드: JPA와 같은 ORM에서 설정이 어려워질 수 있으며, 키 조합을 올바르게 다루기 위한 추가적인 코드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JPA와 같은 ORM에서는 복합키를 사용하기보다 단일 키(surrogate key)를 생성하는 전략을 추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단일 키는 특정 컬럼(대부분 자동 증가되는 숫자)을 사용하여 행을 식별합니다. 이는 JPA가 기본적으로 id 기반으로 행을 조회하기 때문에 복합키보다 단일 키가 사용하기 더 간편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복합키에 관한 더 자세한 내용은 기존 답변에서 유사한 질문 사례와 참고 자료들을 통해 얻을 수 있습니다. 복합키의 사용은 실무에서 필요한 경우에 따라 활용할 수 있는 전략이지만, 상황에 따라 단일 키와의 조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복합키 사용에 관한 더 많은 논의와 예시는 이 강의의 다른 수강생 질문에서도 찾을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이경용님의 프로필 이미지
이경용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