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끌림님의 프로필 이미지
끌림

작성한 질문수

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제3 정규형

정규형은 종속 분리의 연속으로 받아들이면 될까요?

작성

·

9

0

제 1,2,3 정규형 강의를 들었을 때, 정규형은 종속 분리의 연속이다라는 생각이 들어서 질문 남깁니다. 앞에서부터 '제1 정규형 만족 -> 제2 정규형 만족 -> 제3 정규형 만족' 이라는 과정이 종속 분리가 차근차근 진행되는거죠? 제가 생각한 것처럼 이해하면 될까요?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끌림님!

데이터베이스에서 정규형(normal form)은 데이터의 중복을 최소화하고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단계적으로 분해(split)하는 절차입니다. 각 정규형 단계는 이전 단계에서 더 정교하게 제약 조건을 추가하여 특정 형태의 종속성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의 설계가 점점 더 정교해집니다.

  1. 제1 정규형 (1NF): 중복된 데이터를 제거하기 위해 테이블의 모든 속성이 원자값을 갖도록 합니다. 즉, 각 열은 분리된 값만 포함되도록 합니다.

  2. 제2 정규형 (2NF): 제1 정규형을 만족한 후, 부분 종속성(즉, 결합된 키 중 일부에만 종속된 경우)을 제거합니다. 이는 기본 키의 모든 부분에 완전히 종속되도록 하여 중복성을 줄이는 단계입니다.

  3. 제3 정규형 (3NF): 제2 정규형을 만족한 후, 이행 종속성(기본 키가 아닌 속성이 다른 비주요 속성에 종속되는 경우)을 제거하여 더욱 철저하게 중복성과 비일관성을 제거합니다.

따라서 끌림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정규형은 종속성을 단계적으로 분리하여 데이터를 정돈하는 과정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이러한 절차는 데이터베이스 설계에 있어 필수적이며,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이고 변경 및 확장을 용이하게 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인프런의 강의 자료나 기존 질문에 대한 참고가 필요하시다면 아래 링크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 인프런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끌림님의 프로필 이미지
끌림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