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euichan님의 프로필 이미지
euichan

작성한 질문수

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입문 - 모든 IT인을 위한 SQL 첫걸음(SQL부터 차근차근)

SQL 실행 순서

논리적 실행 순서에서 SELECT 설명 질문

작성

·

11

0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
(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
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
(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

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
=========================================
[질문 템플릿]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
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

[질문 내용]
안녕하세요. SQL 쿼리의 논리적 실행 순서에서 SELECT 절 설명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SELECT 절에 SUM, COUNT 같은 집계 함수 계산이라는 부분이 있는데 이 내용은 GROUP BY 에서 HAVING 으로 넘어갈 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가요? HAVING 절에서 집계 함수로 필터링이 가능한데 이 계산이 SELECT 에서 이루어진다는 것이 이해가 가지 않아서 질문드립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euichan님!

SQL의 논리적 실행 순서에 대한 헷갈림이 있을 수 있는 부분을 잘 짚어주셨습니다. 일반적으로 SQL 쿼리는 FROM에서 시작하여 SELECT로 마무리됩니다. 그러나 SELECT 절에서 집계 함수(SUM, COUNT 등)를 사용할 때는 GROUP BY 절을 거친 후, SELECT 절에서 최종적으로 이 함수들이 적용되어 결과가 반환됩니다.

SELECT 절이 실제로 집계를 수행하는 단계라고 볼 수 있습니다. 즉, HAVING 절은 집계된 결과를 대상으로 조건에 맞게 필터링을 하는 반면, SELECT는 이미 그룹화된 데이터를 집계하여 반환합니다. 이는 GROUP BY의 특성 상, 데이터가 묶이고 HAVING 절에서 필터링된 후 SELECT 절에서 원하는 집계 결과와 데이터를 출력하는 순서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링크는 SELECT 및 GROUP BY, HAVING의 실행 순서에 대한 보다 상세한 토론을 제공하여 여러분의 이해를 돕습니다:

그래서, SELECT 절은 그 자체로 집계 함수 계산을 포함하여 필요한 데이터 및 집계 결과를 최종적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합니다. HAVING은 집계된 데이터를 대상으로 조건을 걸기 위해 사용된다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euichan님의 프로필 이미지
euichan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