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이진우님의 프로필 이미지
이진우

작성한 질문수

(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비교연산자와 반복문+조건문 문제 풀이 (v2)

질문

해결된 질문

작성

·

19

0

24:54에 i값이 1일때 "참"이 되는게 이해가 잘 안갑니다..

1 나누기 2는 0.5인데 정수형이라 0이되니까 "거짓"이 되야할것같은데 나머지가 어떻게 1이 되는지 문과생은 이해가 안갑니다..

답변 2

0

주말코딩님의 프로필 이미지
주말코딩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나머지 연산자는 소수점까지 내려가지 않습니다.

있는 그대로의 숫자에서 나눌 수 없으면 그대로를 나머지로 반환합니다.

 

예를 들어서 6 % 5은 말씀하신 대로 하면 1.2가 되고 나머지가 0이 되어야 하는데,

실제 프로그래밍에서는 6을 5로 한 번 나눠서 몫이 1이 되고, 나머지가 1이 됩니다.

 

정수 간에 나머지는 나누는 숫자보다 작으면 무조건 나머지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실수끼리 %를 작성하면 오류가 발생합니다.

#include <stdio.h>

int main() {
    float a = 5.5;
    float b = 2.0;
    
    // 이 코드는 컴파일 에러!
    printf("%.2f %% %.2f = %.2f\n", a, b, a % b);
    // 에러: invalid operands to binary % (have 'float' and 'float')
    
    return 0;
}

출력값:
error: invalid operands to binary % (have 'float' and 'float')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이진우님.

정수형 나누기에서 혼동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프로그래밍에서 나누기 연산은 두 가지로 나뉩니다: 전체 몫을 구하는 정수 나누기와, 나머지를 구하는 모듈로 연산입니다.

이진우님께서 언급하신 상황은 나머지 연산에 해당합니다. 예를 들어 1 나누기 2를 수행할 때, 정수 나누기에서는 몫이 0이지만, 1을 2로 나눈 나머지는 1입니다. 이는 “1 % 2”가 1임을 의미합니다.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 연산이 이 나머지를 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i가 1일 때 “참”이라고 평가되는 이유는 i % 2가 1이 되어 참으로 간주되기 때문입니다. 이는 0이 아닌 수는 참으로 간주되는 프로그래밍 관습 때문입니다.

관련하여 다른 분들이 주신 비슷한 질문과 답변들도 살펴보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유사한 질문 URL:

이 질문에 대한 답변들이 이진우님이 처한 상황 이해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이진우님의 프로필 이미지
이진우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