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6
·
수정됨
0
테스트와 코드간 성장 헙력 관계를 보면서 문득 궁금증이 들었습니다.
테스트 시나리오는 작성하면서 시나리오의 순서 역시도 중요하지 않을까? 하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단순한 기능들은 (예시로 들어주신 회원가입)은 테스트 시나리오의 순서에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 같으나
좀 더 복잡한 로직, 예를 들면 금액 계산과 같은 로직은 테스트 시나리오를 작성함에 있어서 순서를 신경 써야 할까요?
좋은 예시가 떠오르지는 않지만
예약 시스템을 만들면서 테스트 시나리오를 짠다고 했을 때 테스트 시나리오의 순서대로 코드가 성장이 된다고 가정하면 테스트 시나리오를 작성하는 순서 역시도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강사님은 테스트 시나리오를 작성 하실 때 순서를 크게 신경 쓰지 않으시나요? 아니면 로직의 흐름을 미리 어느정도 파악해 두시고 시나리오를 그 흐름에 맞춰 작성하시나요?
두서 없는 질문이라 정말 죄송합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counterchord89님.
테스트 시나리오 작성 시 순서에 대한 질문을 주셨군요. 복잡한 로직을 다룰 때 테스트 시나리오의 순서가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해 궁금해 하시는 점 잘 알겠습니다.
단순 vs 복잡한 로직: 회원 가입과 같은 단순 기능은 독립적으로 테스트할 수 있는 경우가 많아 시나리오 순서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하지만 금액 계산이나 예약과 같이 여러 단계가 있는 복잡한 로직은 흐름에 맞는 순서로 테스트 시나리오를 작성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로직에 따른 성장: 로직이 복잡할수록 테스트 시나리오가 로직의 흐름에 따라 단계적으로 작성되면 코드를 점진적으로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는 코드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로직이 올바르게 구현되고 있는지 검증하며 개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테스트 주도 개발(TDD) 과정: TDD에서는 작은 단위의 테스트를 작성하고 이에 맞춰 구현을 진행하며 코드를 발전시켜 나갑니다. 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테스트 시나리오의 순서가 로직의 흐름을 따르게 됩니다.
강사님 또한 복잡한 로직을 다룰 때는 보통 로직의 흐름을 미리 파악하고 시나리오를 그 흐름에 맞춰 작성할 가능성이 컵니다. 이를 통해 논리적인 오류를 사전에 방지하고, 효과적인 테스트를 통해 코드 품질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된 유사한 질문 사례를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다음 링크를 참조해 주세요:
- 테스트 코드 작성 범위 고민: 이 게시물에서는 테스트의 역할과 각 계층에서의 테스트 목표를 어떻게 설정하는지 논의하고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