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없음
작성자 정보가 삭제된 글입니다.
작성
·
22
·
수정됨
답변 2
0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질문해주신 내용에 대해 답변드려볼게요 !
"꼭 필수적으로 elb를 사용해야만 하는 것은 아닌거죠..?"
-> 네 맞아요 ! ELB가 꼭 필수는 아니에요 ~
Route53에서 도메인을 바로 EC2 인스턴스의 퍼블릭 IP로 연결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해요!
단일 서버로 운영한다면 Route53 → EC2 (nginx) 이렇게 직접 연결해도 전혀 문제없어요 !
nginx에서 정적 파일 서빙, 리버스 프록시, HTTPS 모두 잘 처리할 수 있어요 :)
ELB는 아래와 같은 필요한 경우에 사용하시면 되시구 필수 사항은 아니에요 !
[1] 서버가 여러 대여서 로드밸런싱이 필요한 경우
[2] 오토 스케일링을 사용 할때
[3] SSL 인증서를 ELB에서 관리하고 싶을 때
[4] 헬스체크 기능이 필요할 때
"아키텍쳐를 그릴 때 route53은 꼭 표현하지 않아도 괜찮은지도 궁금합니다!"
-> 우선 결론적으로 표현하지 않아도 괜찮아요 ! 단순화가 목적인 경우 생략해도 괜찮아요 ~
다만, 아키텍처를 명확히 보여주고 싶은 경우에는
route53도 표현하시면 더 완성도 높은 다이어그램이 되죠:)
발표용이나 간단한 문서라면 생략해도 괜찮지만, 운영 설계 문서라면 넣는 걸 추천드려요 !
추가로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언제든 질문 남겨주세요 😄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macdduck님.
AWS 인프라에서 ELB(Elastic Load Balancer)의 필요성에 대해 여러 질문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Nginx를 사용하여 정적 파일 서빙, 리버스 프록시 설정, HTTPS 인증서 발급 등을 이미 완료하셨다면 ELB의 사용은 필수가 아닙니다. ELB는 주로 트래픽 분산, 고가용성 유지, 더 나은 확장성을 위해 사용됩니다.
궁금하신 점에 대한 정보는 아래의 기존 질문과 답변을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이 게시글에서는 서버가 한 대일 때 ELB 없이도 EC2 인스턴스에서 직접 HTTPS를 설정한 방법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