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12
0
3-13 리텐션 과제 제출합니다!
https://www.notion.so/13-22f60e878b2580c097eaf0e1eb15d73c?source=copy_link
혼자 쿼리를 쓰다가 고객 정의를 내리고 나니 너무 어려워 AI의 도움도 받고, 여러 방법으로 좀 접근을 해봤습니다만.. 정의를 너무 어렵게 내린 것 같아 시간이 오래 걸렸네요ㅠㅠ
서비스나 업종마다 다르겠지만, 일반적으로 신규, 활성, 복귀, 휴면 유저에 대한 정의는 어떻게 내리고, 분석을 어떤 식으로 진행하는 건가요?
과제를 진행하긴 했으나 쿼리가 제대로 작성된 게 맞는지 분석을 올바르게 한 게 맞는지 너무 어렵군여ㅠ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김재현님!
리텐션 과제 제출과 함께 여러 가지 접근법을 시도하셨다는 점에서 많은 고민과 노력이 엿보입니다. 고객을 정의하고 분석하는 과정은 초기에는 어려울 수 있으나, 반복과 피드백을 통해 점차 개선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신규, 활성, 복귀, 휴면 유저에 대한 정의와 분석 접근 방식에 대해 간단히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신규, 활성, 복귀, 휴면 유저에 대한 일반적인 정의와 분석:
1. 신규 유저 (New User): 특정 기간 내에 처음 서비스에 등록하거나 첫 활동을 시작한 사용자. 분석 시, 신규 유저의 유입 경로를 파악하고 처음 서비스 이용에서의 이탈률을 확인합니다.
활성 유저 (Active User): 정기적으로 플랫폼을 사용하는 사용자로, 일반적으로 일별/주별/월별 활동 기준을 사용합니다. 이들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합니다.
복귀 유저 (Resurrected User): 일정 기간 동안 비활성 상태였다가 다시 돌아온 사용자. 돌아오게 된 계기나 복귀 이후의 행동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휴면 유저 (Dormant User): 일정 기간 동안 플랫폼을 사용하지 않은 사용자. 이들의 이탈 이유를 분석하고 재참여를 유도할 전략을 세우는 것이 목표입니다.
이와 관련해 유사한 질문과 답변을 제공하는 게시물들을 몇 가지 추천드립니다. 이들 게시물을 통해 실제 예제를 참고하고 쿼리를 개선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리텐션 과제 작성: 리텐션 쿼리에 대한 피드백과 방법론이 포함된 유용한 정보입니다.
리텐션 분석 과제: 리텐션 분석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부분들과 쿼리 작성의 논리가 설명되어 있습니다.
리텐션 과제_연습문제 2번: 리텐션 분석 초보자들에게 적합한 단계적 접근법과 SQL 예제를 제공합니다.
위 링크들에서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쿼리 작성법과 분석 방향을 점검해보시길 바랍니다. 추가적인 질문이 있으시면 이어서 해주세요. 지식공유자께서 도움을 주실 것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