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Jinsik Park님의 프로필 이미지
Jinsik Park

작성한 질문수

코딩 없이 AI 자동화 전문가가 되는 법, n8n 완벽 가이드

완전 초보를 위한 N8N 설치부터 셀프호스팅까지 – Docker 실습편

병원 환경 n8n 프로덕션 서버 OS 선택 (윈도우 서버 vs 리눅스) 관련 실무 조언을 구합니다.

해결된 질문

작성

·

24

·

수정됨

0

안녕하세요 강사님.

좋은 강의 덕분에 업무 자동화 구축에 많은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문의드리게 된 것은 다름이 아니고,

저희는 병원 전산실과 기록실 소속으로, n8n을 도입하여 실제 운영(Production) 환경의 업무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현재 Docker를 활용하여 n8n을 컨테이너로 구축할 계획인데, 이 컨테이너를 호스팅할 서버의 OS를 윈도우 서버리눅스 중 무엇으로 선택해야 할지 기술적인 확신이 서지 않아 문의드립니다.

 

저희의 구체적인 상황과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운영 팀 환경: 본원은 윈도우 서버 운영 및 관리에 더 익숙합니다.

  • 주요 자동화 워크플로우 예시:

    1. 데이터베이스 연동: EMR, OCS 데이터베이스에 주기적으로 쿼리를 실행하여 특정 조건의 환자 데이터를 추출하고, 통계 리포트를 자동 생성하여 담당자에게 전달.

    2. 파일 시스템 처리: 네트워크 폴더에 의료 기록 스캔본(PDF, JPG 등)이 생성되는 것을 트리거로 감지하여, OCR API를 연동해 텍스트를 추출하고 파일명 변경 후 EMR 시스템에 업로드.

    3. API 연동: 내부 레거시 시스템 및 외부 솔루션(SMS 발송, 알림톡 등)과의 API 연계를 통한 정보 전달 자동화.

이러한 상황을 바탕으로, 아래 세 가지 점에 대해 강사님의 실무적인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1. 성능 및 안정성: 위와 같은 워크플로우가 수시로 실행되는 운영 환경에서, Docker 컨테이너를 호스팅하는 OS로서 윈도우 서버와 리눅스 중 어느 쪽이 n8n의 성능과 안정성을 보장하는 데 더 유리할까요?

  2. 유지보수 및 생태계: 윈도우 서버를 선택할 경우 장기적으로 n8n 버전 업데이트, 트러블슈팅, 커뮤니티 지원 활용 등에서 리눅스 환경에 비해 겪을 수 있는 현실적인 어려움이나 불리한 점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3. 보안: 환자의 민감 정보를 다루는 병원의 특성상 서버 보안이 매우 중요합니다. OS 레벨에서의 보안 강화나 컨테이너 보안 측면에서 윈도우와 리눅스 환경 중 어떤 것이 더 권장되며 특별히 고려해야 할 사항이 있을까요?

저희가 기술적인 방향을 결정하는 데 있어 강사님의 깊이 있는 조언이 결정적인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바쁘시겠지만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2

0

남박사님의 프로필 이미지
남박사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Jinsik Park님.

일단 말씀하신 내용만 들었을때 사실 일반인들은 사용해볼 수 없는 그런 종류의 데이터인데 아주 재미있어 보이는 내용들입니다. 먼저 질문하신 내용에 대해 답변을 드리자면,

 

  1. 도커 컨테이너를 호스팅하는 OS는 리눅스 서버를 쓰는게 좋습니다. 윈도우에서 도커 컨테이너를 구동하는 형태도 사실 윈도우의 WSL (Windows Subsystem for Linux)로 결국 리눅스를 윈도우에서 서브시스템 형태로 구동시키는 기술이기에 개인 컴퓨터에서는 윈도우를 대부분 사용하니까 어쩔 수 없이 WSL을 사용해서라도 도커를 구동하는거지만 목적 자체가 서버 운영이라면 윈도우를 선택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됩니다. n8n 성능은 결국 서버의 하드웨어 스펙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사용량을 감안하여 하드웨어 스펙을 결정하시면 될 듯 합니다. 안정성 역시 직접 리눅스를 사용하는게 좀 더 이득일 수 있습니다. 개인적인 의견으로 여러모로 봤을때 리눅스 LTS버전이 최선의 선택지가 아닐까 합니다.

     

  2. 1번에서 말씀드린 것 처럼 도커를 윈도우에서 구동하는 방식은 직접 구동되는게 아니라 윈도우의 서브시스템 리눅스에 의해 리눅스 환경을 내부적으로 결국 가상화 기능을 통해 조성하고 그 상태에서 구동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실제 서비스를 운영하고자 할때는 윈도우 서버를 사용할 이유가 없습니다.

  3. 이 부분이 사실 가장 애매한 부분이긴 한데, OS 레벨에서의 보안은 윈도우가 편하긴 합니다. 어떤 보안 이슈가 발생하면 MS사에서 업데이트를 통해 보안 패치를 배포하기 때문에 업데이트만 꾸준히 잘 해준다면 편하게 운영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물론 리눅스 역시 보안 패치를 통해 꾸준히 업데이트를 해줘야 합니다만 윈도우가 좀 더 편한건 사실이긴 합니다.
    그런데 실제 서버가 해킹되는 여러 사례를 살펴보면 어떤 시스템의 취약점을 노려 해킹되는 경우보다는 사람의 오류에 의해서, 실수에 의해서, 패치가 귀찮아서 등등등 사람을 통해 해킹되는 경우가 몇십배 이상 많습니다. 어쨌든 결론적으로 제 의견으로 보안에는 정답이 없습니다.

    병원의 민감 데이터를 이용해 작업을 기획하신다면 반드시 위에서 말씀하신 환자 데이터가 저장된 DB는 외부 접근을 못하게 고립 시켜야 하고 읽고 쓰기 권한을 잘 배분하여 계정을 여러개 분산해서 관리 운영되어야 할 듯 합니다. n8n 역시 내부 전용으로만 띄우고 실제 모든 외부 접속은 역방향 프록시 서버를 통해서만 설정 할 수 있게 관리되어야 할 사항으로 보여집니다. 역방향 프록시 서버를 활용하면 특정 IP만 n8n에 접속할 수 있게도 설정이 가능합니다. 물론 더 깊게 들어가면 네트워크 세그먼트를 분리하여 각 구역마다 VLAN을 생성해서 운영해야하고 서버들끼리 통신할때도 mTLS 형태로 상호 인증서 확인 방식으로 구동할 수도 있습니다. 물론 이걸 구현하려면 자체 CA(Certificate Authority)를 구현하고 발행하고 운영 해야 합니다. 그래서 여러가지 할 일이 많아지기 때문에 이 분야에 어느정도 지식이 있는 분이 계시거나 혹은 보통 사람보다 오기와 끈기가 있는 분이 계셔야 할 듯 합니다.

    일단 즉흥적으로 생각나는 기본적인 내용 정도만 말씀드렸지만 보안영역은 끝도 없는 분야입니다. 이런 여러 설정은 개념적인 내용들이기 때문에 서버가 윈도우냐 리눅스냐의 문제는 아닙니다. 물론 서버 운영에 대해 이런 디테일한 설정 방법에 대한 자료는 윈도우보다 리눅스가 더 많은 건 사실입니다.

     

결론적으로 윈도우서버는 윈도우에서만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를 반드시 설치해서 사용해야 하거나, 혹은 ADS(Active Directory Services) / ADDS(Active Directory Domain Services) 를 사용하는게 아니라면 굳이 윈도우 서버를 사용할 이유는 없다고 보여집니다.

두서 없이 답변을 드렸고 제 답변이 정답은 아니지만 그래도 참고하시어 목적하시는 Agent를 만드시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더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또 질문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PS. 한가지 추가 의견으로는 아무래도 API 를 사용해서 민감한 데이터를 질의 한다는거 자체가 찜찜하기에 실제 기업에서 민감한 데이터를 AI 로 사용할때 궁극적으로 AI를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요즘은 OpenAI 사에서도 gpt-oss 같은 공개된 AI 모델을 배포하고 있기 때문에 성능좋은 GPU만 있다면 말씀하신 정도의 내용은 직접 서버 운영이 가능한 부분이긴 합니다. 물론 gpt-oss:120b 모델 같은 최상위 모델은 VRAM 80G (H100급) 이상에서 구동가능하기에 회사가 그정도를 지원할 수 있느냐 없느냐로 결정될 문제긴 합니다만 어쨌든 이런 부분도 장기적인 운영 방법으로 고려해보시는게 좋을듯 하여 추가 내용을 덧붙입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Jinsik Park 님.

병원 환경에서 n8n을 프로덕션으로 사용할 계획에 대해 문의주셨군요. 다양한 요구사항과 환경적 요소를 고려한 OS 선택은 매우 중요한 결정입니다. 각 측면에 대한 실무적인 조언을 드리겠습니다.

  1. 성능 및 안정성: 일반적으로 리눅스는 경량화되어 있고, Docker와의 호환성이 매우 뛰어나기에 성능 및 리소스 관리 측면에서 유리합니다. 특히 n8n과 같은 오픈소스 툴은 리눅스 환경에서 개발 및 테스트되어 배포되는 경우가 많아 성능의 최적화가 잘 되어 있습니다. 리눅스 환경에서의 Docker 지원이 좀 더 강화되어 있어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2. 유지보수 및 생태계: 리눅스 환경은 오픈소스 커뮤니티와 연계된 지원이 활발하며, n8n을 포함한 다양한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및 패치도 빠른 편입니다. 반면, 윈도우 서버에서는 Docker 사용 시 별도의 설정이나 관리가 필요할 수 있으며, 리눅스 환경 대비 트러블슈팅 정보가 적을 수 있습니다.

  3. 보안: 리눅스는 기본적으로 보안 모듈(예: SELinux, AppArmor)을 통해 훨씬 더 세분화된 보안 설정이 가능합니다. 특히 컨테이너 보안 측면에서 리눅스가 더 강력한 옵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물론 Windows Server는 자체 보안 기능이 뛰어나지만, 리눅스는 오픈소스 커뮤니티의 지원을 통해 빠르게 패치 및 업데이트가 가능합니다.

관련 논의와 유사한 사례가 담긴 링크를 제공하여 도움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위의 정보를 기반으로, 기술팀과 함께 병원의 구체적인 요구와 환경에 맞춘 최적의 결정을 하시길 바랍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Jinsik Park님의 프로필 이미지
Jinsik Park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