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13
1
HSI 정리문서에서 Excell 자료에서 쓰로틀 다항식을 차트로 만드셔서 구하셨습니다.
엑셀 자료에 인자 값에 대하여 궁금합니다., A열과 B열의 데이터를 넣고 차트를 그려서 다항식 수식이 만들어 지는데,
A열은 쓰로틀의 전압은 1.1v부터 동작하여 전압분배의 최대값인 2.6v까지 하여 0.1V step으로 데이터를 기입한 건 이해가 됩니다.
B열의 CCR값은 어떤 계산된 데이터를 넣으셨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2
0
질문 감사합니다.
A열은 쓰로틀 전압값(1.1V~2.6V)을 0.1V 단위로 입력한 것이 맞습니다.
B열의 CCR 값은 제가 직접 구동 테스트를 하면서, 실제 모터가 자연스럽게 반응하고 주행이 무리 없다고 판단되는 값을 넣은 것입니다. 즉, 이론적으로 계산된 값이라기보다는 실험적으로 “이 정도면 적절하다”는 기준으로 선정한 데이터입니다.
만약 실제 차량이라고 가정한다면, 안전성과 주행감 확보를 위해 더 많은 주행 데이터와 반복 실험을 통해 정밀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dhanbi1님.
쓰로틀 다항식에 대한 엑셀 데이터와 차트 작성 과정에 대해 궁금하신 것 같습니다. 엑셀을 활용하여 다항식을 구하는 과정에서 A열과 B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트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다항식을 추출하는 과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A열의 전압 값: 주로 쓰로틀 장치의 전압 범위를 나타냅니다. 사용하는 전압의 영역은 쓰로틀이 반응하는 최소 전압(이 경우 1.1V)부터 최대 전압(이 경우 2.6V)까지로 설정하며, 이 간격을 0.1V 스텝으로 나누어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B열의 CCR 값: CCR(Capture/Compare Register) 값은 해당하는 전압의 입력에 대하여 필요한 PWM 신호의 듀티 사이클을 결정하는 값입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값은 시스템의 캘리브레이션 과정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특정 전압입력에서 모터의 목표 RPM을 달성하기 위한 최적의 PWM 값이 무엇인지를 실험적으로 결정한 후, 이를 엑셀 데이터로 반영하게 됩니다.
이 엑셀 데이터는 물리적인 시스템의 특성을 기반으로 계산되며, 시스템 요구사항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체계나 데이터 수립 방법은 관련 실습 강의에서 설명되거나 자료로 제공될 수 있으니, 참고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추가적으로, 엑셀 차트를 통해 얻은 다항식은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회귀 분석을 통해 생성되며, 이는 쓰로틀 입력에 따른 PWM 출력 간의 관계를 수학적으로 모델링하는 역할을 합니다.
비슷한 주제를 다룬 질문: 쓰로틀 보정 방법에 대한 이해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