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20
0
function solution(n, arr) {
let answer = 0;
//모든 학생이 짝이 되는 경우
for (let mento = 1; mento <= n; mento++) {
for (let mentee = 1; mentee <= n; mentee++) {
//자기자신과 짞을 될수 없음
if (mento === mentee) continue;
//시험별 멘토 멘티 등수
let mentoGrade, menteeGrade;
let isPossible = true;
//시험별 멘토 멘티 등수 비교
for (let test = 0; test < arr.length; test++) {
mentoGrade = arr[test].indexOf(mento);
menteeGrade = arr[test].indexOf(mentee);
if (mentoGrade >= menteeGrade) {
isPossible = false;
break;
}
}
//모든 시험에서 멘토 등수가 멘티 등수보다 낮은 경우 가능한 경우
if (isPossible) answer++;
}
}
return answer;
}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1djb23님.
귀하의 질문과 유사한 내용으로 기존에 논의되었던 질문들을 확인해 봤습니다. 질문하신 코드에 대한 리뷰나 다른 접근 방식을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다음 질문들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혹시 이렇게 풀어도 될까요?: 이 글에서는 멘토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과 그 코드의 유효성을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필요한 조건들과 코드에서의 순차적 조건 처리에 대해 논의하고 있습니다.
와우… 익숙하지 않은 방법이라 어렵네요. 객체로 데이터를 가공해서 풀어봤습니다. [리뷰부탁드려요]: 객체를 이용한 문제 해결 접근에 대해서 토론한 질문입니다. 다양한 방법론을 비교하며 자신에게 적합한 방식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풀이 검토 부탁드립니다.: 여러 학생의 점수를 비교하여 멘토링 가능한 쌍을 찾는 문제 해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나 최적화 가능성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코드 한번 검토 부탁드려도 될가요?: indexOf를 활용하여 각 상황에서 적절한 멘토를 찾는 과정에서 조건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한 좋은 예시입니다.
귀하의 코드에서는 indexOf
를 사용하여 멘토와 멘티의 등수를 시험별로 비교하고, 모든 시험에서 멘토의 등수가 멘티의 등수보다 낮을 경우 가능한 쌍으로 판단하여 카운트합니다. 이는 문제의 요구 조건을 적절히 반영한 방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