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트릴님의 프로필 이미지
트릴

작성한 질문수

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정리

is_active 컬럼의 인덱스 활용 방법

작성

·

70

1

is_active는 0/1의 두 개의 값만 존재하기 떄문에 카디널리티값이 상대적으로 낮은데요,,

그렇다면 단독으로 인덱스 사용시 그 이점을 크게 누리기 어렵다고 보면 되나요?

그렇다면 문제와 풀이처럼 복합 인덱스에서는 사용되는데 여러 컬럼을 복합 인덱스로 사용될 땐 효과가 극대화 된다고 보면 되나요? (0/1의 값 정렬 유무가 후위 컬럼 값 정렬에 영향을 미침)

답변 2

0

Q1. 그렇다면 단독으로 인덱스 사용시 그 이점을 크게 누리기 어렵다고 보면 되나요?

A1. 네. 굳이 이점을 따지자면, 커버링 인덱스 주제에서 다뤘던 내용처럼 [원본 테이블의 컬럼 수가 너무 많은 경우에] 그보다 훨씬 적은 인덱스만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스캔할 수 있기 때문에 스캔 작업이 비교적 가벼워지겠네요(커버링 인덱스 사용 가능하다는 상황 하에).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데이터베이스에서 인덱스는 검색 성능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도구입니다. 말씀하신대로 is_active처럼 카디널리티가 낮은 경우, 단독 인덱스로 사용할 때 큰 성능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이는 인덱스가 생성되더라도 데이터 정렬에서 큰 차이가 나지 않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여러 컬럼을 복합 인덱스로 사용할 때는 상황이 달라집니다. 복합 인덱스의 경우 특정 컬럼, 특히 자주 질의에 포함되는 우선순위가 높은 컬럼들과 결합하여 사용하면 전체 쿼리 성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is_active가 첫 번째 컬럼이라면 그 자체로 큰 의미가 없지만, 만약 is_active가 두 번째나 세 번째로 배치되고 다른 고카디널리티 컬럼들과 결합되면, 이 인덱스는 더 구체적인 검색 조건을 만드는데 도움이 됩니다.

구체적인 복합 인덱스 전략에 대해서는 실제 데이터베이스와 쿼리 패턴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데이터베이스 엔진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인덱스의 첫 번째 컬럼에서 큰 차이점을 만들어주는 컬럼을 배치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입니다.

관련 질문과 참고 자료에서 복합 인덱스 활용에 대한 이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가 나와 있는 두 개의 포스트입니다:

  1. @lob 관련하여 질문 드립니다.
  2. FK, 인덱스 비교 질문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트릴님의 프로필 이미지
트릴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