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28
1
가상 머신으로 서버 몇개 돌리면 컴퓨터가 정신을 못 차립니다. ㅠㅠ
1. 실습 중 본인의 환경이 가이드와 다른 부분이 있었다면 말씀해주세요.
2. 해당 문제의 발생 빈도(재설치 여부)와 문제 해결을 위해 시도해본 케이스를 말씀해 주시면 원인 파악에 큰 도움이 됩니다.
3. 에러 메시지만 봐서는 저도 모르는 경우가 많아요. 그전에 했던 작업이 포함된 캡쳐 화면도 부탁 드려요.
4. 영상 내용에 대한 질문 시 해당 시간을 같이 올려 주시면 답변을 드리는 시간이 더 빨라집니다.
5. 긴 로그는 제 메일로 보내주세요. (k8s.1pro@gmail.com)
6. 카페 [강의 자료실]에도 많은 질문과 답변들이 있어요!
답변 2
0
안녕하세요. 일단 제 가이드대로 설치를 안 했을 경우, 실습 진행에 어려움이 있긴 합니다.
그 전에 먼저 10분 중 한 명 정도에 해당하는 문제가 있는데, 혹시 PC 운영체제가 윈도우라면 아래 링크 확인해보시겠어요?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setung님!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노드를 구성하려고 하시는 질문인 것으로 이해됩니다. 컨테이너 기술은 가상 머신에 비해 경량화되어 있으며, 리소스 소모가 적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컴퓨터 성능이 부족해 정신을 못 차리는 상황에서는 컨테이너 기반의 노드 구성은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쿠버네티스 노드를 구성하는 방법은 몇 가지 주요 이점이 있습니다:
효율적인 리소스 사용: 컨테이너는 VM보다 메모리와 CPU를 더 효율적으로 사용합니다. 따라서 같은 하드웨어에서 더 많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빠른 시작 시간: 컨테이너는 VM에 비해 더 빠르게 시작하고 중지할 수 있어, 테스트나 개발 환경에서 매우 유용합니다.
일관성 및 이식성: 어디서 실행되든 동일한 환경을 제공하므로 개발에서 생산으로의 이식성이 좋습니다.
아래는 컨테이너를 활용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구성에 대한 몇 가지 참고 답변입니다:
사내 서버를 k8s로 변경하려고 합니다에서는 기존 VM 환경을 컨테이너 기반의 k8s로 변경하는 방법을 다루고 있으며, 워커 노드(실행 노드)와 마스터 노드 구성에 대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kubelet interface에서는 Kubelet의 역할과 컨테이너 인터페이스 구현부에 관한 설명이 있습니다. 컨테이너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부분이나, 실습 중 특정 문제가 발생하면 상세한 정보를 포함하여 추가 질문해 주세요.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