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작성자 없음

작성자 정보가 삭제된 글입니다.

(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 2024년 3회 기출문제 - 이론 포함

1:01:58

해결된 질문

작성

·

40

0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고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void func(struct Node* node) 함수의 마지막 부분인 node = node -> next -> next; 를 통해 n1의 값은 n2를 가리키고 있다는 것은 이해했습니다.

반복문이 종료된 후, Struct Node* current = &n1; 의 값은 n2의 주소값을 가리키고 있는 상태이므로 반복문에서 2를 출력하고 NULL을 만나 반복문이 종료된다고 생각했지만 정답을 확인해보니 3,1,2를 출력하고 종료된다고 말씀해주셨더라구요.

이 부분에 대해 이해가 가지 않아 추가 설명을 요청드리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2

0

주말코딩님의 프로필 이미지
주말코딩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정확히 어느 부분을 이해가 안 가신다는 것인지 조금 파악이 어렵습니다.

반복문이 왜 끝나는지 모르시겠다는 말씀이실까요,

아니면 어떻게 3-1-2로 값이 교환되었는 지를 모르신다는 말씀이실까요?

 

"반복문에서 2를 출력하고 NULL을 만나 반복문이 종료된다"

가 3-1-2에서 가장 마지막 부분을 설명한 것인데,

 

어느 부분을 말씀드려야 할 지 감이 안와서 좀 더 구체적인 질문 답글로 다시 요청드립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Fearis님.

질문해주신 내용은 C언어에서의 링크드 리스트에서 노드 순서와 반복문 작동 방식에 대한 혼동으로 볼 수 있습니다. 아래에 이해를 돕기 위한 간단한 설명을 추가합니다.

링크드 리스트에서 노드가 서로 연결되는 방식은 포인터를 이용해 다음 노드를 가리키도록 설정합니다. 주어진 함수 void func(struct Node* node)에서 node = node -> next -> next;는 현재 node 포인터가 두 번 다음 노드를 가리키도록 하여 리스트의 이동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이 줄의 코드는 사실 함수 내부의 node 변수만 변경하지만, n1 자체는 변하지 않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while 반복문이 종료된 후 Struct Node* current = &n1;는 리스트의 시작 지점인 n1을 가리키고 있고, 이는 리스트가 처음부터 순서대로 탐색되며 각 노드의 값을 출력하게 된다는 점입니다.

반복문에서 3, 1, 2를 출력하는 이유는 n1이 처음에 3을 갖고, 다음으로 이동하여 1, 마지막으로 2가 출력되기 때문입니다. 이 구조는 링크드 리스트의 전형적인 탐색 방식이며, 노드가 연결된 순서대로 데이터를 접근하게 합니다.

비슷한 질문과 답변을 확인하면 이해가 더 쉬울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작성자 없음

작성자 정보가 삭제된 글입니다.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