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없음
작성자 정보가 삭제된 글입니다.
해결된 질문
작성
·
34
답변 2
0
최초에 들어간 파라미터가 n일 때,
n-1이 들어갔기 때문에 nSum(n-1)의 res가 리턴되었을 것입니다.
그러면 n의 함수 입장에서는
n + nSum(n-1)의 res값이 됩니다.
0이 될 때까지 내려갔다가, 0을 nSum(0)으로 삼고 계속 앞의 n을 더해서 올라오는 것입니다.
sum의 값과 res값은 당연히 다릅니다.
여기서 sum은 최종적으로 nSum(n)에 모두 더해진 마지막 최종 res값이 리턴됩니다.
res의 경우 재귀함수에 들어간 파라미터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게임시대님.
재귀 함수에서의 반환 값 문제로 인해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재귀 함수의 동작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재귀 함수는 자기 자신을 호출하여 더 작은 문제로 나누고, 그 결과를 기반으로 문제를 해결합니다.
초기 호출:
nSum(n)
에 처음 n=5
를 넣게 되면, nSum
함수 내부의 if (n <= 0)
조건에 의해 재귀 호출이 시작됩니다.재귀 호출:
nSum(5)
는 5 + nSum(4)
를 반환하려고 nSum(4)
를 호출하고, 이는 계속해서 nSum(3)
, nSum(2)
, nSum(1)
, nSum(0)
까지 이어집니다.종료 조건:
nSum
함수는 n
이 0 이하가 되었을 때 0을 반환하며, 이 반환 값으로 인해 각각의 호출 스택이 쌓여있던 결과를 차곡차곡 해결합니다.결과 반환:
int sum
에 최종적으로 누적되어 저장됩니다. 그래서 int sum
변수에는 모든 nSum
호출의 결과가 차례로 더해집니다.질문과 유사한 내용이 있는 링크를 제공드리니 참고해주세요:
- 39:33 res 리턴값: 재귀 호출의 리턴 값 누적과 관련된 설명이 담겨 있습니다.
- 자바 기출문제 변형 문제 질문있습니다: 유사한 재귀 구문의 처리 방법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