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yizi han님의 프로필 이미지
yizi han

작성한 질문수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쿠버네티스 입문/실전

EKS 워커 노드 추가하기

마스터 노드 vs 워커 노드

작성

·

29

0

[ EKS 생성 시 ]

→ AWS가 마스터 노드(제어 플레인)를 자동 생성

[ 노드 그룹 생성 시 ]

→ 사용자가 EC2 기반 워커 노드 그룹(또는 Fargate)을 생성

[ Pod 배포 시 ]

→ 사용자가 kubectl 또는 Helm 등으로 명령 → 마스터 노드가 스케줄링 → 워커 노드에서 컨테이너 실행

위의 FLOW로 이해하고 있는데
워커 노드는 생성하는데
마스터 노드는 EKS 생성할 때 생성된다고 하는데
정확히 마스터 노드 역할이 뭔지 이해가 잘 안되네요 ㅠㅠ
eks 생성할 때 설정해주는 값에 따라서 달라지게 되는건지 그냥 무조건 DEFAULT 생성인건지..

답변 2

0

JSCODE 박재성님의 프로필 이미지
JSCODE 박재성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민식님 ! 질문 너무 잘 해주셨어요ㅎㅎ

EKS와 관련해서 마스터 노드의 개념이 처음엔 헷갈릴 수 있는데, 이해하기 쉽게 설명드려볼게요!

 

"마스터 노드의 역할이 무엇인가요 ?"

-> 마스터 노드는 쉽게 말해 '전체 클러스터를 통제하는 브레인'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kubectl apply로 배포 명령을 내리면, "API Server → Scheduler → 컨트롤러 → 워커 노드로 전달" 이런 전체 흐름을 마스터 노드가 책임집니다!

 

"EKS에서 마스터 노드는 어떻게 생성되나요 ?"

-> EKS에서는 마스터 노드를 사용자가 직접 만들거나 관리하지 않아요 ! AWS가 마스터 노드를 완전히 관리형으로 자동 제공해줘서 etcd, scheduler, controller 등 모든 제어 컴포넌트는 AWS가 대신 운영해요~ 그래서 설정값을 따로 줄 필요 없이, EKS 생성만 하면 AWS가 백그라운드에서 마스터 노드들을 기본 구성(DEFAULT)으로 자동 생성해줘요~

즉, 마스터 노드는 EKS 생성 시 AWS가 자동으로 구성하고, 사용자는 워커 노드만 직접 생성하고 관리하면 되요 ! 별도로 설정하거나 제어할 필요는 없고, 설정값에 따라 달라지지도 않고, 기본값으로 자동 생성되며, 관리할 수 조차도 없어요 :)

 

추가로 궁금하신점 있으시면 편하게 질문주세요~~😄😄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yizi han님.

EKS에서 마스터 노드와 워커 노드의 역할에 대해 궁금해 하시는 부분을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마스터 노드(제어 플레인)

  1. 역할 및 기능

    • 마스터 노드는 Kubernetes 클러스터를 관리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 주요 구성 요소로는 API 서버, etcd, 컨트롤러 매니저, 스케줄러가 있습니다.
      • API 서버: 클라이언트와 Kubernetes 클러스터 간의 모든 상호작용을 처리합니다.
      • etcd: 클러스터의 설정 및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입니다.
      • 컨트롤러 매니저: 클러스터의 상태가 원하는 상태 대로 유지되도록 관리합니다.
      • 스케줄러: 새로운 Pod를 실행시킬 적절한 워커 노드를 선택합니다.
  2. EKS에서의 마스터 노드

    • AWS EKS 사용 시, 마스터 노드는 AWS에서 관리하며,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습니다. 이는 EKS 서비스 실행 중 자동으로 생성되고 관리됩니다.
    • 사용자는 마스터 노드의 직접적인 관리 부담 없이 고가용성 및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3. 설정 및 관리

    • EKS 클러스터 생성 시에 마스터 노드에 대한 세부적인 설정을 사용자는 지정할 수 없습니다. 이는 EKS가 자동으로 관리하며, 사용자는 워커 노드나 노드 그룹 설정에 집중하면 됩니다.

워커 노드

  • 역할: 워커 노드는 실제로 애플리케이션 컨테이너(Pod)를 실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 노드 그룹: 사용자가 설정하여 EC2 기반의 인스턴스로 프로비저닝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Fargate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EKS에서 마스터 노드는 AWS에 의해 관리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실제로 조작할 필요가 없습니다. 반면에 워커 노드는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여 운영 환경에 맞게 구성을 해야 합니다.

관련 자료를 통해 추가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EKS에서 마스터 노드와 워커 노드 관리
- Kubernetes 클러스터 및 노드 초기 설정 가이드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yizi han님의 프로필 이미지
yizi han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