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44
·
수정됨
답변 3
0
안녕하세요,
먼저 답변 드리기 전에, 현재 malloc 챕터와 포인터 특강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곧 업로드 예정입니다.
(Data*)는 malloc앞에 왜 붙이는 건가요? -> malloc은 동적 할당이라고 해서, 프로그램이 동작하는 동안에 필요한 메모리 공간이 있는 경우 할당 받는 것입니다. 문제는 우리가 어느 정도 크기의 데이터를 할당해야할 지 미리 알아야한다는 것입니다. 지금은 Data 구조체 형태만큼의 메모리를 가리키고 싶어서 저렇게 작성하는 것입니다.
if(!new_node) -> 만약에 단순히 if라고 생각해봅시다. 이 경우에는 null을 가리키고 있을 때 false가 됩니다. 그래서 new_node가 null을 가리키고 있으면 전체가 false인데, 그것을 !(Not)으로 감싸서 다시 true로 만드는 구문입니다. 이 부분은 특별히 배우지는 않았고 null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지 않았기 때문에 별도 챕터로는 다루지 않았을 것입니다. 아마 기출문제로서 스택 구조 나왔을 때 한 번 다뤘던 기억은 있네요.
0
또 궁금한게 있는데, (Data *curr = head, curr, curr = curr -> next) 여기에서
Data *curr = head 이건 초기값, curr = curr -> next 이건 증감식 인건 알겠는데 도대체 가운데 하나만 있는 curr이 왜 null이 아닌 동안 계속 하라는 의미인지 모르겠습니다.
보통은 curr < 5 이런식으로 5 미만까지 계속해라 라는 조건식이 나와야 하는데 curr하나만 나오면 이게 왜 null이 아닌동안 계속 하라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혹시 이것과 관련된 영상이 있으면 알려주시면 감사합니다 이부분에 대한 분, 초 도 있으면 감사합니다. 단순하게 c언어 반복문, 조건문에 대한 영상이 아니라 이러한 반복, 조건문에서 가운데에 i 하나만 있으면 이걸 null이 아닌동안 계속하라 라는 의미의 강의를 알려주시면 감사합니다. 그ㅍ부분을 더 공부해야겠으니...
시험장에서 어려워서 틀리는건 괜찮습니다. 제 이해가 부족해서 그런거겠죠.. 하지만 제가 배우지 못한것에서 나와서 틀리는건 좀 속상합니다.
왜 돈주고 강의까지 사서 듣는데 왜 배우지 못한 부분이 시험에 나와서 틀려야하는지 이해가 안됩니다. 따라서 그 부분에 대한 강의가 있다면 꼭 알려주시면 감사합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gudwls5225님.
질문해주신 malloc에 대한 (Data*) 부분과 if(!new_node) 조건문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malloc
함수는 지정된 메모리 크기를 할당하고 그 시작 주소를 반환하는 함수로, 반환 타입이 void*
입니다. 이는 포인터로서 아무 타입으로나 변환이 가능한 특성을 갖습니다.(Data*)
는 이 주소를 Data*
타입으로 형변환하는 것입니다.if (!new_node)
는 new_node
가 NULL 이라면, 즉 메모리 할당이 실패했을 때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포인터와 메모리 할당에 관련된 부분은 보통 초기 C 언어 강의에서 다뤄집니다. 만약 해당 사항이 강의 내에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다면 다음 자료들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포인터와 메모리할당의 이해
- 조건문 내 포인터 활용 방식 설명
위 링크들을 활용해 포인터 및 조건문 활용 관련 내용을 더 깊이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너무 당연한 말씀입니다. 모르는 영역에서 나와서 틀리면 안되겠죠.
그런데 공단에서 요새 너무 과하게 어렵게 내는 것 같은데, 완벽하게 다 알고 시험을 치려면 C언어만 1년을 배워야 합니다. 보통 컴퓨터공학과 학생들이 그렇게 배우기 때문이죠.
참/거짓만 말씀드리자면 C언어에서 거짓으로 판명되는 경우는 아래와 같습니다.
0
(int형 상수)0.0
(float, double)'\0'
(널 문자, 아스키 코드 0)NULL
(널 포인터,<stdio.h>
나<stddef.h>
등에서 정의됨)false
(C99 이후<stdbool.h>
포함 시 사용 가능, 값은 0)위에서는 NULL을 가리키고 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반복문에서 두 번째의 식은 "조건식"이라고 가르쳐 드렸습니다. 그 이야기는 가운데의 있는 식이 전체가 참인지 거짓인지만 판단하면 다음에 블럭을 수행 해야 할 지 말지를 판단 하시면 됩니다.
마찬가지로 저 변수가 0이 되거나 1이 되는 경우에도 똑같이 작동합니다.
전체 조건식이 참인지 거짓인지만 생각해보면 다음 블럭을 수행할지 말지를 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