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작성자 없음

작성자 정보가 삭제된 글입니다.

(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2025년 1회 기출 문제 1번 문제 질문

해결된 질문

작성

·

36

0

4분 58초에
for(i=0;i<4;++i){

if(Data[i]>'c'){

break;

}

이 문항에서 위에 나온 배열에 B A D E 가 존재하는데요 c 의 아스키코드는 99 로 인지한 상태로 풀고

나머지 배열에있는 값들은 각각 66 , 65 ,68 ,69 이렇게 해서 브레이크가 안걸리고 i가 3까지 나열한 뒤로 끝나는 것으로 인지했었습니다 그런데 영상 강의에선 D의 값에서 break가 걸린다고 들었는데 왜 그런건지 질문드립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SungWoo님.

질문하신 for 루프 코드에서 break 문이 실행되는 이유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for(i=0;i<4;++i){
    if(Data[i]>'c'){
        break;
    }
}

이 코드에서 중요한 점은 Data[i] 의 값과 'c' 의 아스키 코드 값을 비교하는 부분입니다. 'c' 의 아스키 값은 99입니다.

  • 주어진 배열 B A D E 의 아스키 코드는 각각 66, 65, 68, 69입니다.

위 코드에서는 Data[i] 값이 'c' 보다 클 경우 반복문이 종료됩니다. ’D’의 아스키 코드(68)는 ‘c’(99)보다 작기 때문에 break가 실행되지 않아야 하는 것처럼 보이나, 실제 강의 내용에서는 애플리케이션 로직의 오해나 수정된 부분 때문에 다른 설명이 있을 수 있습니다.

유사한 상황에서 논의를 진행했던 질문을 참고하여 더 나은 이해를 돕고자 관련 링크를 안내해 드립니다:

각 링크는 break 문과 반복문에 대한 이해를 돕는 다양한 예제와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강의 내에서 특정 부분이 다르게 설명된 이유는 강사의 의도나 문제의 조건을 재검토해야 할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작성자 없음

작성자 정보가 삭제된 글입니다.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