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27
0
수업을 계속 듣다보니 복습도 하며 각각 개념을 정리할 때는 이해가 되는데 이렇게 유형 2번과 같은 문제를 풀다보니 상속과 업캐스팅이 헷갈려서 문의드립니다.
유형 2번처럼 Parent obj = new Child(); Parent와 Child 클래스명이 다르기에 업캐스팅이니까 위에서 자식클래스에서 Child: 20만 출력하는 것일까요?
만약 유형 2번 문제가 상속문제였다면 부모클래스에서 Parent: 10과 Child: 20을 모두 출력하는 건가요?
이처럼 업캐스팅은 자식클래스만 출력하는 것이고 상속은 부모클래스 먼저 그리고 자식클래스를 출력하는 것인가요?
답변 2
0
일단 하이딩의 연장선인데 부모의 변수와 정적 메서드는 상속이 안되고 가려집니다.
상속 문제였다면 <-- 이게 무슨 말씀인지 모르겠습니다.
만약 Child obj = new Child(); 였다면 고민할 것도 없습니다. 부모 자체를 바라볼 필요가 없습니다.
재정의된 것은 재정의된 대로, 부모가 가지고 있는 것은 부모가 있는 대로 실행하면 됩니다.
재정의된 것은 무조건 자식 것을 출력합니다. 이건 업캐스팅이든 그냥 상속이든 똑같습니다.
부모 클래스 실행하는 것은 생성자의 일입니다. 생성자와 메서드는 다릅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라따뚜이님.
상속과 업캐스팅 부분에서 헷갈리시는 점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상속과 업캐스팅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중요한 개념이며, 이를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업캐스팅: 객체가 자식 클래스의 형태로 생성되어도 부모 클래스의 참조 변수로 참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Parent obj = new Child();
문장에서 obj
는 부모 클래스 타입이지만 실제 인스턴스는 자식 클래스인 Child
의 객체입니다.
메서드 오버라이딩 및 호출: 업캐스팅을 통해 생성된 객체는 부모 클래스에 정의된 메서드를 호출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메서드가 자식 클래스에서 오버라이딩되었다면, 실제로 호출되는 메서드는 자식 클래스의 메서드입니다. 따라서, 자식 클래스에서 display()
메서드를 오버라이딩했다면 obj.display()
는 자식 클래스의 메서드를 호출하게 됩니다. 이 경우 Child: 20
이 출력됩니다.
상속 구조에서의 출력: super
키워드를 사용하여 부모 클래스의 메서드를 명시적으로 호출하지 않는 한, 자식 클래스에서 오버라이딩된 메서드는 부모 클래스의 메서드를 대체합니다. 따라서, 상속 문제에서 부모 클래스의 메서드가 호출되지 않습니다. 다만, 자식 생성자를 호출하기 전에 부모 클래스의 생성자는 항상 실행됩니다.
Child: 20
만 출력됩니다.자바에서 업캐스팅과 다형성의 활용에 대해 더 이해를 돕고 싶으시다면 아래의 링크를 참고해보세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