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50
1
안녕하세요 과제를 하나씩 만들고있는데 4일차 과제인 api만들기를 하려고합니다! 그전까지는
위처럼 기존 강의 초기세팅 된곳에 hw폴더를 만들어서 하고있는데 이렇게 말고 강의초반에 배운대로 spring.io에서 초기세팅을 새로해서 과제를 위한 스프링부트 프로젝트를 새로 만들고싶은데요..!
혹시 현재 강의 초기세팅과 같이 하려면 어떻게해야될지 알려주실 수 있으신가요? 1~2강 초기세팅 강의에서 spring.io로 처음부터 만드는걸 배울때 자바나 스프링부트 버전설정이런건 설명이 있었는데 그다음 의존성 이런건 나중에 설명이 나온다했던거같아서 정확히 모르겠습니다.
강의에 혹시 있다면 어디를 참고하면 될지만이라도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답변 2
0
안녕하세요! backendgoat0915님~ 🙂
혹시 현재 강의 초기세팅과 같이 하려면 어떻게해야될지 알려주실 수 있으신가요? 1~2강 초기세팅 강의에서 spring.io로 처음부터 만드는걸 배울때 자바나 스프링부트 버전설정이런건 설명이 있었는데 그다음 의존성 이런건 나중에 설명이 나온다했던거같아서 정확히 모르겠습니다.
로 질문 주신 부분이 핵심인 것 같아요!
spring.io
를 이용해 스프링 부트를 시작하는 방법은
<6. 강의 준비 영상 - 스프링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첫 번째 방법> 에서 찾아보실 수 있고요!
build.gradle
관련 설명은 49강, application.yml
관련 설명은 51강과 13강에서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backendgoat0915님!
Spring Boot 프로젝트의 초기 세팅과 관련하여 질문을 주셨네요. Spring Boot 프로젝트를 새로 시작할 때는 Spring Initializr를 통해 필요한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 초기 세팅 관련 몇 가지 기본 사항과 강의에서의 참고 사항을 정리해드리겠습니다.
Java 및 Spring Boot 버전 설정: Spring Initializr에서 프로젝트를 생성할 때, Java와 Spring Boot의 버전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강의에서는 주로 Java 11이나 17과 함께 Spring Boot 최신 버전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하고 있습니다.
의존성 추가: 프로젝트에 필요한 의존성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Spring Web, Spring Data JPA, H2 Database, MySQL Driver 등이 기본적으로 필요할 수 있습니다. 강의 초반에 의존성 추가에 대한 설명이 있을 수 있으며, 49강 “build.gradle 이해하기” 강의를 참고하시면 의존성 설정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을 들으실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구조: 강의에서 배우신 것처럼 컨트롤러(controller), 서비스(service), 레포지터리(repository), 도메인(domain) 등의 패키지를 생성하여 계층 구조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현재 강의 세팅과 유사하게 새 프로젝트에서 동일한 구조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정하시면 됩니다.
만약 강의에서 특정 부분에서 초기 세팅을 다루는지 기억이 나지 않으신다면, 강의 유닛 목록을 다시 살펴보시거나, 강좌 내에서 spring.io
를 사용한 초기 세팅에 대한 키워드를 검색해 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