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30
답변 2
0
안녕하세요, 이해가 안되실 때마다 꼭 질문 부탁드립니다.
귀찮지 않으니 많은 질문 환영합니다.
보시면, 지금 메인함수에서는 "자식 생성자"로 만듭니다.
생성자는 new 뒤에 있는 단어입니다. 지금 단어가 ElectricCar(파라미터 3개)이죠.
그럼 자식생성자를 부른다는 뜻입니다. 단어가 그러니까요.
그럼 생성자가 어떻든 간에 지금은 자식클래스로 생성된 자식 객체입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업캐스팅이라서, 부모의 타입인 자식 생성자로 태어난 이상한 상태입니다.
업캐스팅이든 아니든 간에 무조건 상속을 받으면 자식 것을 사용합니다.
start()
는 ElectricCar
가 새로 정의하지 않았으므로 부모 버전이 실행됩니다.
stop()
는 ElectricCar
가 오버라이드했으므로 자식 버전이 실행됩니다.
car.stop()
이 “정지 및 전원 끄기”(자식 버전)로 출력됩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SUDAM님.
업캐스팅과 관련된 질문을 주셨군요. 주어진 예제의 동작 방식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업캐스팅은 자식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부모 클래스의 변수로 다루는 기법입니다. 이는 다형성을 이용하여 다양한 객체를 한 종류으로 다룰 수 있게 해줍니다.
car.start()
: 여기서 start()
메서드는 부모 클래스(Car)의 것이 호출됩니다. 이는 자식 클래스에 start()
메서드가 재정의되지 않아서, 부모 클래스의 메서드가 그대로 호출되는 상황입니다.
car.stop()
: 반면에 stop()
메서드는 자식 클래스에서 재정의되어 있으므로, 자식 클래스의 stop()
메서드가 호출됩니다. 따라서 Tesla Model 3의 구체적인 동작(Tesia Model3정지 및 전원끄기)이 실행됩니다.
비슷한 질문과 해설이 게시된 링크를 참조하면, 문제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다음을 확인해 보세요: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나 더 구체적인 도움을 원하신다면, 그에 맞춰 질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