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32
답변 2
0
안녕하세요, 다음과 같은 코드를 실행시키면
10, 20, 22, 30, 31이 나옵니다.
#include <stdio.h>
int main(void)
{
int arr[] = {10, 20, 30, 40, 50};
int *p = arr;
printf("%d ", *p++); // ①
printf("%d ", (*p)++); // ②
printf("%d ", ++(*p)); // ③
printf("%d ", *++p); // ④
printf("%d\n", ++*p); // ⑤
return 0;
}
주석에 작성되어있는 1~5번을 설명해드립니다.
1번은 간단하죠. 후위 연산자이기 때문에 포인터를 하나 늘리기 전에 현재 값(*p
)을 출력합니다. 출력은 10을 하되, 포인터 p는 arr[1]인 20에 해당하는 주소를 가리키고 있겠네요.
2번은 현재 20을 가리키고 있는데, 값을 가져오라고 합니다.(*p
) 그래서 20을 출력하고, 그 값을 ++하니 해당 arr[1] 부분의 값이 21로 바뀝니다. 가리키고 있는 메모리 주소는 그대로고요.
3번은 현재값을 가져왔는데(*p
) 전위 연산자로 먼저 1을 증가시키고 출력하라고 합니다. 아까 21로 바뀌었는데 지금은 1이 더 증가해서 22로 출력해야겠네요.
4번은 p에 전위 연산자가 붙어있습니다. 이러면 가리키는 메모리 주소를 한 단위 증가시킵니다. 그래서 arr[2]에 해당하는 30을 가리키고, 그 위치에 있는 것을 값으로 가져오라고(*p
)하네요. 그래서 30을 출력합니다.
5번은 3번과 같이 똑같이 값을 가져오고 거기에서 전위 연산자를 적용합니다. 30을 가져오고 1을 더해서 31을 출력합니다.
이해에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alsrb4367님.
C언어에서 포인터의 증감 연산자 사용은 익숙하지 않은 경우라면 다소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주어진 코드에서의 출력과 그 이유를 단순히 설명드리겠습니다.
*p++
:
p
의 현재 가리키는 주소의 값을 출력한 후, 포인터 p
는 다음 위치로 증가합니다.10
을 출력하고 p
는 arr[1]
을 가리킵니다.(*p)++
:
p
가 가리키는 요소의 값을 출력하되, 이후 값이 증가됩니다.p
가 20
을 가리키므로 20
을 출력하고, arr[1]
값은 21
로 증가됩니다.++(*p)
:
p
가 가리키는 요소의 값을 먼저 증가한 후, 그 값을 출력합니다.arr[1]
이 21
에서 22
로 증가되어 출력하게 됩니다.*++p
:
p
를 먼저 다음 위치로 이동하고, 해당 위치의 값을 출력합니다.p
는 arr[2]
를 가리키며, 30
을 출력합니다.++*p
:
p
가 가리키고 있는 위치의 값을 증가시키고, 증가된 값을 출력합니다.arr[2]
가 31
로 증가되어 출력됩니다.이런 다양한 형태의 사용은 포인터의 행동과 메모리 주소 접근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초입니다. 관련 내용을 더 자세히 이해하려면 관련된 질문 링크들을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