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권영민님의 프로필 이미지
권영민

작성한 질문수

전동킥보드로 배우는 임베디드 실전 프로젝트

커패시터 소자 용도

공진주파수 관련 질문입니다.

해결된 질문

작성

·

60

1

왜 공진주파수기준 왼쪽으로 노이즈 주파수가 설정되도록 커패시터를 사용하나요? 공진주파수 주변이라면 임피던스가 낮으니, 공진주파수를 조금 넘어가더라도 bypass의 역할을 할 수 있는것 아닌가가요?

답변 2

2

제어쟁이님의 프로필 이미지
제어쟁이
지식공유자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우선 강의에서 설명드렸지만 커패시터는 공진주파수를 넘게 되면 인덕터로 동작하게 됩니다. 이때의 인덕턴스는 전원·배선의 다른 L, C와 추가 공진(anti-resonance)을 일으켜 오히려 임피던스 피크를 만들 수 있습니다. 그 순간 커패시터는 ‘필터’가 아니라 노이즈를 오히려 만들게됩니다.

그리고 현실적으로 노이즈의 주파수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공진주파수 지점보다 마진을 둬서 확실한 커패시터의 역할을 하도록 사용하는게 일반적인 경우입니다.

하드웨어 설계든, 소프트웨어 설계든 불확실성이 존재하면 안됩니다. 공진주파수를 넘지 않게 충분히 설계할 수 있으면 무조건 넘지 않도록 즉, 커패시터는 커패시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설계해줘야합니다!

권영민님의 프로필 이미지
권영민
질문자

주말인데 답변주셔서 감사합니다. 공진주파수를 넘어갈때는 단순히 임피던스가 인덕터처럼 증가한다 가 아니라 정말 소자성질자체가 인덕터성질로 바뀐다고 봐도 무방한거군요.

제어쟁이님의 프로필 이미지
제어쟁이
지식공유자

넵 맞습니다! 항상 이러한 특성을 고려해서 설계를 진행해야합니다..!

앞으로 강의 들으시면서도 궁굼한점이 생기시면 언제든지 질문 부탁드립니다~ 최대한 빠르게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권영민님.

공진 주파수와 관련한 질문을 주셨군요. 공진주파수는 흔히 필터나 임피던스 매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기본적으로, LC 필터와 같은 회로에서 공진주파수는 회로가 특정 주파수에 공진하여 임피던스가 최소화되는 주파수입니다. 이 주파수에서 회로는 신호를 매우 효율적으로 전달하거나, 특정하게 필터링합니다. 따라서, 공진주파수를 기준으로 노이즈 주파수를 설정하는 경우, 그 주파수에 대한 필터링 성능이나 신호 전송 특성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귀하의 질문은 공진주파수보다 약간 높은 주파수에서도 왜 바이패스가 가능하지 않은가에 관한 것이군요. 일반적으로, 공진주파수를 넘어서면 임피던스는 증가하게 되어 필터링 효과가 감소하거나 신호 경로가 원치 않게 바뀔 수 있습니다. 따라서 노이즈 억제나 바이패스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공진주파수 아래쪽의 주파수 범위를 택하곤 합니다.

더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서는 회로에 사용하는 특정 커패시터와 인덕터의 특성, 그리고 해당 회로에서 어떤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필터링 하고자 하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유사한 질문에 대한 답변을 원하신다면, 게시판의 자료를 더 확인해 주세요. 전동킥보드로 배우는 임베디드 실전 프로젝트와 관련된 다른 질문들도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권영민님의 프로필 이미지
권영민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