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364
0
Cursor AI를 제대로 활용하기 위한 핵심정리에서 설명하신 OpenAI의 모델별 비용을 해당 docs에서 확인이 가능하고 설명하신 내용도 이해가 됩니다.
하지만 Cursor를 유료로 사용하는 입장에서는 이와 같은 사항에 대해서는 따로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되는게 아닌가요?
Pricing | Cursor - The AI Code Editor
cursor.com 의 pricing 정책 비교를 봐도 모델별로 약간의 제한이 있다고 하지만 pro plan만 들어가도 비용에 대해서는 걱정을 안해도 될거라고 생각을 하는데 제가 잘못알고 있는건가요?
답변 2
0
안녕하세요, 마소캠퍼스입니다.
우선 토큰 비용 같은 경우, API 연동 등을 통해 서비스를 구현하실 경우에는 고려가 필요하나
Cursor 자체의 활용에 있어서는 크게 고려하실 필요가 없는 사항이 맞습니다.
본 영상에서 token 비용을 안내드리는 이유는 '월 20달러' 라는 요금으로
'월 500회의 고급 언어 모델 API를 활용한 코드 작성'이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Cursor AI 작동 방식 및 그 BM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라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추가로 최근에는 생성형 AI 모델 API를 활용한 서비스 개발이 매우 활발하므로,
API 비용 및 과금 기준으로서의 token에 대한 개념의 이해도
개발자 필수 지식의 일환으로서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마소캠퍼스 드림.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SoulKey님.
Cursor AI의 요금제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몇 가지 중요한 사항을 짚어드리겠습니다. Cursor의 유료 플랜, 특히 Pro Plan을 사용하신다면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범위 내에서 OpenAI 모델을 사용하는 데 있어 추가적인 비용은 발생하지 않을 것입니다. 이는 대부분의 프리미엄 서비스가 더 많은 용량과 기능을 제공하여 고객이 별도의 추가 비용을 걱정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Cursor AI의 프라이싱 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일반적으로 Pro Plan에 포함된 서비스는 정해진 사용량 내에서는 별도의 비용이 부과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만약 사용량이 과도하거나 기본 제공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추가 요금이 발생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합니다. 이 점은 모든 SaaS(Software as a Service) 플랫폼의 일반적인 정책 중 하나입니다.
혹시 더 구체적인 제한 사항이나 이용 조건이 있는지 알고 싶으시다면, 자세한 정보는 항상 공식 웹사이트나 고객 지원을 통해 확인하는 것이 가장 확실합니다. Cursor의 다양한 플랜과 포함된 서비스를 잘 활용해 보세요.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추가로 보충하여 답변 드립니다.
전업 개발자 등 개발 요청이 많은 사용자의 경우에는
월 500개의 고급 모델 개발 요청을 모두 소진하게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때에는
1. 최신 고급 모델이 아닌 일반 모델을 사용한 개발 요청이 가능합니다.
2. 커서에서 'Usage-Based Pricing' 옵션을 활성화 :
이 경우 추가 고급 모델 요청에 대해서 추가 요청건에 대한 개별 과금이 되고,
대시보드에서 금액 및 충전량을 확인 가능합니다.
3. Cursor Settings > Models > API Key 설정 및 활성화 :
이렇게 설정하는 방식을 Cursor AI의 문서에서는 '커스텀 키 사용'으로 소개하고 있으며,
요청 수에 상관없이 공급사의 토큰 이용료만 내면 된다고 안내하고 있습니다.
즉 고급 모델을 활용한 개발을 Cursor에 지불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OpenAI나 Anthropic 등에 API 비용을 내고 진행한다 생각하시면 됩니다.
(커서 공식 문서 - https://docs.cursor.com/settings/api-keys)
위의 3번 옵션을 선택하시는 경우 API 모델 별 토큰 비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므로,
본 강의의 토큰 비용에 대하여 소개하는 부분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마소캠퍼스 드림.